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개글
"아프리카는 왜 가난한가"에 대한 내용입니다.
목차
1. 서론
2. 아프리카의 역사
2.1. 아프리카 대륙의 인류 태동
2.2. 고대 아프리카 왕국들
2.3. 노예무역시대
2.4. 전도와 탐험의 시대
2.5. 식민지 시대
2.6. 아프리카 민족운동 시대
2.7. 아프리카 국가들의 독립 시대
3. 아프리카가 여전히 가난한 이유
3.1. 역사적 요인
3.1.1. 과거 제국주의의 영향
3.1.2. 부정부패와 위정자, 정부의 악정
3.1.3. 국가정부의 통치능력의 부재
3.2. 문화적 요인
3.2.1. 아프리카 특유의 문화적 습성
3.2.2. 오래된 가뭄으로 인한 기근
3.2.3. 각종 질병
4. 아프리카에 대한 견해
5. 결론
6. 참고 문헌
본문내용
1. 서론
우리가 보통 아프리카를 생각하면 못살아 가난과 병들로 찌들고 내전이 끊이지 않는 미개한 후진국으로 보고 있다. 그런 이유가 성경책에 처음 나온다. 해당되는 성경 창세기에 나오는 홍수로 말미암아 유일하게 살아남은 8명 중에서 노아가 처음 농사를 지어 수확한 포도주로 인하여 인사불성이 되어 홀랑 벗고 자고 있었다. 아들 함이 그것을 보고 비웃은 마음으로 나머지 형제에게 말했다. 셈과 야벳은 아버지를 가리울 옷을 어깨에 걸치고 뒷걸음질 쳐서 아버지들 덮어준다. 이를 알게 된 노아가 작은 아들 함이 자기에게 한 일을 알게 되면서 함에게 형제에게 속한 가장 낮은 종이 될 것이라는 저주를 퍼부었고 그 후손들이 아프리카인이라는 것이다.
우리 눈에 비친 아프리카는 어떤 모습일까? '동물의 왕국'이나 '타잔'에 나타난 것처럼 동물만의 천국은 아닐까? 거기 살고 있는 사람들은 질병과 기아에 굶주리고 내전에 시달리는 똑같이 비극적 모습을 가진 '블랙 아프리카(black Africa)'이다. 다른 이미지는 별로 떠오르지 않는다. 사실 너무 아는 것이 없다는 느낌부터 앞선다. 알고 있는 사실도 유럽이나 UN과 같은 국제기구의 눈을 통해 굴절된 모습들이다. 그러나 이 책을 통해 알게 된 아프리카와 그곳의 역사는 아주 다채롭고 다양하고 훨씬 더 풍부하다. 한 마디로 '컬러풀 아프리카(coloeful Africa)'이다.
약 5억 5천만 년 전 대륙 중 가장 먼저 아프리카 대륙이 만들어졌다. 여기서 생명이 탄생하였고, 호모 하빌리스, 호모 에렉투스를 이어 호모 사피엔스까지 초기 인류가 발전해 전 세계로 퍼져나갔다. 인간은 생각을 그림으로 표현할 줄 알았고, 정착 생활을 시작하면서 점점 공동체를 이루어 지내기 시작했다. 이집트에서는 태양력이 사용되고 피라미드가 건축되는 등 문화적 발전이 이루어졌다. 파라오가 통치권을 확립하고 이웃 지역에 대한 지배를 확대해나가면서 권력관계가 형성되었고, 생존을 위한 전쟁도 벌어졌다. 누비아 지역에는 쿠시 왕국이 자리 잡았다. 중앙 아프리카의 원시림에는 오늘날까지도 국가의 통제를 거부하며 자신들만의 생활방식을 고집하는 피그미족이 거주하였다. 아프리카에는 다양한 신앙의 전통이 있는데, 이슬람교와 기독교 성직자들은 그것을 이해하려 하지 않았다.
2. 아프리카의 역사
2.1. 아프리카 대륙의 인류 태동
아프리카 대륙의 인류 태동은 약 5억 5천만 년 전부터 시작되었다. 이 시기 아프리카 대륙은 다른 모든 대륙보다 먼저 솟아올랐으며, 이후 약 200만 년 전부터 초기 인류가 발전하기 시작하였다. 최근의 고고학적 성과에 따르면, 인류의 아프리카 기원설이 매우 유력한 것으로 나타났다.
영국의 고고학자 L.리키 박사 부부가 1959년 7월 17일 탄자니아 북서부 올드바이 계곡에서 발견한 진잔트로푸스 보이세이 화석은 약 180만 년 전의 것으로 추정된다. 이는 직립 보행했고 조제석기를 사용했던 사람과(科)로 알려져 있다. 또한 케냐 북부에서 발견된 화석은 약 1400만 년 전의 것으로 추정된다. 이러한 화석 발견을 통해 인류가 계속 아프리카 대륙에 살아왔다는 것이 확인되었다.
호모 사피엔스를 비롯한 현생 인류의 조상인 호모 하빌리스는 약 5만 년 전 이미 아프리카 대륙에 광범위하게 퍼져 있었음이 확인되었다. 아프리카 기원설에 따르면, 현대 인류는 약 20만 년 전 아프리카 사하라 이남 지역에서 진화했고, 이후 신속하게 확산되어 다른 종족을 대체했다고 한다. 최근 펜실베이니아 주립대 사라 티 슈코프 박사의 연구에서도 이러한 아프리카 기원설이 입증되고 있다.
이처럼 아프리카 대륙은 인류의 발상지이자 진화의 터전이었다. 이곳에서 시작된 호모 사피엔스는 점차 계보를 이어가며 전 세계로 퍼져나가 현대 인류를 형성해 왔다. 이는 아프리카 대륙의 역사와 문화가 전 인류 역사의 근간을 이루고 있음을 보여준다.
2.2. 고대 아프리카 왕국들
고대 아프리카 왕국들은 역사적으로 찬란한 문화와 문명을 꽃 피웠다"고 할 수 있다. 아프리카에서 가장 오래된 흑인왕국으로 알려진 것은 BC 10세기 무렵 이집트 남쪽에서 일어난 쿠시왕국이다. 나일강 종류의 나파타가 수도였던 이 왕국은 고대 이집트왕조가 쇠퇴함을 틈타 이집트를 정복하고 제25왕조를 세웠다. 그러나 BC 667년에 아시리아군의 침입을 받아 남방 메로웨로 도읍을 옮기고 메로웨왕조를 열었다. 이 왕조는 인도양에 이르는 교역 루트와 제철기술로 번성했으며, 독자적인 메고웨문자를 발명했다. 그 문화는 그리스, 로마의 영향을 크게 받았으며, 큰 구조물을 많이 건설했다. 그러나 기원 전후에 로마군의 침략을 받고 또 BC 350년에는 교역 루트를 장악한 악숨왕국의 침입을 받아 멸망했다. 악숨왕국은 현재의 에티오피아의 전신으로, 아라비아반도와 강한 우대를 가졌고, 인도양 교역으로 번영했다. 6세기에 비잔틴제국과 손을 잡고 페르시아에 대항했으나 오히려 페르시아에게 멸망되었다. 서(西)수단 지방에서는 8세기에 가나제국이 번성했는데, 왕가라족의 금(金)과 북쪽의 아랍인이 가지고 온 소금의 교역을 중개하여 경제적 이득을 보았다. 11세기 후반, 북쪽의 무라비트 왕조가 가나제국의 이슬람 개종(改宗)을 기도하여 남하했는데 1075년에 제국은 멸망했다. 그 뒤 1240년, 만딩고 족이 이 지역에 말리제국을 세웠다. 이 제국은 세력을 서방으로 확대하여 왕가라, 밤부크를 포함하여 감비아강에 이르는 일대 제국으로 발전했다. 그 경제적 기초는 사하라를 넘는 교역에 부과한 세수(稅收)였으며, 14세기에는 니제르강 만곡부에 있는 통부크투가 상업, 학문의 중심지로서 발전했다. 제3대 만사무사왕은 1324년 여러 종자(從者)와 함께 황금을 가지고 메카를 순례하는 도중에, 카이로에서 황금을 물쓰듯하여 카이로의 금 시세가 10년 이상 동안 떨어졌다고 한다. 왕의 사후, 제국은 차츰 쇠퇴하여 아들 마가왕 시대에는 모시 족에게 통부크투를 빼앗겼다. 제 5대 슬레이만 왕은 세력 회복에 힘썼으며, 이 시기에 말리제국을 방문했던 아랍인 역사가 이븐 바투타는 에서 그 번영상과 정연했던 국내질서를 기록하고 있다. 그러나 15세기 초에 북방의 유목민 투아레그족과 남쪽 모시족의 침략을 받고, 1473년 송가이제국에 의해 젠네를 점령당해 말리제국은 멸망했다.
2.3. 노예무역시대
15세기 유럽인의 대항해시대 개막은 종래부터 있어왔던, 북아프리카로부터 사하라사막을 넘는 교역과 인도양을 통한 ...
참고 자료
유윤정, “울고 싶은 아프리카 슈퍼리치...자산 수조원 증발”, 조선비즈, 2015.03.04.
Anna Riley, “Managing currency risk in Africa: A playbook for decision-making”, Sofala Partners, 2018.12
Ruben Nizard, “Currency Risk in Africa: easing in 2018, but reserves have melted”, Coface, 2018.04.24.
UNCTAD, “UNCTAD Economic Development in Africa Reprot 2017”, UNCTAD, 2017.07.05.
정미성, “2019년 아프리카 외국인직접투자(FDI)는 어디로?”, 코트라, 2020.07.02.
UNCTAD, “World Investment Report 2020”, UNCTAD, 2020.06.16.
Ionel Zamfir, “Africa’s economic growth Taking off or slowing down?”, European Parliament, 2016.01
Avenue Joseph Anoma, “African Economic Outlook 2019”, AFDB, 2019.01.17.
World Bank, “Fertility rate, total(births per woman) - Sub-Saharan Africa”, World Bank Data, 2019
African Development Bank Group, “Feed Africa, the road to agricultural transformation in Africa”, ADBG, 2016.05
1. 아프리카의 역사, 아일리프 저, 가지않는 길, 2002.
2. 현대 아프라키의 이해, 에이플린 저, 다해, 2002.
3. 처음 읽는 아프리카의 역사, 루츠콴다이크 저, 웅진지식하우스, 2005.
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