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내용
1. 인간관계론: 고프만(E. Goffman)의 역할소원과 인간관계 유형
역할소원(role estranging)은 고프만(E. Goffman)이 제시한 개념으로, 역할 행위자가 특정 역할의 진정한 의미는 수용하지 않은 채 형식적, 의도적으로 외형적 역할만을 수행하는 현상을 말한다. 즉, 역할소원은 진정으로 행할 의사가 없으면서도 상황의 압박 때문에 일을 하는 척하는 행위를 의미한다.
예를 들면, 목사인 이00은 지역사회에서 신망받는 인물이지만, 실생활에서는 아내의 만든 반찬을 두고 반찬타박을 하거나, 여성신도의 민망한 옷차림에 이상한 상상을 하는 등 위선적인 행동을 보일 수 있다. 이처럼 사람들은 상황에 따라 각자의 모습을 바꾸며, 이는 각기 다른 역할을 연기하는 것으로 나타난다. 고프만은 사람들이 사회생활에서 지켜야 할 규칙을 지키기 위해 긴장했던 모습을 숨겨진 공간에서 털어내려 하는 것이 역할소원의 본질이라고 설명한다.
이러한 고프만의 이론은 프라이버시 보호의 중요성을 주장하는 사람들의 기본 논지의 기초를 제공한다. 예를 들어, 유치원에 감시카메라를 설치하거나 근로자의 근태를 확인하기 위해 폐쇄회로를 설치하는 것은 사회적 역할의 긴장에서 벗어나는 최소한의 길도 막아버리는 비인간적인 행위가 될 수 있다는 것이다.
부적응적인 인간관계의 유형은 크게 회피형, 피상형, 미숙형, 탐닉형으로 나눌 수 있다.
회피형은 인간관계를 회피하고 고립된 생활을 하는 사람들로, 경시형과 불안형으로 세분화된다. 피상형은 깊은 관계를 맺지 못하는 사람들로, 실리형과 유희형으로 나뉜다. 미숙형은 대인관계기술이 부족하여 인간관계가 원활하지 못한 사람들로, 소외형과 반목형으로 구분된다. 마지막으로 탐닉형은 다른 사람과의 친밀한 관계를 강박적으로 추구하는 사람들로, 의존형과 지배형이 있다.
이처럼 부적응적인 인간관계 유형은 개인의 특성과 문제행동 양상에 따라 다양하게 나타나며, 이는 개인의 사회적 기능과 삶의 질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다.
1.1. 역할소원(role estranging) 개념 및 예시
고프만(E. Goffman)이 제시한 개념인 "역할소원(role estranging)"은 역할 행위자가 특정 역할의 진정한 의미는 수용하지 않은 채 형식적, 의도적으로 외형적 역할만을 수행하는 현상을 말한다"" 이는 개인이 자신이 수행해야 하는 사회적 역할에 대해 경멸하듯이 내팽개치는 행위를 의미한다""
예를 들어, 목사인 이라는 사람이 신망받는 지역사회의 인물로 존중받지만, 실제 생활에서는 아내에게 반찬 타박을 하거나 여성신도의 옷차림에 이상한 상상을 하며 길거리에서 가래침을 뱉는 등의 행동을 보인다면, 이는 목사라는 직책에 걸맞지 않은 모습으로 역할소원이 발생한 경우라고 볼 수 있다"" 즉, 그는 공식적으로는 목사의 역할을 수행하지만 실제로는 그 역할에 충실하지 않는 것이다""
이처럼 역할소원은 개인이 자신의 역할에 대해 진정한 의미부여를 하지 않은 채 형식적으로만 수행하는 현상을 말한다"" 이는 개인의 내면의 자아와 외적으로 드러나는 모습 간의 괴리를 야기하며, 사회적 규범과 기대에 부합하지 않는 행동을 초래할 수 있다""
1.2. 부적응적인 인간관계 유형
부적응적인 인간관계 유형은 크게 네 가지로 나뉜다. 첫 번째는 "회피형"으로, 인간관계를 회피하고 고립된 생활을 하는 사람들이다. 이들은 심리적 이유에 따라 다시 "경시형"과 "불안형"으로 세분화된다. 경시형은 타인을 불신하고 경시하여 인간관계를 피하는 유형이며, 불안형은 인간관계에 대한 두려움과 불안으로 인해 회피하는 유형이다.
두 번째는 "피상형"으로, 깊은 관계를 맺지 못하는 사람들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