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개글
"중동의 유네스코와 한국의 문화유산과 비교"에 대한 내용입니다.
목차
1. 환경적 측면과 사회적 측면에서 바라본 한반도 DMZ
1.1. 서론
1.1.1. 문제제기
1.1.2. DMZ 개념과 역할
1.2. 환경적 측면에서 바라본 DMZ
1.2.1. DMZ 내 희귀 동물
1.2.2. DMZ 내 희귀 식물
1.3. 사회적 측면에서 바라본 DMZ
1.3.1. DMZ와 통일
1.3.2. 통일 대비 DMZ 활용방안
1.4. 결론
2. 한식의 글로벌 현지화: 한국 닭갈비의 터키 현지화
2.1. 서론
2.1.1. 개요 및 선정 배경
2.2. 본론
2.2.1. 환경분석
2.2.2. 재무계획
2.2.3. 오픈 계획
2.3. 결론 및 느낀점
3. 이란 사태와 국제경제에 미치는 영향
3.1. 미국-이란 갈등 배경
3.2. 미국과 이란의 역사적 사건
3.3. 미국 제재가 이란 경제에 미친 영향
3.4. 이란 현역장성 암살에 대한 트럼프 의도
3.5. 국제경제에 미치는 영향
4. 참고 문헌
본문내용
1. 환경적 측면과 사회적 측면에서 바라본 한반도 DMZ
1.1. 서론
1.1.1. 문제제기
25한국전쟁 남북분단 이후 한반도는 국가안보와 평화 나아가 세계평화를 위해 통일이라는 과제를 안고 있기에 우리는 지속적인 관심이 필요하다. 전쟁이후 남북은 적대적 관계를 유지해오다 2000년 6·15 남북 공동선언과 이산가족 상봉으로 화해의 분위기가 이어졌다. 그러다 2006년 노무현 정부가 들어서면서 북한이 핵실험을 강행하자 지원을 끊었지만 제2차 남북정상회담을 가지면서 무난한 관계를 이어갔다. 하지만 이명박정부가 들어서면서 이산가족상봉이 이루어지고 남북정상회담 가능성이 언급된 가운데, 2010년 천안함 침몰 사태와 연평도 해안 포격사태로 남북 간의 관계는 다시 냉랭해지고 김정은이 정권을 이양받은 현시점까지 냉랭한 관계를 유지하고 있다. 이러한 상황속에서 우리는 DMZ를 이해하고 이를 활용한 통일대안을 알아보면서 통일에 대한 관심을 고취시키고자 한다.
1.1.2. DMZ 개념과 역할
DMZ는 Demilitarized zone의 약자로 군사적 비무장지대를 말한다. DMZ는 휴전협정이후 두 나라의 직접적인 충돌을 막기위해 일정한 간격을 두어 충돌을 완화시키는 중립지대이다. 폭 4km, 길이 248km, 넓이 1528㎢(462,220,000평)로 설정되어 있다. 비무장지대에서는 군대의 주둔이나 무기의 배치, 군사시설의 설치가 금지되며, 이미 설치된 군대와 관련시설은 철수 또는 철거하여야 한다.
한반도에서의 DMZ는 1950년-53년 진행된 한국전쟁의 정전협정에 의해 성립되었다. 이 협정의 제1조 1항은 '한 개의 군사분계선을 확정하고 쌍방이 이 선으로부터 각기 각 2㎞씩 후퇴함으로써 적대군대 간에 한 개의 비무장지대를 설정한다. 한 개의 비무장지대를 설정하여 이를 완충지대로 함으로써 적대행위의 재발을 초래할 수 있는 사건의 발생을 방지한다.'고 규정하고 있다.
비무장지대는 분단 이후 50여 년간 민간인의 접근이 통제·제한되어 왔기 때문에 생태가 훼손없이 잘 보존되어 어느 지역에서도 찾아볼 수 없는 독특한 자연생태계를 형성하고 있다. 이 지역은 자연경관이 우수하고 생물다양성이 뛰어날 뿐아니라, 주요 희귀 야생동물이 서식하고 있어 세계적으로 주목받고 있다. 따라서 DMZ는 전쟁, 평화 그리고 분단, 통일의 상징성뿐만 아니라 개발과 보존의 잠재성도 지니고 있다고 할 수 있다.
1.2. 환경적 측면에서 바라본 DMZ
1.2.1. DMZ 내 희귀 동물
DMZ 내 희귀 동물은 다양한 멸종위기종과 천연기념물이 서식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2005년 환경부의 발표에 따르면 DMZ에는 총 2716종의 야생동물이 서식하고 있으며, 이 중 67종은 멸종위기종에 해당한다.
DMZ 내에는 반달가슴곰, 여우, 사향노루, 산양, 수달 등의 천연기념물과 멸종위기종이 발견되고 있다. 특히 반달가슴곰, 사향노루, 곰 등의 개체수가 점차 감소하고 있는 것으로 조사되고 있다. 이는 과도한 포획과 서식지 파괴 등이 원인으로 파악된다. 또한 삵, 식충성 박쥐류 등의 개체수도 줄어들고 있는 실정이다.
반면 고라니, 청설모, 다람쥐, 두더지 및 쥐류 등의 소형 포유류는 DMZ 내 풍부한 먹이자원과 천적 동물이 적은 환경 덕분에 개체수가 증가하고 있다. DMZ가 민간인 출입 통제구역으로 지정되어 보존된 결과라고 할 수 있다.
이처럼 DMZ는 전쟁으로 인한 개발과 인간의 간섭이 제한되어 희귀 동물들의 서식지로 보전되어 왔다. 하지만 최근 DMZ 일대의 도로 부설과 개발로 인해 동물들의 서식지가 단절되고 훼손되는 사례가 발생하고 있어, 이에 대한 보호와 관리가 필요한 실정이다.
1.2.2. DMZ 내 희귀 식물
DMZ 내 희귀 식물은 6.25전쟁 이후 60여 년 간 민간인 출입이 통제되면서 생태계가 잘 보존되어 국내외로 많은 관심을 받고 있다. 문화부ㆍ문화재관리국(1992)의 조사에 따르면 DMZ 일대에는 총 121과 480속 919종 159변종의 관속식물이 서식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 중 특히 향로봉의 1,000m 이상 지역, 양구의 한전리 일원, 대암산 용늪, 두타연 주변 등은 철저한 보호가 요구되는 지역이다.
성천문화재단(1996)에서 발간한 보고서에 따르면 DMZ 일대에서 관찰된 관속식물은 총 118과 506속 1,220종이며, 이 중 양치식물이 15과 27속 50종, 나자식물이 3과 8속 13종, 피자식물이 100과 471속 1,157종으로 확인되었다. 특히 대암산 용늪, 대암산, 가칠봉, 두타연, 건봉산과 향로봉, 강화도 등의 지역은 학술적 및 연구목적, 생물관광자원으로 영구히 보존해야 한다고 제안하고 있다.
산림청 임업연구원(2000)의 조사 결과, DMZ 및 인접지역에서는 126과 514속 1,004종 3아종 168변종 19품종으로 총 1,194종의 식물이 발견되었다. 이 중 희귀식물은 26과 31속 29종 5변종으로 총 34종류이고, 특산식물은 24과 38속 38종 9변종 1품종으로 총 48종류로 조사되었다.
특히 DMZ 일대에는 서양민들레, 돼지풀, 달맞이꽃 등의 외국 귀화식물이 번성하고 있어 토착 식물생태계를 위협하고 있는 실정이다. 이러한 외래종의 유입은 6.25 전쟁 당시 군수품 유입으로 인해 전해진 것으로 추정된다. 산림청 임업연구원(2000)의 보고서에 따르면 DMZ 일대의 귀화식물은 총 23과 67속 93종 3변종 1품종으로 97종류인 것으로 조사되었다.
한편 DMZ 일대의 식생은 천이과정을 잘 보여주고 있는데, 특히 양구군 방산면 민통선 일대는 다양한 천이 단계를 관찰할 수 있는 자연학습장으로 평가받고 있다. 이처럼 DMZ 내 희귀 식물과 식생은 생태학적, 분류학적 측면에서 매우 귀중한 자원으로 평가되고 있어, 국가적 차원에서 체계적인 보전 노력이 필요한 실정이다.
1.3. 사회적 측면에서 바라본 DMZ
1.3.1. DMZ와 통일
DMZ는 분단 이후 60년간 민간인 출입통제가 되면서 생태보전이 잘되어 세계적으로 주목받고 있다....
참고 자료
박은진. DMZ 일원 평화생태공원 기본구상, 경기개발연구원. 2008.
문화부, 문화재관리국(1992), 비무장지대 인접지역 자연종합 학술조사 보고서 성천문화재단(1996), 비무장지지대, 현암사
산림청 임업연구원(2000), 비무장지대 및 인접지역의 산림생태계조사 종합보고서
환경부(1992), 비무장지대 인접지역의 자연생태계 정밀 조사보고서
김귀곤(2000), DMZ 및 민통지역의 자연생태계, (서울: 소화, 2000)?
심양식 (2000). 비무장지대의 관광자연개발 방안에 관한 연구. 석사학위논문. 경희대학교, 서울.
김유승 (2002). 비무장지대(DMZ)의 평화지향형 관광개발에 관한연구. 석사학위논문. 경기대, 경기도 [국회전자도서관 - http://dlps.nanet.go.kr/SearchDetailView.do?cn=KDMT1200261481&sysid=nhn]
전 철. (2007). DMZ 관광자원의 인지도와 활용방안 분석. 석사학위논문. 세종대학교, 서울.
[국회전자도서관 http://dlps.nanet.go.kr/SearchDetailList.do]
강인구. (2007). 통일한반도를 대비한 DMZ의 관광자원화 방안에 관한 연구. 석사학위논문, 관동대학교, 강릉
[RISS - http://kims.kmu.ac.kr/90a6552/_Lib_Proxy_Url/www.riss.kr/search/detail/DetailView.do?p_mat_type=be54d9b8bc7cdb09&control_no=141705696acc2707ffe0bdc3ef48d419#redirect]
통일연구원. (2011). DMZ 평화적 이용의 국가적 의미. 제2-2361호 ?보고서 [NDSL - http://report.ndsl.kr/repDetail.do?cn=TRKO201300027957&topN=4]
강원일보, - 생명과 희망의 땅 DMZ 세계 평화 중심지로 만든다, 이성현기자 - 2013-11-20 [출처http://www.kinds.or.kr/]
강원일보, - [DMZ 60년, 이제 평화를 꿈꾼다]돌고 돌아 다시 통일이다, 김석만·이성현기자 - 2013-11-29 [출처http://www.kinds.or.kr/]
김주원. (2013). DMZ 남과북, 어느곳의 영토도 아닌땅. 서울. 글과 생각.
[단행본 동산도서관이용]
‘美, 이란 공습’ 국내 휘발유 가격 악영향 우려/송현수/2020.01.05
이란산 원유 수입 '0배럴'인데…국내 정유사들 속타는 이유/이수기/2020.01.06
美·이란 갈등 고조…정부, 오후에 긴급 경제장관회의(종합)/장성구/2020.01.06
미국·이란 갈등 격화…“국내 증시에 부정적 영향”/이봄/2020.01.07
[경제 ISSUE+] 미국·이란 충돌시 국제유가 영향 제한적…장기화시 글로벌 경기 침체 가능성/윤영선/2020.01.06
[종합]전운 감도는 미국 VS 이란…높아진 중동 긴장감/한국경제/2020.01.06
미국-이란 갈등, 우리에게 미칠 영향은?/권정두/2020.01.07
`이란 유탄`에…아람코 주가 곤두박질/김덕식/2020.01.07
안전자산 시험대? 미국-이란 갈등에 금·원유·비트코인 동시상승/김병철/2020.01.07
사망한 이란 권력 2인자 솔레이마니, 미국엔 ‘눈엣가시’/손성원/2020.01.03
[WIKI 프리즘] 미국의 제재는 이란을 얼마나 힘들게 해왔을까/최석진/2020.01.06
트럼프, 이란과 짜고 '전쟁사기극' 연출했다?/심일보/2020.01.09
[데스크 칼럼]트럼프발 드론 폭격 내 자산에 어떤 영향줄까/이종혁/2020.01.0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