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개글
"챗 GPT 말고 사용할 수 있는 검색 AI 있어"에 대한 내용입니다.
목차
1. IT 트렌드
1.1. ChatGPT 소개
1.2. Web 3.0
1.3. 산업 클라우드 플랫폼의 확장
1.4. 패스워드리스(passwordLess) 기술
2. ChatGPT에 대한 지식과 프롬프트 가이드
2.1. ChatGPT란?
2.2. ChatGPT의 역할
2.3. ChatGPT의 활용
2.4. ChatGPT의 논란
3. ChatGPT의 부정적인 면 재검토 필요성
3.1. 정보의 제한
3.2. 미래의 일자리 위협
3.3. 사이버 보안 문제
4. 참고 문헌
본문내용
1. IT 트렌드
1.1. ChatGPT 소개
1.2. Web 3.0
Web 3.0은 인공지능과 블록체인을 기반으로 맞춤형 정보를 제공하고 데이터 소유를 개인화하는 3세대 웹 기술이다. 이전 웹 1.0이 정적 웹사이트의 집합이었다면 웹 2.0에서는 이용자가 참여하는 웹환경이 되었다. 그러나 웹 2.0에서는 방대한 데이터 생성으로 인한 해킹 범죄의 대상이 되었다.
웹 3.0에서는 블록체인 기술을 도입하여 정보를 보호하고 개인이 정보를 소유할 수 있게 되었다. 이로 인해 보안성과 익명성이 강화되었으며, 사용자 간에 직접 정보를 주고받는 P2P(Peer to Peer) 방식이 가능해졌다. 또한 개인이 생성한 콘텐츠의 수익이 플랫폼이 아닌 개인에게 분배되는 등 새로운 수익 모델이 등장하였다. 대표적인 사례로 스팀잇(Steemit)과 구글 에드센스를 들 수 있다.
이처럼 웹 3.0은 인공지능과 블록체인 기술을 기반으로 개인화된 서비스와 데이터 소유권을 제공하며, 새로운 비즈니스 모델을 창출하고 있다. 앞으로 웹 3.0 기술이 더욱 발전하면 개인 맞춤형 정보 제공과 데이터 보안, 그리고 혁신적인 수익 모델 등을 통해 우리의 일상생활에 큰 변화를 가져올 것으로 기대된다.
1.3. 산업 클라우드 플랫폼의 확장
산업 클라우드 플랫폼은 서비스형 소프트웨어(SaaS), 서비스형 플랫폼(PaaS), 서비스형 인프라(IaaS)를 통합하여 제공하는 것을 말한다. IT업계는 물론 금융, 제조업에서도 클라우드로 디지털 플랫폼을 구축하려는 움직임이 활발하다. 해외 클라우드와 비교했을 때, 아직 성숙되지 않은 상태이지만 국내 클라우드 시장 규모가 5조 원에 육박하면서 클라우드 시장의 성장세가 두드러지고 있다. 정부 역시 민간 클라우드 퍼스트 정책과 세제 지원 등을 통해 클라우드 확장에 힘을 보태려는 움직임을 보이고 있다. 가트너는 2027년까지 기업의 50% 이상이 산업 클라우드 플랫폼을 사용할 것이며, 클라우드 네트워크는 비즈니스 핵심 자원이 될 것으로 전망한다. 이처럼 산업용 클라우드는 물론 업무에 필요한 여러 가지 자산이 포함된 통합 클라우드 플랫폼이 수직적으로 확장되고 있다. 수직적 확장이란 특정 산업 분야를 타겟팅하여 특화된 기능을 보유한 클라우드 플랫폼이 강화되고 있다는 뜻이다. 그간 산업 클라우드에 집중해온 마이크로소프트와 아마존 웹서비스(AWS)는 각 산업의 요건을 정의하고, 그에 맞게 여러 범용 서비스를 묶어 디지털 정보를 효율적으로 운용할 수 있도록 제공하고 있다. 산업 클라우드 플랫폼은 특히 의료, 제조, 공급망, 농업, 금융 등에서 두드러지게 확대되고 있으며, 향후 더 다양한 산업군에서 그 역할이 커질 것으로 보인다.
1.4. 패스워드리스(passwordLess) 기술
패스워드리스(passwordLess) 기술은 웹 클라이언트와 호환되는 웹브라우저 환경에서 생체인증을 사용할 수 있도록 설계된 FIDO2 기술을 기반으로 하고 있다.
기존에 사용하던 모바일 폰의 로그인으로 패턴, 지문인식, 페이스 ID 등과 같은 간편 인증을 FIDO 기술이라고 한다. 또한 WebAuthn은 패스워드에 의존하지 않는 인증을 실현하기 위해 브라우저 혹은 관련하는 웹 서비스에 적용할 수 있는 표준 웹API이다. 이를 통해 사용자는 "휴대폰으로 로그인"이라는 옵션을 선택하면, 등록된 스마트폰에 통지 메시지가 발송되고, 스마트폰으로 ID를 선택하여, PIN 코드나 생체인증을 사용하여 인증하면 PC 측에서 로그인이 완료되는 프로세스를 거치게 된다.
마지막으로 PASSKEY(패스키)라는 ...
참고 자료
James Vincent, 「OpenAI’s new chatbot can explain code and write sitcom scripts but is still easily tricked」, 『The Verge』
, 기사 작성일: 2022.12.2, 최종 접속일: 2023.04.11
이지안 외 3명, 「연설문·판결문에 작곡까지… 출시 두 달 만에 전세계 휩쓴 ‘AI챗봇’」『세계일보』,, 기사 작성일: 2023.02.04, 최종 접속일: 2023.04.11
' 이재원, 「챗GPT로 떠오르는 '지식 검색사', 'AI 감별사', '디지털 창작자」 , 『머니 투데이』, 기사 작성일: 2023.03.25, 최종 접속일: 2023.04.11
문가용, 「챗 GPT 사용해 업무 능력 향상 하려다 민감한 정보와 기밀까지 입력해」, 『보안 뉴스』, < https://www.boannews.com/media/view.asp?idx=114975>
기사 작성일: 2023.03.08, 최종 접속일: 2023.04.25
이덕주, 황순민, 김대은, 「전문직 위협하는 챗 GPT… 美 의사면허, 로스쿨 시험도 통과」
『매일경제』,
기사작성일: 2023.01.26, 최종접속일: 2023.04.2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