소개글
"간호실무에서 제기되는 윤리적 문제] : 간호상황에서 발생할 수 있는 윤리적 문제 사례를 기술하고, 윤리적 의사결정 과정에 기반하여 해결방안을 제안"에 대한 내용입니다.
목차
1. 간호윤리와 간호사의 역할
1.1. 간호윤리의 정의와 중요성
1.2. 간호사의 법적, 윤리적 책임
1.3. 간호사의 전문직 의무와 행동기준
2. 간호사와 간호대상자 간의 윤리문제
2.1. 환자 정보 보호 및 공개의 윤리적 딜레마
2.2. 생명공학 기술과 간호윤리
2.3. 생애 말 의사결정과 안락사 관련 윤리
2.4. 간호사의 옹호자적 역할
3. 간호사와 간호사 간의 윤리문제
3.1. 간호사 간의 상호존중과 협력의 중요성
3.2. '태움' 문화에 대한 윤리적 고찰
3.3. 간호사 간 갈등 해결을 위한 방안
4. 간호윤리 교육과 실천
4.1. 간호윤리 교육의 필요성
4.2. 간호 실무 현장에서의 윤리적 의사결정 절차
4.3. 간호사의 윤리의식 향상을 위한 제언
5. 참고 문헌
본문내용
1. 간호윤리와 간호사의 역할
1.1. 간호윤리의 정의와 중요성
간호윤리는 간호사의 직업윤리로서 간호사들이 실무에서 어떻게 행동해야 하는지에 대한 윤리적 근거를 제시한다. 즉 간호 실무에서 간호사들의 윤리적 행동이란 어떠해야 하는지를 알려준다. 간호윤리는 간호 행위의 표준과 규칙들을 제시함으로써 간호사와 간호사가 돌보는 환자들에게 법적, 윤리적 문제들이 발생하지 않도록 예방한다. 만일 그러한 문제들이 발생했을 때는 해결책을 마련하는데 구체적인 지침이 되어준다. 동시에 간호윤리는 간호가 추구해야 하는 이상적 가치를 제시한다. 윤리는 '도덕적 이상'에 토대를 둔 행동규범이기 때문이다. 간호윤리는 간호 전문직 발전에 기여하며, 윤리적 갈등 상황에서의 문제해결 절차를 제시한다. 윤리적 갈등 상황은 많은 경우 절대적인 정답이 없다. 이런 경우 이를 분석하여 최선의 선택을 해야 한다. 이때 간호윤리는 윤리강령과 같은 행동규범 지침 이외에도 윤리문제 해결 방법들을 제시함으로써 간호사가 윤리적으로 더 나은 결정 또는 더 정당한 결정이 무엇인지를 선택할 수 있도록 돕는다.
1.2. 간호사의 법적, 윤리적 책임
간호사의 법적, 윤리적 책임은 환자의 생명과 건강을 보호하고 증진시키는 데 있다"" 간호사는 전문직 종사자로서 환자의 자율성과 인격을 존중하며, 간호 행위로 인한 환자의 권리 침해를 최소화하고자 노력해야 한다""
간호사의 법적 책임은 의료법, 의료 관련 법규, 병원 내규 등에 규정되어 있다"" 대표적인 법적 책임으로는 주의 의무, 확인 의무, 설명 및 동의 의무 등이 있다"" 주의 의무는 환자 진료 및 간호 수행 시 세심한 주의와 성실성을 요구하며, 확인 의무는 의료기구 및 약품 사용 시 확인 절차를 거치도록 한다"" 설명 및 동의 의무는 수술, 침습적 시술, 중대한 결과 발생 가능 시술 등에서 환자에게 충분한 정보를 제공하고 동의를 얻어야 함을 의미한다""
또한 간호사는 윤리강령에 명시된 윤리적 책임을 지닌다"" 대한간호협회의 간호사 윤리강령에 따르면 간호사는 환자의 자율성, 존엄성, 안전을 최우선적으로 고려하여야 하며, 환자정보 보호, 차별 금지, 성실성 등의 윤리적 의무를 이행해야 한다"" 간호사는 이러한 윤리적 기준에 따라 환자를 돌봐야 하며, 윤리적 딜레마 상황에서 최선의 판단과 선택을 내려야 한다""
이처럼 간호사는 전문직 종사자로서 법적, 윤리적 책임을 부담하며, 이는 환자 중심의 양질의 간호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필수적 요소라 할 수 있다""
1.3. 간호사의 전문직 의무와 행동기준
간호사의 전문직 의무와 행동기준은 간호사들이 전문인으로서 지켜야 할 의무와 규범을 규정하고 있다. 한국 간호사 윤리강령과 한국 간호사 윤리지침에 명시된 간호사의 전문직 의무와 행동기준은 다음과 같다.
첫째, 간호사는 간호대상자의 건강과 안전이 위협받는 상황에서 적절한 조치를 취해야 한다. 간호사윤리강령 제14조에 따르면 "간호사는 간호대상자의 건강과 안전이 위협받는 상황에서 적절한 조치를 취한다"고 규정하고 있다. 이는 간호사가 간호대상자의 생명과 건강을 최우선으로 보호하고 위험을 최소화해야 할 의무가 있음을 의미한다.
둘째, 간호사는 간호대상자를 간호의 전 과정에 참여시키며, 충분한 정보제공과 설명으로 간호대상자가 스스로 의사결정을 하도록 돕는다. 간호사윤리강령 제4조에 따르면 "간호사는 알 권리 및 자기 결정권을 존중한다. 간호사는 간호대상자를 간호의 전 과정에 참여시키며, 충분한 정보제공과 설명으로 간호대상자가 스스로 의사결정을 하도록 돕는다"고 명시되어 있다. 이는 간호사가 간호대상자의 자율성을 존중하고 이를 바탕으로 의사결정을 할 수 있도록 정보를 제공해야 한다는 의무를 의미한다.
셋째, 간호사는 간호 실무에서 성실하고 정직하게 행동해야 한다. 간호사윤리지침 제5조에 따르면 "간호사는 선의를 가지고 성실하게 간호대상자를 간호하여야 한다"고 명시되어 있다. 또한 간호사윤리지침 제12조에 따르면 "간호사는 간호수행 직후 사실에 근거하여 진실하고 성실하게 의무기록을 작성하여야 한다"고 규정하고 있다. 이는 간호사가 어떤 상황에서도 성실하고 정직하게 행동해야 한다는 의무를 의미한다.
넷째, 간호사는 간호대상자의 존엄성을 존중해야 한다. 간호사윤리지침 제14조에 따르면 "간호사는 간호대상자가 자신의 건강상태나 자신에게 수행되는 간호에 대해 정확한 정보를 가질 권리가 있음을 인정하고 이를 존중하여야 한다"고 명시되어 있다. 이는 간호사가 간호대상자의 인격과 권리를 존중해야 한다는 의무를 의미한다.
다섯째, 간호사는 비윤리적 행위에 대해 보고할 의무가 있다. 간호사윤리지침 제25조에 따르면 "간호사는 보건의료인으로부터 불법 행위 또는 비윤리적 행위에 대한 협조 요청이 있을 경우 이를 해당 부서에 보고하여야 한다"고 규정하고 있다. 이는 간호사가 자신의 직업윤리를 지키고 간호대상자를 보호하기 위해 비윤리적 행위를 적극적으로 보고해야 한다는 의무를 의미한다.
이와 같이 간호사의 전문직 의무와 행동기준은 간호사가 간호대상자의 생명과 건강을 보호하고, 그들의 권리와 존엄성을 존중하며, 성실하고 정직하게 행...
참고 자료
권현 “적십자, 혈액관리법 위반 간호사 ‘감싸기’ 논란” 헬스조선 2017.08.24.
국가법령정보센터 “혈액관리법” https://www.law.go.kr
대한적십자사 “서울남부혈액원” https://www.redcross.or.kr
병원간호사회 “한국간호사윤리강령” https://khna.or.kr/
세이퍼 대 펙 사건(Safer vs. Pack case) : Lowrey, K. M. (2004). Legal and ethical issues in cancer genetics nursing. Seminars in Oncology Nursing, 20(3), 203-208
이윤성(2012). 아직도 안락사인가? J Korean Med Assoc 2012 December; 55(12): 1163-1170
의사조력자살의 예 : 아시아경제(2015.03.05.). [과학을 읽다]존엄사···법과 과학 사이 http://www.asiae.co.kr/news/view/htm?idxno=2015030409093878359
메이칼 타임즈(2016.01.15.) 전공의에 가려졌던 간호사 태움 “경종은 이미 울렸다” http://www.medicaltimes/Users4/News/newsView.html?ID=1101992
ANA(2015). Position statement: Incivility, Bullying, and Workplace Violence. http://www.nursingworld.org/Bullying-Workplace-Violence
Alspach, G.(2007). Critical care nurses as coworkers: Are our interactions nice or nasty? Critical Care Nurse, 27(3), 10-14
Alspach, G.(2008). Lateral hospility between critical care nurses: A survey report. Critical Care Nurse, 28(2), 13-19
고진강, 고지운 / 간호윤리학 / 계축문화사 / 2017 / 21-17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