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내용
1. 서론
1.1. 사례 선택의 이유
구획증후군은 평소에 접하기 어려운 질병이지만, 작년 성인간호학2 시간에 처음 배우게 되어 흥미가 생겼다. 특히 조직압이 높아져 관류가 저하된다는 특징이 신기했기 때문에 이 질병을 선정하게 되었다. 또한 v-sim에서 구획증후군 대상자를 시뮬레이션으로 치료해보며 다시 한번 관심이 생겨 이 질병을 선정하게 되었다.
1.2. 구획증후군에 대한 통계적 자료
급성 구획증후군을 일으키는 상태를 조사한 통계에 따르면, 가장 첫 번째로 많은 원인이 전체의 36%를 차지한 경골 골절이다. 그 다음으로 23.2%인 연조직 부상, 9.8%인 원위 요골 골절, 각각 7.9%를 차지한 압궤증후군과 요척골 골절이 뒤를 이었다"라고 볼 수 있다.
또한 급성 구획증후군과 관련한 부상 종류를 살펴보면, 가장 많은 20.1%를 차지한 운동이 있다. 그 다음으로 12.2%를 차지한 도로 교통사고가 일어난 보행자, 9.8%를 차지한 압궤 손상, 각각 9.2%를 차지한 도로 교통사고가 일어난 운전자와 높은 곳에서 떨어진 부상자가 있으며, 마지막으로 8.5%를 차지한 자살을 시도한 사람/마약 중독자의 부상이 있다"라고 할 수 있다.
1.3. 시나리오 소개
Marilyn Hughes는 45세의 여성으로 오늘 아침 젖은 계단에서 미끄러지면서 왼쪽 중앙 경골과 비골 골절, 즉 하퇴(다리 하부) 골절을 입었다. 그녀는 ORIF(Open Reduction with Internal Fixation)를 위해 수술실로 이송되었다. 그녀는 무릎 아래쪽 다리에 석고 깁스를 하고 13:45에 수술을 마치고 돌아왔다. 활력징후는 안정적이고 신경혈관 검사는 정상범위 내에 있었다. 그녀는 시간당 100 mL로 주입되는 하트만 용액을 IV로 가지고 있고 메스꺼움 없이 액체를 잘 용인하고 있다. 그녀의 식단은 아마도 오늘 저녁 정규식사로 앞당겨질 수 있을 것이다. 가족구성원이 하루 종일 그녀의 침대 곁에서 함께 있었다. 그녀는 수술에서 돌아온 직후 통증을 호소하기 시작했고 14:15에 Tramadol 50mg PO로 투여 받았다. 그녀는 지금 수술 후 매 30분마다 활력징후를 측정하고 있다. 마지막 활력징후는 BP: 130/82, HR: 88, RR: 16이었다.
2. 구획증후군
2.1. 정의
구획증후군은 폐쇄된 구획 내의 조직압이 상승하여, 모세혈관에서의 관류가 저하되는 상태이다. 여러 이유로 인해 부종이 심해질 때 근육 구획 내의 압력이 증가하며 그곳의 동맥을 압박하고 말단부의 혈액 공급을 차단해 4~8시간 안에 구획 내 근육과 기타 연부 조직이 괴사하는 질환이다. 구획 증후군의 종류로는 임박형 구획 증후군과 만성형 구획 증후군이 있다. 임박형 구획 증후군은 조직의 압력이 상승하지만 조직의 괴사는 발생하지 않는 질환이고 확정형 구획 증후군은 조직의 괴사가 발생하는 질환이다. 만성형 구획 증후군(재발형 구획 증후군)은 재발한 임박형 구획 증후군을 의미한다.
2.2. 원인
구획증후군의 원인은 크게 다섯 가지로 볼 수 있다. 첫째, 구획의 크기가 감소한 경우로, 근막 결손의 봉합, 드레싱 및 석고 고정으로 인한 압박, 국소적 외부 압박, 열 손상 및 동상 등이 그 원인이 된다. 둘째, 부종의 경우인데, 이는 출혈 후 종창, 장시간의 사지 압박을 동반한 고정, 열 손상 및 동상 등으로 발생한다. 셋째, 출혈이 원인이 되는 경우로, 혈관 손상, 항응고 치료, 유전성 출혈, 정맥 질환, 독사 교상, 과도한 근육 사용 등이 포함된다. 넷째, 부종 및 출혈이 복합적으로 작용하는 경우로, 골절, 연부 조직 손상 등이 해당된다. 마지막으로, 주사액 침습, 하지 석고붕대 등 기타 요인들도 원인이 될 수 있다."
2.3. 증상
구획증후군의 증상은 다음과 같다.""
구획 증후군의 증상으로는 통증(특히 신전 시 통증), 창백, 부종, 병변 부위의 감각 장애 및 운동 장애, 마비 등이 있다. 간단하게는 근육 일부분의 손상만으로 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