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체 의약품 개발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새로운 AI자료
생성
다운로드

상세정보

소개글

"항체 의약품 개발"에 대한 내용입니다.

목차

1. 바이오 의약품 개요
1.1. 바이오 의약품의 정의
1.2. 바이오 의약품의 분류

2. 바이오 산업
2.1. 바이오 산업의 정의
2.2. 바이오 산업의 분류
2.2.1. 레드바이오
2.2.2. 그린바이오
2.2.3. 화이트바이오
2.3. 바이오 산업의 가치

3. 바이오 의약품의 종류
3.1. 재조합 단백질 의약품
3.2. 항체 의약품
3.3. 바이오 시밀러
3.4. 백신
3.5. 첨단 바이오 의약품
3.5.1. 유전자 치료제
3.5.2. 세포 치료제

4. 바이오 의약품 시장 동향
4.1. 글로벌 바이오 의약품 시장
4.2. 국내 바이오 의약품 시장
4.3. 첨단 바이오 의약품 시장

5. 국내 바이오 의약품 기업
5.1. 셀트리온
5.2. 삼성 바이오에피스
5.3. 대웅제약

6. 참고 문헌

본문내용

1. 바이오 의약품 개요
1.1. 바이오 의약품의 정의

바이오 의약품이란 재조합 DNA 기술을 응용하여 미생물세포 ·배양조직세포에서 대량으로 순수하게 생산시킨 펩티드호르몬 ·백신 등의 의약품을 말한다. 즉, 생체 의약품이라고도 할 수 있다. 바이오 의약품은 화학합성의약품보다 부작용이 적고 특정 질환에 대한 효과가 뛰어나기 때문에 의약품시장에서 영향력이 점차 커지고 있다.


1.2. 바이오 의약품의 분류

바이오 의약품의 분류에는 재조합 단백질 의약품, 항체 의약품, 바이오 시밀러, 백신, 첨단 바이오 의약품 등이 있다.

재조합 단백질 의약품은 유전자 재조합 기술을 이용하여 생체에서 충분히 얻기 힘든 치료용 단백질 성분을 대량생산한 의약품이다. 최초의 유전자 재조합 단백질 의약품은 인슐린으로, 이전에는 소와 돼지의 췌장에서 인슐린을 추출하여 치료제로 사용했으나 인슐린 구조의 차이로 인한 부작용 문제가 있었다. 이에 따라 사람 인슐린을 대량으로 생산하기 위한 노력이 지속되었고, 대장균, 효모 등의 미생물에 사람 인슐린 생산 유전자를 삽입하여 원하는 단백질을 생산하게 하는 유전자 재조합 기술로 사람 인슐린을 대량 생산할 수 있게 되었다. 1982년 최초의 재조합 인슐린이 출시된 이후 성장호르몬, EPO(에리스로포이에틴) 등 다수의 재조합 단백질 의약품이 출시되었다.

항체 의약품은 항원-항체 반응을 이용하여 특정질병과 관련된 항원 단백질에 특이적으로 결합되도록 만든 의약품이다. 처음에는 마우스 유래의 항체를 사용했으나 면역거부 반응 등의 부작용 문제가 있었다. 이를 해결하기 위해 키메라 항체, 전체 부위를 사람 유래로 만든 사람항체 등 항체 제작 기술이 발전하면서 항체 의약품은 의약품 시장에서 가장 주목받는 분야로 성장했다. 항체 의약품은 기존 재조합 단백질 의약품에 비해 적응증의 범위가 넓어 종양, 자가면역 질환, 감염질환, 전염성 질환, 순환계 질환, 신경계 질환 등 다양한 질환에 적용될 수 있다.

바이오 시밀러는 특허가 만료된 오리지널 바이오 의약품과 품질 및 비임상, 임상 비교 동등성이 입증된 복제약을 의미한다. 바이오 의약품의 발전으로 많은 질병에 대해 더 효과적이고 안전한 치료가 가능해졌지만 바이오 의약품의 높은 가격은 각국 정부와 보험사 및 환자에게 큰 부담이 되었다. 따라서 특허가 끝난 바이오 의약품을 더 저렴한 비용으로 제공하는 바이오시밀러는 이러한 부담을 낮추는 데 기여하고 있다. 화학합성 의약품과 달리 바이오 의약품은 제조공정에 따라 단백질의 3차 구조 등에 미세한 차이가 있을 수 있기 때문에 비임상 및 임상시험을 거쳐 복제약으로 허가를 받아야 한다.

백신은 특정 질병에 대한 면역력을 강화시킬 목적으로 투여하는 항원 단백질 또는 미생물체이다. 현재 세계보건기구(WHO)의 가용 백신 목록에는 디프테리아, 파상풍, 백일해, B형 간염 등 26종이 포함되어 있으며, 예방 가능 질병의 종류를 늘리고 기존 백신의 효과와 편의성을 높이기 위한 연구가 지속되고 있다.

마지막으로 첨단 바이오 의약품에는 유전자 치료제와 세포 치료제가 포함된다. 유전자 치료제는 치료용 유전자(gene)와 유전자 전달체(vector)로 구성되며, 결핍 혹은 결함이 있는 유전자를 분자 수준에서 교정할 수 있어 단일 유전자 질환 및 암 등의 치료와 예방에 활용 가능성이 높다. 세포 치료제는 살아있는 자가, 동종, 이종 세포를 체외에서 배양·증식하거나 선별하는 등 방법으로 조작하여 제조하는 의약품으로 줄기세포 치료제, 조직공학제제, 면역세포치료제, 체세포 치료제 등이 포함된다.


2. 바이오 산업
2.1. 바이오 산업의 정의

바이오 산업이란 "바이오기술을 바탕으로 생물체의 기능과 정보를 활용하여 제품 및 서비스를 생산하는 산업"이다. 화석원료를 이용해서 화학기술을 기반으로 생산하는 제품을 화학제품이라 부르는 것과 대비되는데, 생물유기체를 원료로 바이오기술을 기반으로 생산하는 제품을 바이오제품이라 칭하며, 이와 관련된 서비스까지 포함하여 바이오산업의 범주로 볼 수 있다. 바이오기술은 과거 치즈, 와인 등의 발효식품을 만드는 데 적용된 것과 같이 역사가 매우 길지만, 현대적인 의미의 바이오기술은 1953년 DNA 이중나선구조가 규명되고 1960-70년대를 거쳐 분자생물학, 유전공학이 비약적으로 발전하면서 본격적으로 적용되었다고 볼 수 있다.


2.2. 바이오 산업의 분류
2.2.1. 레드바이오

레드바이오는 의약품 및 관련 기술을 개발하는 분야로서 바이오산업 중 가장 성장이 빠르고 시장규모가 큰 분야이다. 의약품은 분자 타입에 따라 크게 화학 합성 의약품과 바이오 의약품으로 분류할 수 있다. 우리가 일반적으로 먹는 두통약, 고혈압약 등의 정제 의약품은 대부분 화학합성 의약품이고, 인슐린과 같은 단백질 의약품, 항암제 등으로 쓰이는 항체 의약품, 전염병 예방을 위한 백신 등이 바이오 의약품에 속한다. 바이오 의약품은 화학합성 의약품보다 부작용이 적고 특정 질환에 대한 효과가 뛰어나기 때문에 의약품시장에서 영향력이 점차 커지고 있다.


2.2.2. 그린바이오

그린바이오는 바이오기술을 농업, 임업, 수산업에 활용하여 산업적으로 효용이 있는 소재와 제품을 대량생산하...


참고 자료

Gronemeyer, P., Ditz, R., & Strube, J. (2014). Trends in upstream and downstream process development for antibody manufacturing. Bioengineering, 1(4), 188-212. https://doi.org/10.3390/bioengineering1040188
Kumar, S. (2014). Purification Process for Monoclonal Antibodies. World Intellectual Property Organization.
김익환. (2004). 동물세포 대량배양기술. NICE, 22(1), 42-51.
송정수. (2007). 류마티스관절염 치료에서 종양괴사인자억제제 사용에 대한 고찰. 대한류마티스학회지, 14(1), 1-14.
최병철. (2018). 류마티스관절염(Rheumatoid Arthritis). 약학정보원 이슈&트렌드. http://www.health.kr/Menu.PharmReview/View.asp?PharmReview_IDX=1665
홍효정. (2019). 최신 항체치료제 기술 개발 현황. BT NEWS, 26(2), 16-32.
[네이버 지식백과] 바이오의약품 [biomedicine, ─醫藥品] (한국민족문화대백과, 한국학중앙연구원)
한국 바이오 의약품 협회 홈페이지 – http://www.kobia.kr/sub01/sub01.php
글로벌 첨단 바이오 의약품 코디네이팅 센터 – http://www.cogib.kr/0201.php#a
LG 화학 공식 블로그 – https://blog.lgchem.com/
대웅제약 홈페이지 – http://newsroom.daewoong.co.kr/archives/2720
2018 첨단 바이오 의약품 산업백서 – file:///C:/Users/USER/Downloads/2018%20%EC%B2%A8%EB%8B%A8%EB%B0%94%EC%9D%B4%EC%98%A4%EC%9D%98%EC%95%BD%ED%92%88%20%EC%82%B0%EC%97%85%EB%B0%B1%EC%84%9C_CoGIB_2018.10.pdf

주의사항

저작권 EasyAI로 생성된 자료입니다.
EasyAI 자료는 참고 자료로 활용하시고, 추가 검증을 권장 드립니다. 결과물 사용에 대한 책임은 사용자에게 있습니다.
AI자료의 경우 별도의 저작권이 없으므로 구매하신 회원님에게도 저작권이 없습니다.
다른 해피캠퍼스 판매 자료와 마찬가지로 개인적 용도로만 이용해 주셔야 하며, 수정 후 재판매 하시는 등의 상업적인 용도로는 활용 불가합니다.
환불정책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