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내용
1. 임플란트 치과학 개요
1.1. 치과 임플란트 치료
1.1.1. 정의
치과 임플란트 지지 보철치료는 치아가 상실된 부위에 치아의 기능을 대신할 수 있는 치과 보철물을 연결할 수 있도록 잇몸뼈에 치근 모양의 생체에 적합한 재료를 식립하는 치료방법이다. 치과 임플란트의 치료는 치주병, 치아우식증, 사고에 의한 치아 상실 등 통상적인 보철치료의 부작용과 문제점들을 해결하는 이상적인 치료방법으로 제시되고 있다.
1.1.2. 치료의 흐름
임플란트 환자가 내원하면 일반 치료와 마찬가지로 전신 및 치과병력, 문진, 구내검사 등의 자료를 근거로 치료계획을 세운다. 환자에게 충분히 설명한 뒤에 동의가 이루어지면 임플란트 식립수술을 진행하며, 필요할 경우에는 골 조성 수술이 추가될 수 있다. 수술이 끝나면 골 결합 및 치유단계를 거쳐 보철치료를 위한 상부구조의 제작단계로 전환한다. 즉 일반적인 보철치료 과정에 비해 장기간의 치료가 요구된다. 또한 최종 보철물 장착 후에도 보철물의 수명 연장을 위해 지속적인 유지.관리가 필요하다. 임플란트지지 보철 환자에게 정기적인 계속관리(Re-call)는 치료의 흐름에 포함된다.
1.2. 치과 임플란트 치료의 발전
1.2.1. 치과 임플란트 치료의 발전
치과 임플란트 치료의 발전은 1952년 스웨덴 퍼 앙바르 브레네막(per-ingvar Branemark) 교수의 연구에서 시작되었다. 브레네막 교수는 토끼의 다리뼈에 이식한 티타늄 금속이 몇 달 후에 뼈와 주변 조직에 엉켜서 떼어낼 수 없었던 시간을 계기로, 이를 환자에게 적용함으로써 거부반응 없이 융합된 티타늄 재료를 치과 임플란트 임상에 적용하여 최초로 성공을 거두었다. 또한 그는 1977년에 티타늄 소재의 나사형 임플란트를 이용한 임상결과를 발표하여 2회 수술법을 소개하고, 임플란트 골유착의 개념을 제시하였다.
한편 또 하나의 현대 임플란트 발전의 축으로는 앙드레 슈러더(AndreSchroeder) 교수에 의한 발전이 있다. 슈러더 교수는 1980년 스위스 스트라우만(Strau-mann)사와 합력하여 공동 연구체인 ITI(International Team for Oral Implantology)를 설립하고 세계적인 조직으로 이끌었다. 이를 토대로 브레네막의 2회 수술법과 함께 ITI 시스템의 1회 수술법이 개발되어 현대적 임플란트의 대표적인 치료방법으로 자리잡게 되었다.
이처럼 치과 임플란트 치료는 1952년 브레네막 교수의 연구를 시작으로 티타늄 재료의 발견과 골유착 개념의 정립, 그리고 브레네막과 슈러더에 의한 2회 수술법과 1회 수술법의 개발 등을 통해 지속적으로 발전해왔다. 이를 통해 임플란트 치료는 현재 치과 전문 과목에 관계없이 대부분의 치과의사가 시행하는 주요한 치료방법으로 자리 잡게 되었다.
1.2.2. 임플란트 고정체의 형태
임플란트 고정체의 형태는 매우 다양하게 발전되어 왔다. 초기의 골막하형, 골관통형 임플란트에서 시작하여 현재는 골내형 임플란트가 주로 사용된다""
골막하 임플란트는 골 표면을 따라 고정체를 장착하는 방식으로, 골 표면에서 지지를 얻기 때문에 적합도가 매우 낮다""
골관통형 임플란트는 구강점막과 하악골 하방 변연부까지 관통하여 식립하는 방법으로, 초기에는 하악 의치에서 사용되었으며 전신마취가 필요하다""
반면 골내형 임플란트는 구강점막을 관통하여 뼈에 구멍을 뚫어서 악골에 고정하는 방법으로, 초기 칼날형에서 시작하여 원통형, 치근 모양의 스크류형으로 변화되었다""
이처럼 임플란트 고정체의 형태는 매우 실험적이고 다양한 디자인으로 고안되어 왔으며, 초기의 그물 형태, 칼날 형태 등은 모두 사라지고 현재는 나사 형태의 임플란트만 사용되고 있다""
1.3. 보철 주도형 치료의 실현
임플란트 치료는 임플란트 고정체의 발전으로 '오스테오인테그레이션(osseointegration)'이라는 '골유착' 반응에 대한 응용범위가 확대되었다"". 잔존 골량, 골질의 부적응에 대한 한계는 골이식이나 치은점막 이식 등으로 적응증이 확대되었으며, 임플란트 고정체의 재료 및 디자인의 발전, 접촉면을 넓히기 위한 거친 표면처리, 그리고 젖음성 향상 등으로 뼈와 더 잘 유착될 수 있도록 하는 연구와 개발이 지속적으로 이루어지고 있다"". 임상 응용 결과에서 단일 식립뿐만 아니라 다수의 임플란트 식립 역시 성공적인 결과를 보이고 있으며, 지연치와 유사한 기능과 심미적 회복을 실현하고 있다"". 오늘날 임플란트 고정체와 지대주를 연결하는 다양한 연결구조의 설계와 응용을 통해 최종 보철장치를 고려한 보철 중심의 임플란트 치료체계가 확립되었다"".
1.4. 임플란트의 기본 구조와 구성요소
1.4.1. 임플란트의 기본 구조
치과 임플란트의 기본 구조는 크게 치근에 해당하는 골내 삽입 부분인 고정체와 점막관통 부분인 지대주, 그리고 상부구조를 이루는 금 원주로 구성된다.
고정체는 임플란트체 또는 고정체라 하며, 자연치아의 치근을 대체하는 요소이다. 각 제조회사에 따라 다양한 소재, 표면, 형태로 개발되어 사용되고 있다. 소재는 금속 재료로 순수 티타늄과 티타늄 합금, 코발트계 합금이 있고, 세라막 종류로는 알루미나, 탄소강, 지르코니아, 활성 글래스, 인산칼슘, 그 외 다양한 고분자 재료들이 있다. 이 중 특히 많이 사용되는 재료는 티타늄으로, 뼈와 직접 결합한다는 이론을 토대로 현재까지도 임플란트 소재의 근간을 이루고 있다.
지대주는 상부구조와 임플란트 고정체를 연결하는 연결부이다. 소재는 티타늄이나 티타늄 합금이 주로 사용되지만 심미적인 면을 고려한 세라믹제도 사용된다. 형태는 고정방법에 따라 시멘트 타입과 스크류 타입으로 나누어진다. 시멘트형 임플란트는 상부구조와 시멘트로 고정하는 방식이고, 스크류형 임플란트는 상부구조와 지대주 나사로 연결되는 방식이다.
상부구조는 임플란트 상부 구조물 제작을 위해 주로 하이브리드 세라믹, 메탈 본드, 올 세라믹, 지르코니아 등의 재료를 사용한다. 각각의 재료는 외관이나 내구성, 생체 적응성에서 서로 다른 특징을 가지고 있다.
1.4.2. 임플란트의 구성요소
임플란트의 구성요소는 크게 고정체(fixture), 지대주(abutment) 및 지대주 나사(abutment screw), 그리고 상부구조를 이루는 금 원주(gold cylinder) 및 금 나사(gold screw)로 구성된다.
고정체는 자연치아의 치근을 대체하는 요소로, 각 제조사에 따라 다양한 소재, 표면, 형태로 개발되어 사용되고 있다. 소재는 주로 금속 재료인 순수 티타늄, 티타늄 합금, 코발트계 합금 등이 사용되며, 세라믹 재료로는 알루미나, 탄소강, 지르코니아, 활성 글래스, 인산칼슘 등이 있다. 현재 가장 많이 사용되는 재료는 브레네막의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한 티타늄이다. 고정체의 형태는 원통형, 원추형, 나사형 등이 있으며, 고정체와 지대주의 연결 방식에 따라 외부 연결 방식과 내부 연결 방식으로 구분된다. 또한 임플란트 수술 방식에 따라 2회 수술법과 1회 수술법으로 나뉜다.
지대주는 상부구조와 임플란트 고정체를 연결하는 역할을 하며, 주로 티타늄이나 티타늄 합금이 사용되지만 심미성을 고려하여 세라믹제도 사용된다. 지대주의 고정 방식은 시멘트형과 스크류형으로 나뉜다.
상부구조는 임플란트 보철물 제작을 위해 사용되는 재료로, 하이브리드 세라믹, 메탈 본드, 올 세라믹, 지르코니아 등이 사용된다. 각 재료는 외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