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개글
"4주 2차시에서 학습이란 무엇인지에 대해 학습했습니다. 더불어 최근의 코로나 19사태로 인하여 가정에서의 온라인학습이 주요한 이슈로 떠올랐습니다. 이에 ‘학습’의 원리에 입각하여 온라인 학습의 효용성과 장단점에 대하여 설명하시오"에 대한 내용입니다.
목차
1. 서론
1.1. 학습의 정의와 중요성
1.2. 코로나 19와 온라인 학습의 대두
2. 학습의 유형
2.1. 행동학습
2.1.1. 비연합학습
2.1.2. 연합학습
2.2. 인지학습
2.2.1. 통찰학습
2.2.2. 관찰학습
3. 온라인 학습의 효용성
3.1. 행동학습의 원리 적용
3.2. 인지학습의 원리 적용
3.3. 접근성과 편의성
3.4. 개인화된 학습 환경
3.5. 실시간 피드백과 상호작용
4. 온라인 학습의 장점
4.1. 시공간적 제약 감소
4.2. 즉각적인 피드백
4.3. 다양한 학습 자료 활용
5. 온라인 학습의 단점
5.1. 자발성과 의지력 의존성
5.2. 부정행위 위험성
5.3. 대면 상호작용 부족
6. 결론
6.1. 온라인 학습과 대면 학습의 조화
6.2. 학습자 중심의 맞춤형 학습
7. 참고 문헌
본문내용
1. 서론
1.1. 학습의 정의와 중요성
학습은 새로운 지식, 기술, 태도를 습득하는 과정으로, 개인의 지적·정서적·행동적 변화를 동반한다. 이는 인간의 근본적인 특성으로, 인간이 성장하고 진화하는 데 핵심적인 역할을 한다. 학습의 정의는 "경험이나 훈련, 연습 등을 통해 일어나는 지속적인 행동의 변화"로 볼 수 있다. 즉, 학습은 개인의 경험을 통해 나타나는 비교적 지속적인 행동의 변화를 의미한다.
학습의 중요성은 첫째, 개인의 성장과 발전에 있다. 학습을 통해 개인은 새로운 지식과 기술을 습득하고, 이를 통해 자아실현과 자신감 향상, 문제 해결 능력 향상 등 다양한 측면에서 성장할 수 있다. 둘째, 사회 발전에 기여한다. 개인의 학습은 사회 전체의 지적·기술적 자원 확충으로 이어져, 사회 발전의 토대가 된다. 셋째, 적응력 향상에 기여한다. 학습을 통해 개인은 변화하는 환경에 효과적으로 적응할 수 있게 된다. 이처럼 학습은 개인과 사회 발전에 핵심적인 역할을 하는 필수적인 과정이라고 할 수 있다.
1.2. 코로나 19와 온라인 학습의 대두
코로나 19 팬데믹은 전 세계적으로 교육 시스템에 큰 영향을 미쳤다. 사회적 거리두기와 재택 활동으로 인해 기존의 대면 교육이 어려워지면서 디지털 기술과 인터넷을 활용한 "온라인 학습"이 중요한 대안으로 부상했다. 과거에는 주목받지 못하던 온라인 학습 방식이 코로나 19를 계기로 급속도로 주류 교육 방식으로 자리 잡게 되었다. 이에 따라 학습의 원리와 온라인 학습의 특성이 어떻게 조화를 이루는지, 그리고 그 안에서 어떤 장점과 단점이 존재하는지에 대한 깊이 있는 고찰이 필요하게 되었다. 온라인 학습은 기존의 교육 시스템에 비해 훨씬 더 높은 접근성을 제공하며, 지리적 제약과 시간적 제약을 줄여준다. 또한 다양한 형태의 학습 자료와 콘텐츠를 활용할 수 있고, 개인화된 학습 환경을 구축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그러나 온라인 학습은 학습자의 자발성과 의지력에 큰 영향을 받으며, 부정행위의 위험성과 대면 상호작용 부족과 같은 단점도 존재한다. 따라서 온라인 학습과 전통적인 대면 학습이 서로 보완적인 관계를 가짐으로써 학습의 효과를 극대화할 필요가 있다.
2. 학습의 유형
2.1. 행동학습
2.1.1. 비연합학습
비연합학습은 자극과 반응 사이의 연관성 없이 하나의 자극에 반응하여 학습이 일어나는 과정이다. 여기에는 둔감화와 민감화가 포함된다.
둔감화는 동일한 자극이 반복적으로 노출됨에 따라 반응이 감소하는 현상을 말한다. 예를 들어 매일 아침 같은 시간에 똑같은 벨소리가 울리면 처음에는 깜짝 놀랐지만 점차 그 소리에 둔감해져 깨어나는데 어려움이 없어지는 것이다. 이처럼 자극에 대한 반응이 줄어드는 것이 둔감화의 특징이다.
민감화는 특정 자극에 대한 반응의 강도가 증가하는 현상이다. 예를 들어 아프고 아픈 상황에서 작은 소리에도 민감하게 반응하는 것처럼, 자극에 대한 반응이 커지는 것이 민감화의 특징이다.
이처럼 비연합학습에서는 자극과 반응 사이의 직접적인 연관성 없이 한 가지 자극에 대한 유기체의 반응이 변화하게 된다. 단순히 자극에 노출되는 횟수나 강도에 따라 반응이 감소하거나 증가하는 것이 비연합학습의 핵심 메커니즘이라고 할 수 있다.
2.1.2. 연합학습
연합학습은 자극-자극 간의 연합이나 자극-반응 간의 연합을 통해 학습이 이루어지는 것이다. 고전적 조건형성과 도구적 조건형성이 대표적인 연합학습의 유형이다.
고전적 조건형성은 무조건 자극과 조건 자극 간의 연합을 통해 새로운 반응을 학습하는 것이다. 파블로프의 개들에게 종소리와 함께 먹이를 제공하자 개들이 종소리만 들어도 침을 흘리는 반응을 보인 실험이 대표적 사례이다. 이처럼 무조건 자극과 조건 자극의 반복적인 제시를 통해 조건 반응이 형성되는 것이 고전적 조건형성의 원리이다.
한편 도구적 조건형성은 어떤 행동을 하면 보상이나 처벌이 따른다는 것을 학습하여 그 행동을 강화하거나 약화시키는 것이다. 스키너의 상자 실험에서 쥐가 레버를 누르면 먹이가 나오는 것을 학습하여 그 행동을 반복한 것이 대표적 사례이다. 이처럼 행동의 결과에 따라 그 행동이 강화 또는 약화되는 것이 도구적 조건형성의 원리이다.
이처럼 연합학습은 자극과 반응, 자극과 자극 간의 연합을 통해 새로운 행동을 습득하는 과정이다. 이러한 연합학습의 원리는 온라인 학습의 교수-학습 전략에서 활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온라인 강의에서 특정 개념을 제시할 때 시각적 자료나 실제 사례와 연계하여 제시한다면 학습자들의 이해를 높일 수 있다. 또한 온라인 퀴즈나 과제 수행 시 즉각적인 피드백을 제공하여 학습자들이 적절한 행동을 강화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2.2. 인지학습
2.2.1. 통찰학습
통찰학습은 점진적인 시행착오를 거치지 않고도 갑작스럽게 문제 해결의 실마리를 찾아내는 학습 방식이다. 인지학습의 관점에서 볼 때, 통찰학습은 기존의 지식과 경험을 바탕으로 문제 상황을 인식하고 이해하여 ...
참고 자료
이하은, 2020.04.02, 코로나19 전 세계 강타…원격수업 급부상, 한국대학신문 UNN
https://news.unn.net/news/articleView.html?idxno=227785
정미경 외, 2017.08.30, 심리학개론, 양서원
박주용, 2021.05.10, 심리학개론, 서울대학교출판문화원
해커스원격평생교육원, 심리학개론 교안, 47p~48p
https://namu.wiki/w/%ED%96%89%EB%8F%99%EC%A3%BC%EC%9D%98%20%EC%8B%AC%EB%A6%AC%ED%95%99 (나무위키-행동주의 심리학)
https://hahahaplay.com/9 (블로그-학습이란 무엇인가) https://steptohealth.co.kr/the-benefits-and-disadvantages-of-virtual-education/ (블로그-온라인 교육 의장단점)
http://linkedhrd.com/magazine/654/wskim/ (블로그-온라인 학습 방안)
김경미(2022). 코로나19(COVID-19)로 인한 온라인 강의가 대학생의 학습동기, 수업태도 및 온라인 수업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 The Effect of the Replacement of Online Lecture on the Motivation, Attitude and Online Class Satisfaction of University Students by COVID-19.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22), 329-33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