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내용
1. 서론
지역사회간호과정은 지역사회에 초점을 두고 주민들에게 영향을 미치는 것들과 이로 인하여 나타나는 건강문제를 규명하여 지역사회가 건강을 회복하고 성취하도록 간호계획을 세워 실천하는 활동이다. 실제적으로 내가 속하고 있는 울산광역시 남구의 여러 가지 건강문제를 파악하여 남구 주민이 스스로 건강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기능수준 향상을 목표로 남구 주민 전체의 건강증진을 도모하기 위해 간호과정을 적용해 보았다. 울산광역시 남구의 건강문제를 파악하기 위하여 비교대상으로 울산광역시 전체지표를 사용하였고, 이는 울산광역시가 시에서 진행하는 시민안전, 행복한 환경 등을 위한 다양한 정책이 체계적으로 이루어지고 있어 비교지표로 사용하기에 적절하다는 판단을 하였다. 그리하여 울산광역시에 비교한 남구 지역의 건강문제에 대하여 규명하고 이를 해결하기 위한 계획을 세워보았다.
2. 지리적 특성
2.1. 위치
울산광역시 남구는 동경 129˚15´~129˚27´, 북위 35˚27´~35˚36´에 위치하고 있다. 동쪽은 동해에 면하며, 서쪽은 경북 청도군과 밀양시·양산시, 남쪽은 부산 기장군, 북쪽은 경북 경주시와 접하고 있다. 태화강을 사이에 두고 중구와 동구·북구와 경계를 이루고 있으며, 남서쪽은 울주군이 남구를 에워싸고 있다. 남구는 울산광역시의 중심부로 경제·문화·언론 및 유통의 중추 기능이 집중되어 있으며, 시외버스터미널과 고속버스터미널·태화강역·울산항이 위치하고 있어 교통의 요충지이다.
2.2. 면적
부산-사상구의 면적은 전체 36.09㎢로, 이 중 녹지지역이 20.87%, 공업지역이 6.58%, 주거지역이 8.16%, 상업지역이 0.48%를 차지하고 있다. 사상구는 부산에서 7번째로 큰 면적을 가지고 있으며, 부산시 전체 공장면적의 11.5%를 차지하고 있다. 이처럼 사상구는 대규모 공업지역과 녹지지역을 함께 가지고 있는 특징을 보인다.
2.3. 행정구역
부산 사상구의 행정구역은 15개의 구와 1개의 군으로 구성되어 있다. 총 12개의 동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293개의 통으로 분할되어 있다. 사상구의 전체 면적은 36.09㎢이며, 그 중 녹지지역이 20.87%, 공업지역이 6.58%, 주거지역이 8.16%, 상업지역이 0.48%를 차지하고 있다. 또한 사상구는 해발 300 ~ 700m의 구릉지로 이루어진 산업, 물류, 유통 중심도시로, 부산 최대의 공업단지인 삼각형 모양의 평지를 보유하고 있다.
3. 인구 특성
3.1. 인구수
남구의 인구수는 2022년 기준 330,732명으로, 전체 인구에서 남성이 171,024명(50.6%), 여성이 164,770명(49.4%)을 차지하고 있다. 또한 내국인 330,732명(98.6%), 외국인 5,062명(1.4%)으로 구성되어 있다.
남구의 노인인구수는 33,804명이며, 이 중 남성 독거노인이 2,669명(27%), 여성 독거노인이 5,611명(73%)으로 나타났다. 남구의 평균연령은 40.5세로 울산광역시 평균 40.2세보다 높으며, 인구밀도는 4,568.63명/㎢로 울산광역시 평균 1,107.62명/㎢에 비해 매우 높은 수준이다.
이를 통해 남구는 울산광역시 내에서 인구가 가장 밀집되어 있는 지역이며, 특히 노인인구가 많은 편이라고 볼 수 있다. 따라서 고령화 사회에 대비한 맞춤형 보건의료 서비스 및 복지 정책 마련이 필요할 것으로 보인다.
3.2. 성별 인구
남구의 성별 인구는 2022년 2월 28일 기준 전체 330,794명 중 남자가 171,024명(50.6%), 여자가 164,770명(49.4%)으로 나타났다. 남자 인구가 여자 인구보다 약 1.2% 많은 것을 알 수 있다. 울산광역시 전체의 성별 인구 구조와 비교했을 때 남구의 성별 분포가 유사한 수준을 보이고 있다.
3.3. 외국인 인구
울산광역시 남구의 외국인 인구수는 5,062명으로 전체 인구의 1.4%를 차지하고 있다. 남성 외국인은 2,530명(0.7%)이며, 여성 외국인은 2,532명(0.7%)이다. 이는 울산광역시 전체 외국인 인구수 20,002명의 약 25%를 차지하는 수준이다. 남구의 외국인 인구는 내국인 인구 330,732명에 비해 비교적 적은 편이지만, 전체 울산광역시의 외국인 인구 비중과 비교했을 때 상당 부분을 차지하고 있다고 볼 수 있다.
3.4. 노인 인구
울산광역시 남구의 노인 인구는 총 33,804명으로, 울산광역시 노인 인구 123,919명의 약 25%를 차지하고 있다. 남성 노인 인구는 9,705명(29%), 여성 노인 인구는 20,489명(71%)으로 여성 노인 인구가 더 많다. 남구의 평균 연령은 40.5세로 울산광역시 평균 연령 40.2세보다 약간 높은 편이다. 또한 남구의 독거노인 인구는 총 8,280명으로, 울산광역시 독거노인 인구 30,194명의 약 25%를 차지한다. 이와 같이 남구는 울산광역시 평균에 비해 높은 노인 인구와 독거노인 인구 비율을 보이고 있어, 노령화 사회에 대한 대책이 필요할 것으로 보인다."
3.5. 독거노인 인구
울산광역시 남구의 독거노인 인구는 총 8,280명으로, 이는 울산광역시 전체 독거노인 인구 30,194명의 약 25%를 차지한다. 독거노인 중 여성 독거노인이 5,611명(71%)으로 남성 독거노인 2,669명(29%)에 비해 크게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울산광역시 전체 독거노인의 성별 비율과 유사한 수준이다. 독거노인 인구가 차지하는 비율이 울산광역시 평균에 비해 높은 편이며, 특히 여성 독거노인의 비율이 매우 높아 이들에 대한 사회적 돌봄과 지원이 필요할 것으로 보인다.
3.6. 평균 연령
남구의 평균 연령은 40.5세로, 울산광역시 평균 연령 40.2세보다 0.3세 높다. 남구의 성별 평균 연령을 살펴보면 남자는 43.1세, 여자는 45.3세로 나타났다. 이는 울산광역시 평균 연령과 비교했을 때 남자는 0.3세, 여자는 0.2세 높은 수준이다. 이를 통해 남구 지역 내 인구가 점진적으로 고령화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3.7. 인구 밀도
인구 밀도는 1㎢ 당 4,465명으로 울산광역시 평균 1,107.62명/㎢보다 매우 높은 수준이다. 이는 남구가 울산광역시의 중심부에 위치하며 인구가 밀집되어 있음을 의미한다. 특히, 삼락동의 경우 인구밀도가 8,128명/㎢로 울산시 전체 평균의 약 7.4배에 달하는 등 지역 간 편차가 크게 나타난다. 이는 사상구 내 준공업지역과 주거지역이 혼재되어 있어 도심 집중화로 인한 인구 집중 현상이 두드러지기 때문으로 보인다.
4. 건강수준
4.1. 흡연율
울산광역시 남구의 흡연율은 청소년부터 성인까지 전반적으로 보통 수준이거나 다소 높은 편이다.
남구의 15-19세 청소년 흡연율은 2018년 17.1%, 2019년 18.3%, 2020년 18.1%로 청소년 흡연율 전국 평균인 16.5%보다 약간 높다. 20-29세 성인의 경우 2018년 38.8%, 2019년 38.4%, 2020년 37.6%로 매우 높은 수준이며, 이는 같은 기간 전국 20대 평균 흡연율 33.4%보다 4%p이상 높다.
30-39세 성인의 경우 2018년 35.1%, 2019년 34.9%, 2020년 34.6%로 전국 평균보다 약간 높고, 40-49세는 2018년 32.7%, 2019년 32.4%, 2020년 32.5%로 전국 평균과 유사한 수준이다. 50세 이상 고령층의 경우 2018년 이후 점진적으로 흡연율이 감소하여 2020년 기준 60-69세 21.7%, 70세 이상 17.8%에 이른다.
전체적으로 남구의 성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