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내용
1. 호스피스제도와 관련 정책
1.1. 호스피스 개념 및 등장 배경
호스피스는 "치료가능성이 없는 말기환자의 고통을 덜어 주기 위한 치료를 뜻하며 환자에게 정신적, 종교적으로 도움을 주어 한 인간으로서의 존엄성을 지키며 삶을 마지막을 편하게 보낼수 있도록 케어해주는 의료활동"이다.
호스피스는 과학기술의 급격한 발달로 인한 비인간화 문제, 사회변화의 문제로 인한 노인 소외, 임종자의 소홀과 가치관/윤리관의 변화에 따른 혼란에 대한 반응으로 등장하였다. 즉, 과거 중점을 두었던 치료의 개념에서 돌봄의 개념과 사상을 강조하는 분위기롤 바뀌게 되었다.
또한 호스피스는 인간을 부분으로 나누어 연구하고 다루는 과학기술 위주의 의료 수혜에서 인간 존중과 인간 이해, 자기 결정과 창의성을 소중히 하는 인도주의와 인간을 전체로 이해하고자 하는 총체주의 사상을 바탕으로 발전되었다.
1.2. 호스피스 운영 형태
1.2.1. 가정형 호스피스
가정형 호스피스는 병원에 기반을 두고 병원 내에 사무실을 두고 모든 업무를 지휘하는 형태이다. 환자가 입원 후 퇴원 시 가정호스피스를 통해 추후관리를 받게 된다. 가정에서 임종을 맞을 수 있도록 배려하고 이를 통해 의료비 절감이 가능하다는 장점이 있다. 가정호스피스 돌봄을 받다가 환자의 통증이나 증상 조절이 잘 안될 시에는 즉시 입원이 가능하며, 가족에게 돌봄 제공과 휴식을 제공할 수 있다는 강점이 있다. 다만 일반 가정간호 수가체계가 적용되어 완화돌봄을 위한 돌봄행위에 대한 보상이 없다는 단점이 있다."
1.2.2. 독립형 호스피스
독립형 호스피스는 병원 내에 별도의 건물을 가지고 호스피스 완화의료만을 운영하는 형태이다. 이는 환자와 보호자의 요구를 쉽게 충족시킬 수 있으며, 병원형 호스피스에 비해 낮은 비용으로 환자를 돌볼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병원의 부속시설로서 운영이 가능하다는 이점이 있다.
하지만 독립형 호스피스의 가장 큰 단점은 재정적인 문제이다. 호스피스 완화돌봄 수가체계가 활성화되지 않은 시점에서는 운영주체의 비용지원이나 후원회의 지원이 필요한 실정이다. 독립형 호스피스는 병원의 부족한 시설과 인력을 보완하여 호스피스 서비스의 질을 높일 수 있지만, 안정적인 재원 확보에 어려움을 겪고 있다.
1.2.3. 병동형 호스피스
병동형 호스피스는 병원 내 일부 병동에서 호스피스완화의료 활동을 진행하는 유형이다. 병원 내에 확보된 병동에서 호스피스 활동을 하는 형태로, 기존 의료시스템의 자원을 활용함으로써 응급 시 빠른 대처와 빈 병상, 의료 인력의 활용이 가능하여 말기환자를 지속적으로 관리할 수 있다. 이를 통해 환자 상태 파악이 용이하고 환자도 안정감을 가질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또한 호스피스 간호사의 소진 시 타 간호 인력을 쉽게 대체할 수 있다는 이점이 있다.
그러나 병동형 호스피스의 단점으로는 타 병동에 비해 추가적인 인력이 요구되며, 진료 수가가 높아 개인 비용의 추가 발생, 그리고 병동 구성을 위한 공간 확보와 보호자, 방문객, 호스피스 요원들을 위한 공간 확보가 어렵다는 점이 있다. 또한 호스피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