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역사회 간호과정 부산 중구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새로운 AI자료
생성
다운로드

상세정보

소개글

"지역사회 간호과정 부산 중구"에 대한 내용입니다.

목차

1. 서론

2. 지리적 특성
2.1. 위치
2.2. 면적
2.3. 행정구역

3. 인구 특성
3.1. 인구수
3.2. 성별 인구
3.3. 외국인 인구
3.4. 노인 인구
3.5. 독거노인 인구
3.6. 평균 연령
3.7. 인구 밀도

4. 건강수준
4.1. 흡연율
4.2. 음주율
4.3. 비만율
4.4. 사망원인

5. 환경 특성
5.1. 환경 체감도
5.2. 대기오염
5.3. 수질오염
5.4. 환경문제 우선 개선사항
5.5. 부적절한 오물처리

6. 보건의료 자원
6.1. 의료기관 현황
6.2. 건강관련 인력

7. 사회적 문제
7.1. 범죄발생
7.2. 소년범죄
7.3. 자살률
7.4. 행복감과 우울감

8. 공적 지역사회 서비스
8.1. 공공보건의료기관
8.2. 지역사회 서비스

9. 간호문제 도출 및 우선순위 선정
9.1. 오마하 진단분류체계
9.2. BPRS 우선순위 선정

10. 간호계획
10.1. 예방/건강관리 실패
10.2. 자살/살인 시도
10.3. 과체중
10.4. 알코올 남용

11. 결론

12. 참고 문헌

본문내용

1. 서론

지역사회간호과정은 지역사회에 초점을 두고 주민들에게 영향을 미치는 것들과 이로 인하여 나타나는 건강문제를 규명하여 지역사회가 건강을 회복하고 성취하도록 간호계획을 세워 실천하는 활동이다. 실제적으로 내가 속하고 있는 울산광역시 남구의 여러 가지 건강문제를 파악하여 남구 주민이 스스로 건강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기능수준 향상을 목표로 남구 주민 전체의 건강증진을 도모하기 위해 간호과정을 적용해 보았다. 울산광역시 남구의 건강문제를 파악하기 위하여 비교대상으로 울산광역시 전체지표를 사용하였고, 이는 울산광역시가 시에서 진행하는 시민안전, 행복한 환경 등을 위한 다양한 정책이 체계적으로 이루어지고 있어 비교지표로 사용하기에 적절하다는 판단을 하였다. 그리하여 울산광역시에 비교한 남구 지역의 건강문제에 대하여 규명하고 이를 해결하기 위한 계획을 세워보았다.


2. 지리적 특성
2.1. 위치

울산광역시 남구는 동경 129˚15´~129˚27´, 북위 35˚27´~35˚36´에 위치하고 있다. 동쪽은 동해에 면하며, 서쪽은 경북 청도군과 밀양시·양산시, 남쪽은 부산 기장군, 북쪽은 경북 경주시와 접하고 있다. 태화강을 사이에 두고 중구와 동구·북구와 경계를 이루고 있으며, 남서쪽은 울주군이 남구를 에워싸고 있다. 남구는 울산광역시의 중심부로 경제·문화·언론 및 유통의 중추 기능이 집중되어 있으며, 시외버스터미널과 고속버스터미널·태화강역·울산항이 위치하고 있어 교통의 요충지이다.


2.2. 면적

부산-사상구의 면적은 전체 36.09㎢로, 이 중 녹지지역이 20.87%, 공업지역이 6.58%, 주거지역이 8.16%, 상업지역이 0.48%를 차지하고 있다. 사상구는 부산에서 7번째로 큰 면적을 가지고 있으며, 부산시 전체 공장면적의 11.5%를 차지하고 있다. 이처럼 사상구는 대규모 공업지역과 녹지지역을 함께 가지고 있는 특징을 보인다.


2.3. 행정구역

부산 사상구의 행정구역은 15개의 구와 1개의 군으로 구성되어 있다. 총 12개의 동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293개의 통으로 분할되어 있다. 사상구의 전체 면적은 36.09㎢이며, 그 중 녹지지역이 20.87%, 공업지역이 6.58%, 주거지역이 8.16%, 상업지역이 0.48%를 차지하고 있다. 또한 사상구는 해발 300 ~ 700m의 구릉지로 이루어진 산업, 물류, 유통 중심도시로, 부산 최대의 공업단지인 삼각형 모양의 평지를 보유하고 있다.


3. 인구 특성
3.1. 인구수

남구의 인구수는 2022년 기준 330,732명으로, 전체 인구에서 남성이 171,024명(50.6%), 여성이 164,770명(49.4%)을 차지하고 있다. 또한 내국인 330,732명(98.6%), 외국인 5,062명(1.4%)으로 구성되어 있다.

남구의 노인인구수는 33,804명이며, 이 중 남성 독거노인이 2,669명(27%), 여성 독거노인이 5,611명(73%)으로 나타났다. 남구의 평균연령은 40.5세로 울산광역시 평균 40.2세보다 높으며, 인구밀도는 4,568.63명/㎢로 울산광역시 평균 1,107.62명/㎢에 비해 매우 높은 수준이다.

이를 통해 남구는 울산광역시 내에서 인구가 가장 밀집되어 있는 지역이며, 특히 노인인구가 많은 편이라고 볼 수 있다. 따라서 고령화 사회에 대비한 맞춤형 보건의료 서비스 및 복지 정책 마련이 필요할 것으로 보인다.


3.2. 성별 인구

남구의 성별 인구는 2022년 2월 28일 기준 전체 330,794명 중 남자가 171,024명(50.6%), 여자가 164,770명(49.4%)으로 나타났다. 남자 인구가 여자 인구보다 약 1.2% 많은 것을 알 수 있다. 울산광역시 전체의 성별 인구 구조와 비교했을 때 남구의 성별 분포가 유사한 수준을 보이고 있다.


3.3. 외국인 인구

울산광역시 남구의 외국인 인구수는 5,062명으로 전체 인구의 1.4%를 차지하고 있다. 남성 외국인은 2,530명(0.7%)이며, 여성 외국인은 2,532명(0.7%)이다. 이는 울산광역시 전체 외국인 인구수 20,002명의 약 25%를 차지하는 수준이다. 남구의 외국인 인구는 내국인 인구 330,732명에 비해 비교적 적은 편이지만, 전체 울산광역시의 외국인 인구 비중과 비교했을 때 상당 부분을 차지하고 있다고 볼 수 있다.


3.4. 노인 인구

울산광역시 남구의 노인 인구는 총 33,804명으로, 울산광역시 노인 인구 123,919명의 약 25%를 차지하고 있다. 남성 노인 인구는 9,705명(29%), 여성 노인 인구는 20,489명(71%)으로 여성 노인 인구가 더 많다. 남구의 평균 연령은 40.5세로 울산광역시 평균 연령 40.2세보다 약간 높은 편이다. 또한 남구의 독거노인 인구는 총 8,280명으로, 울산광역시 독거노인 인구 30,194명의 약 25%를 차지한다. 이와 같이 남구는 울산광역시 평균에 비해 높은 노인 인구와 독거노인 인구 비율을 보이고 있어, 노령화 사회에 대한 대책이 필요할 것으로 보인다."


3.5. 독거노인 인구

울산광역시 남구의 독거노인 인구는 총 8,280명으로, 이는 울산광역시 전체 독거노인 인구 30,194명의 약 25%를 차지한다. 독거노인 중 여성 독거노인이 5,611명(71%)으로 남성 독거노인 2,669명(29%)에 비해 크게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울산광역시 전체 독거노인의 성별 비율과 유사한 수준이다. 독거노인 인구가 차지하는 비율이 울산광역시 평균에 비해 높은 편이며, 특히 여성 독거노인의 비율이 매우 높아 이들에 대한 사회적 돌봄과 지원이 필요할 것으로 보인다.


3.6. 평균 연령

남구의 평균 연령은 40.5세로, 울산광역시 평균 연령 40.2세보다 0.3세 높다. 남구의 성별 평균 연령을 살펴보면 남자는 43.1세, 여자는 45.3세로 나타났다. 이는 울산광역시 평균 연령과 비교했을 때 남자는 0.3세, 여자는 0.2세 높은 수준이다. 이를 통해 남구 지역 내 인구가 점진적으로 고령화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3.7. 인구 밀도

인구 밀도는 1㎢ 당 4,465명으로 울산광역시 평균 1,107.62명/㎢보다 매우 높은 수준이다. 이는 남구가 울산광역시의 중심부에 위치하며 인구가 밀집되어 있음을 의미한다. 특히, 삼락동의 경우 인구밀도가 8,128명/㎢로 울산시 전체 평균의 약 7.4배에 달하는 등 지역 간 편차가 크게 나타난다. 이는 사상구 내 준공업지역과 주거지역이 혼재되어 있어 도심 집중화로 인한 인구 집중 현상이 두드러지기 때문으로 보인다.


4. 건강수준
4.1. 흡연율

울산광역시 남구의 흡연율은 청소년부터 성인까지 전반적으로 보통 수준이거나 다소 높은 편이다.

남구의 15-19세 청소년 흡연율은 2018년 17.1%, 2019년 18.3%, 2020년 18.1%로 청소년 흡연율 전국 평균인 16.5%보다 약간 높다. 20-29세 성인의 경우 2018년 38.8%, 2019년 38.4%, 2020년 37.6%로 매우 높은 수준이며, 이는 같은 기간 전국 20대 평균 흡연율 33.4%보다 4%p이상 높다.

30-39세 성인의 경우 2018년 35.1%, 2019년 34.9%, 2020년 34.6%로 전국 평균보다 약간 높고, 40-49세는 2018년 32.7%, 2019년 32.4%, 2020년 32.5%로 전국 평균과 유사한 수준이다. 50세 이상 고령층의 경우 2018년 이후 점진적으로 흡연율이 감소하여 2020년 기준 60-69세 21.7%, 70세 이상 17.8%에 이른다.

전체적으로 남구의 성인...


참고 자료

안옥희 외,지역사회간호학Ⅰ(2020),현문사
KOSIS 국가통계포털,https://kosis.kr/index/index.do
제7기(2019_2022)지역보건의료계획,사상구보건소,
https://www.sasang.go.kr/dong/board/download.sasang?boardId=BBS_0000083&menuCd=DOM_000000406004000000&startPage=1&dataSid=449834&command=update&fileSid=212771
사상구(부산광역시) 데이터시각화 http://datakorea.datastore.or.kr/profile/geo/05000KR26530/
위키백과, “부산광역시”,
https://ko.wikipedia.org/wiki/%EB%B6%80%EC%82%B0%EA%B4%91%EC%97%AD%EC%8B%9C (2021.05.28.)
정경원,“2020년 부산지역 대기오염물질 배출시설 대상 대기오염도 검사결과 발표”,부산광역시, https://www.busan.go.kr/nbtnewsBU/1475428
환경현황,사상구청,https://www.sasang.go.kr/index.sasang?menuCd=DOM_000000104001003006
아동복지시설 현황,부산광역시,https://www.busan.go.kr/welfare/ahchildwelfare
계양구청 2021 구정현황,
계양구청 2022년 인구통계
제25회 2020 인천광역시 계양구 기본통계
2022년 계양구 행정동별 인구 통계
인천도시공사, 계양구청
인천광역시 - 데이터소개 통계로 보는 인천
KOSIS 국가통계포털 - 인구
KOSIS 국가통계포털 - 인구 및 사회
인천광역시 노인인구 현황
계양구청 - 제7기 지역보건 의료계획
계양구 2020구정백서
KOSIS 국가통계포털 - 산업
계양구 2020구정백서
인천광역시 공공보건 의료지원단 - 지역통계
계양구청 - 제7기 지역보건 의료계획
계양구청 - 2020 사회지표(계양구) 결과보고서
KOISI 국가통계포털-인구동향조사
인천광역시 - 공공보건의료지원단-지역통계 지역별 현황
인천광역시 - 2021 인천사회조사 결과보고서
인천광역시청 - 인천데이터포털
e-나라지표 - 영아사망, 모성사망, 출생전후기사망 통계보고서
한국건강증진개발원 - 국민건강증진 종합계획
KOISI 국가통계포털 - 간이생명표
통계청 - 2020 시도별 생명표
인천광역시 - 2021 인천사회조사 결과보고서
「인천광역시기본통계」, 인천광역시
사망원인별 사망 (kosis.kr)
「국민건강영양조사」, 질병관리청
「지역사회건강조사」, 질병관리청 만성질환건강통계 (kdca.go.kr)
「지역사회건강조사」, 질병관리청
「2019년 전국 예방 접종률 현황」, 질병관리청
예방접종 도우미 > 예방접종 알림터 > 보도자료 (kdca.go.kr)
인천광역시보건환경연구원 환경정보공개시스템
2021년 12월 물환경정보시스템 지리정보자료 조회, 수질측정망
2020미추홀참물품질보고서-인천광역시상수도사업부
계양구 2020구정백서
부평구 2021년, 2022년 주요업무계획
통계청, 주제별통계, 하수 및 분뇨 발생량 현황,
2021년 계양구정 주택현황. 2021년 부평구청 주택보급률
행정안전부 주민등록인구통계
한국건강증진개발원, 지역 보건의료 계획서, 인천광역시, 계양구, 중장기 계획
국가통계포털(KOSIS), 시군구(서울, 인천, 경기, 강원)별 의료보장 적용인구 현황(2017 ~ 2020)
울산광역시, 울산소개-구군별 행정구역 통계, https://www.ulsan.go.kr/u/rep/contents.ulsan?mId=001005002002001000
울산광역시, 「울산광역시기본통계」
질병관리청, 「지역사회건강조사」, 시군구별 비만율
울산광역시, 「울산광역시사회조사」, 흡연여부 및 하루흡연량
울산광역시, 「울산광역시사회조사」, 음주사실 및 음주빈도
울산광역시, 「울산광역시사회조사」, 병원 등 의료보건시설
통계청, 「사망원인통계」
안옥희, 「지역사회간호학Ⅰ」, 2020년, P.212-278

주의사항

저작권 EasyAI로 생성된 자료입니다.
EasyAI 자료는 참고 자료로 활용하시고, 추가 검증을 권장 드립니다. 결과물 사용에 대한 책임은 사용자에게 있습니다.
AI자료의 경우 별도의 저작권이 없으므로 구매하신 회원님에게도 저작권이 없습니다.
다른 해피캠퍼스 판매 자료와 마찬가지로 개인적 용도로만 이용해 주셔야 하며, 수정 후 재판매 하시는 등의 상업적인 용도로는 활용 불가합니다.
환불정책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