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개글
"1. 합리론과 경험론(르네, 데카르트, 베이컨"에 대한 내용입니다.
목차
1. 근세 철학의 전개
1.1. 근세 철학의 배경
1.2. 합리론과 경험론의 대두
2. 데카르트의 합리론
2.1. 방법적 회의
2.2. 나는 생각한다. 그러므로 나는 존재한다.
2.3. 본유 관념설
2.4. 이원론
2.5. 합리론의 비판점
3. 경험론과 귀납법
3.1. 베이컨
3.2. 로크
3.3. 버클리
3.4. 흄
4. 합리론과 경험론의 종합
5. 참고 문헌
본문내용
1. 근세 철학의 전개
1.1. 근세 철학의 배경
신을 중심으로 한 중세의 철학기가 끝이 나고 세상은 급변하기 시작한다. 신대륙의 발견으로 값싼 노동자들을 많이 확보 할 수 있게 된 후 자본주의가 급격히 발달하고 페스트, 전쟁등으로 사회는 혼란에 빠진다. 그러한 상황에 종교의 타락이 드러나면서 교황권은 차차 추락하고 그와 함께 신의 권위도 점점 몰락하고 그와 반비례하여 자연과학은 눈부신 발전을 거듭한다. 이러한 상황 속에서 근세가 시작 되는 것이다. 인간을 중심으로 하는 르네상스시대가 오면서 철할 또한 인간에게 집중하게 된다. 이렇게 근세 철학의 두 조류 합리론과 경험론이 탄생한다.
1.2. 합리론과 경험론의 대두
근세 철학의 전환기에 등장한 대표적인 두 흐름은 합리론과 경험론이다. 합리론은 인간의 이성을 진리의 원천으로 삼아 인간적 자아의 권리와 권위를 강조하였다. 한편 경험론은 인간의 지식이 감각적 경험에서 유래한다고 보았다.
합리론자들은 직관과 연역을 중요시하였다. 그들은 직관적으로 명확히 판명된 것에서 출발하여 연역적 방법으로 도출된 것을 참다운 지식으로 여겼다. 또한 합리론자들은 인간의 감각적 경험은 믿을만하지 못하다고 주장하였다. 대표적인 합리론자인 데카르트는 "나는 생각한다. 고로 나는 존재한다."는 명제를 통해 자신의 존재를 자명한 진리로 제시하였다. 그는 신의 존재와 함께 정신과 물체가 서로 다른 실체라는 이원론을 주장하였다.
반면 경험론자들은 인간의 지식이 감각적 경험에서 유래한다고 보았다. 대표적인 경험론자인 베이컨은 관찰 가능한 사실에 대한 고찰을 통해 다양한 지식을 얻으려 했다. 그는 인간의 판단을 방해하는 "우상"을 제거하고 귀납법에 의해 자연에 대한 보편적 법칙을 발견하고자 했다. 또 다른 경험론자 로크는 인간의 마음이 백지와 같다고 보며, 감각과 반성을 통해 단순 관념과 복합 관념이 형성된다고 주장하였다. 그러나 로크의 이론에는 제 2 성질의 주관성을 충분히 규명하지 못한 한계가 있었다.
이후 버클리와 흄에 이르러 경험론은 보편타당한 지식의 가능성을 근본적으로 부정하는 회의론에 빠지게 된다. 버클리는 실체의 존재를 부정하고 "존재는 지각이다"라고 주장하였다. 흄은 인과법칙마저 의심하며 지식의 토대가 되는 인과성을 부정하였다. 이처럼 합리론과 경험론은 각자의 한계에 부딪치며 상호보완적인 관계로 발전해왔다.
2. 데카르트의 합리론
2.1. 방법적 회의
데카르트는 모든 것을 의심하는 '방법적 회의'를 통해 확실한 진리를 찾고자 했다"". 그는 우선 감각적 경험, 일반적 존재에 대한 지식, 보편적 지식 등을 모두 의심하고자 했다"". 감각은 우리를 기만할 수 있고, 상상 속의 것도 실재하지 않기 때문에 이 둘은 확실한 진리의 근거가 될 수 없다고 보았다"". 심지어 수학적 진리조차도 악마에 의해 오도될 수 있다고 생각했기 때문에 모든 것을 의심의 대상으로...
참고 자료
김효명, 영국경험론, 아카렛, 2001.
안건훈, 이분법적 사고방식 (그 특성과 문제점), 서광사, 2012.
홍진표, 철학이 묻고 과학이 답하다 (AI시대에 돌아보는 서양근대철학, 데카르트에서 마르크스까지), 글통, 202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