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내용
1. 신장의 구조와 기능
1.1. 신장의 해부학적 구조
1.1.1. 신장의 위치와 크기
신장은 척추를 따라 좌우 하나씩 존재하는 후복막성 장기로, 좌신이 우신보다 약간 높게 위치한다. 신장은 제11, 12 흉추에서 제3 요추 사이에 있으며, 오른쪽 신장은 간의 오른쪽 엽에 눌리기 때문에 왼쪽 신장보다 약간 낮은 위치에 자리잡고 있다. 신장의 크기는 길이 약 11cm, 너비 약 6cm, 두께 약 2.5cm 정도이며, 무게는 체중의 약 0.5%에 해당하는 110~150g 정도이다.
1.1.2. 신장의 내부 구조
신장의 내부 구조는 겉질, 속질, 깔때기의 3부분으로 이루어져 있다"" 신장의 겉질은 약 1cm 두께로, 약 120만개의 신장 단위체인 신원(nephron)으로 구성되어 있다"" 신원은 신소체와 신세뇨관으로 이루어진 기능적, 구조적 단위체로, 신소체에는 사구체와 보우만주머니가 있다"" 보우만주머니 안에는 약 50개의 모세혈관으로 구성된 사구체가 있으며, 보우만주머니로부터 근위세관, 헨레고리, 원위세관이 연결된다"" 근위세관은 피질부에 있고, 헨레고리는 피질에서 수질 쪽으로 내려가며, 원위세관은 피질부에 위치한다"" 여러 개의 원위세관이 모여 집합관을 이루며, 이 집합관이 최종적으로 신우로 합쳐져 요를 방광으로 보내는 통로가 된다"" 신장의 속질은 약 2cm의 두께를 가지며, 8~18개의 신유두로 구성되어 있다"" 신유두는 내측으로 볼록하게 돌출되어 요가 모여 요관으로 흘러갈 수 있게 한다"" 신장은 상부의 깔때기부와 하부의 신우부로 구분되며, 신우는 요관이 시작되는 곳이다""
1.2. 신장의 생리학적 기능
1.2.1. 체액 항상성 유지
신장은 체액 항상성 유지에 있어 매우 중요한 역할을 한다. 신장은 혈액 내 수분과 전해질의 농도를 일정하게 유지하여 체액의 osmolarity와 pH를 적절히 조절한다.
신장은 이를 위해 사구체 여과와 세뇨관 재흡수, 분비 기능을 수행한다. 사구체 여과를 통해 혈액 내 수분과 전해질, 노폐물 등이 일차요로 여과되고, 근위 및 원위 세뇨관에서 여과액의 성분을 선별적으로 재흡수하거나 분비함으로써 체액의 조성을 조절한다.
예를 들어 혈액량이 감소하면 레닌-안지오텐신-알도스테론계가 활성화되어 Na+와 H2O의 재흡수가 증가하고, 수분 배설이 감소하여 혈액량이 정상화된다. 반대로 혈액량이 증가하면 이 기전이 억제되어 Na+와 H2O의 배설이 증가한다.
또한 세뇨관에서의 H+, HCO3-, 암모니아 대사를 통해 혈액 pH 조절에 기여한다. 특히 원위 세뇨관에서의 H+분비와 HCO3-재흡수는 체액의 산-염기 평형 유지에 중요하다.
이처럼 신장은 세밀한 생리학적 조절 기전을 통해 체액의 삼투압, 이온 농도, pH 등을 항상성 있게 유지함으로써 인체의 내환경 균형을 보장하는 핵심 기관인 것이다.
1.2.2. 노폐물 배설
신장은 혈액 내의 노폐물을 걸러내어 배설하는 중요한 역할을 한다. 혈액에서 요소, 암모니아, 크레아티닌과 같은 질소 노폐물을 배설하는데, 이는 간의 여분의 아미노산의 아민에서 매일 최소 25~30g의 요소를 만들어내기 때문이다. 요소, 요산, 암모니아 등 이러한 질소성 노폐물들은 신장을 통해 요로 배설된다.
신장의 혈장 청소율은 신장으로 배설되는 물질의 양을 포함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