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개글
"전자공학 편입학"에 대한 내용입니다.
목차
1. RSA 암호화 알고리즘
1.1. RSA 암호화 알고리즘 개요
1.2. RSA 암호화 알고리즘의 수학적 원리
1.3. RSA 암호화 알고리즘의 안전성
1.4. RSA 암호화 알고리즘의 활용
2. 포스코 생산/설비기술 부서
2.1. 포스코 생산/설비기술 부서의 업무
2.2. 포스코 생산/설비기술 부서에 필요한 역량
2.3. 포스코 생산/설비기술 부서 진출을 위한 준비
3. 미래 직업에 대한 도전
3.1. 위험사회와 미래 직업의 특징
3.2. 스마트팜 농장주가 되기 위한 계획
3.3. 스마트팜 창업을 위한 준비
4. 참고 문헌
본문내용
1. RSA 암호화 알고리즘
1.1. RSA 암호화 알고리즘 개요
RSA 암호화 알고리즘은 1978년 미국 MIT의 Ron Rivet, Adi Shamir, Len Adelman의 이름 앞 글자를 따서 만들어진 공개키 암호 알고리즘이다. 공개키 암호 알고리즘은 암호화할 때 사용하는 키와 복호화할 때 사용하는 키가 다른 것이 특징이다. 암호화에 사용되는 공개키는 누구나 알 수 있지만, 복호화에 필요한 개인키는 안전하게 유지되어야 한다.
RSA 암호화 알고리즘은 크게 세 단계로 이루어져 있다. 첫 번째 단계에서는 공개키와 개인키를 설정한다. 공개키는 n과 e라는 두 개의 정수로 구성되고, 개인키는 n과 d라는 두 개의 정수로 구성된다. n을 구하기 위해서는 임의의 두 소수 p와 q를 선택하여 이들의 곱을 n으로 하면 된다. 그리고 e는 오일러의 파이 함수를 이용하여 구할 수 있고, d는 유클리드 호제법을 활용하여 구할 수 있다.
두 번째 단계에서는 1단계에서 구한 공개키 (n, e)를 이용하여 정보를 암호화한다. 암호화되지 않은 정보를 M, 암호화된 정보를 C라고 하면 C = M^e mod n의 식으로 암호화가 이루어진다.
마지막 3단계에서는 2단계에서 암호화된 정보 C를 개인키 (n, d)를 이용하여 복호화한다. 페르마의 소정리에 의해 M = C^d mod n의 식이 성립하므로, 이를 이용하여 복호화가 가능하다.
따라서 RSA 암호화 알고리즘은 공개키와 개인키를 사용하여 안전하게 정보를 주고받을 수 있게 해준다. 공개키만으로는 개인키를 알아낼 수 없기 때문에 해커가 메시지를 가로채더라도 복호화할 수 없다는 것이 이 알고리즘의 핵심 특징이다.
1.2. RSA 암호화 알고리즘의 수학적 원리
RSA 암호화 알고리즘의 수학적 원리는 다음과 같다.
RSA 암호화 알고리즘은 1978년 미국 MIT의 Ron Rivet, Adi Shamir, Len Adelman에 의해 고안되었다. RSA 알고리즘은 크게 3단계로 이루어진다.
첫 번째 단계에서는 공개키와 개인키를 설정한다. 공개키는 n과 e라는 두 개의 정수로 이루어지고, 개인키는 n과 d라는 두 개의 정수로 이루어진다. 공개키 (n, e)와 개인키 (n, d)를 구성하는 데 필요한 n은 다음과 같이 구한다. 임의의 두 소수 p와 q를 선택한 후, 이 두 소수를 곱한 값이 n이 된다(n = p × q).
다음으로 e를 구하기 위해서는 오일러의 파이(Φ) 함수를 사용한다. 오일러의 파이 함수 Φ(n)은 n보다 작거나 같은 자연수 중에서 n과 서로소인 자연수의 개수를 의미한다. 위의 식에 의해 Φ(n)의 값을 구한 후, 1과 Φ(n) 사이의 정수 중에서 Φ(n)과 서로소인 e를 선택한다.
마지막으로 개인키의 한 부분인 d를 구하기 위해서는 다음의 식을 사용한다. d는 e와 Φ(n)의 곱셈 역원으로, 이를 통해 구해진다(d × e ≡ 1 (mod Φ(n))).
이렇게 구한 공개키 (n, e)와 개인키 (n, d)를 이용하여 암호화와 복호화가 이루어진다. 암호화 과정에서는 메시지 M을 C로 변환하는데, 이때 C = M^e (mod n) 식을 사용한다. 복호화 과정에서는 암호문 C를 원래의 메시지 M으로 변환하는데, 이때 M = C^d (mod n) 식을 사용한다.
이러한 RSA 암호화 알고리즘의 핵심은 큰 정수의 소인수분해가 어렵다는 점이다. p와 q가 매우 큰 숫자라면 n을 소인수분해하기 어려워지고, 그에 따라 d를 구하기도 쉽지 않다. 따라서 공개키만으로는 개인키를 유추할 수 없어 RSA 알고리즘이 안전하게 작동할 수 있는 것이다.
1.3. RSA 암호화 알고리즘의 안전성
RSA 암호화 알고리즘의 안전성은 큰 정수의 소인수분해 문제의...
참고 자료
최현. (2003). RSA알고리즘을 이용한 GSM 인증프로토콜 제안 및 구현 (국내석사학위논문). 全北大學校 大學院, 전라북도.
신인철,이민섭,박창섭,김범식,우찬일,& 최춘수. (1998). RSA 암호화 알고리즘의 구현에 관한 연구. 論文集, 33(-), 225-245.
박정균. (1999). RSA와 ECC암호화 방법의 비교분석 (국내석사학위논문). 明知大學校 大學院, 경기도.
류희수. (2005). RSA 공개키 암호 공격기법 탐구. 과학교육논총, 18(-), 89-98.
허석원. (2003). 스마트카드 구현에 적합한 최적화된 RSA 암호화 프로세서 설계 (국내석사학위논문). 연세대학교 대학원, 서울.
강영재. (2013). 타원곡선암호시스템과 RSA암호시스템 차이분석 (국내석사학위논문). 명지대학교 대학원, 서울.
배움 너머 [중1수학] 암호를 풀어라 . (n.d.). https://www.ebs.co.kr/tv/show?prodId=10294&lectId=10119355.
포스코 뉴스룸. “직무별 특징 소개”. https://newsroom.posco.com/.
김현수,서동일.2020.10.25.“한 명의 천재가 10만 명 먹여 살린다”... 초일류 삼성 키운 인재경영.동아일보
김삼웅.2016.7.1. 수치로 나타난 위험사회의 증후군.경향신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