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개글
"중국"에 대한 내용입니다.
목차
1. 중국 산야시의 발전전략과 산업경제 현황
1.1. 도시개요
1.2. 도시계획
1.3. 산업경제현황
1.3.1. 관광산업의 발전
1.3.2. 문화관광산업의 고도화
1.4. 호구제도와 인구관리
2. 개혁개방 이후 중국의 인구 정책
2.1. 개혁개방 이후 중국 인구 상황
2.2. 중국의 인구 정책 변화
2.2.1. 한 자녀 정책
2.2.2. 전면적 두 자녀 정책
2.2.3. 세 자녀 정책
2.3. 인구 정책의 사회경제적 영향
3. 마오쩌둥의 업적과 과오
3.1. 마오쩌둥
3.2. 마오쩌둥의 업적
3.3. 마오쩌둥의 과오
4. 참고 문헌
본문내용
1. 중국 산야시의 발전전략과 산업경제 현황
1.1. 도시개요
산야시는 중국 하이난 성의 가장 남쪽에 위치한 관광도시이자 항구도시이다. 연평균 기온이 25.4℃로 온화한 열대성 기후를 나타내며, 월별로 최저 21.6℃에서 최고 28.8℃를 기록한다. 연평균 강수량은 1,279mm로 6월~10월이 주 강수기이다. 안개 발생이 거의 없고 조수의 변화도 크지 않다. 시내에는 한족과 여족, 묘족, 회족 등 20여 개 민족이 거주하는데, 약 18.4만 명의 이족과 3천 명의 묘족, 7천 명의 회족 등이 주로 표준 중국어를 사용한다. 전체 해안선 길이는 209.1km로 크고 작은 항만 19개와 섬 40개가 있다. 육지의 총면적은 1,921km²이고 해역은 3,226km²이다. 북쪽은 높은 산, 남쪽은 남해와 접해있다. 세계적인 관광 휴양지로 이름난 산야시는 다양한 관광 자원과 10대 풍경을 보유하고 있어 국가관광휴가촌으로 지정되어 있다. 1999년에는 세계에서 두 번째로 공기 질이 깨끗한 도시로 선정되기도 했다. 이처럼 산야시는 열대 해변 도시이자 국제 관광도시로 중국에서 가장 아름답고 친환경적인 도시 중 하나이다.
1.2. 도시계획
산야시의 도시계획은 1987년 지방 도시로 승격되면서 관광업과 하이테크 산업을 중점적으로 육성하는 열대의 해변풍경 관광도시로 정착하게 되었다. 1994년 GNP가 1987년 대비 446.5%나 증가하였고, 1997년 중국관광의 해를 맞이하면서 더 많은 관광시설을 개발하기 시작했다.
국제화관광도시 건설을 위해 산야시는 중국관광의 대외개방 시험지역으로 지정되었고, 외국의 자본을 끌어들여서 관광자원개발 및 관관경영, 관리참여하도록 하여 여기서 축적한 경험을 토대로 다른 지역까지 확대 추진하게 되었다. 또한 선진관광관리기술과 경영방식, 기업제도와 발전 정책 등을 도입하여 관광경영과 서비스의 국제표준화를 추진해 국제관광업계와 접목시켰다.
2010년 6월 8일 국가발전개혁위원회가 하이난성 국제관광섬 건설을 비준하면서 2015년까지 관광관리와 마케팅?서비스?상품개발 등의 시장화와 함께 국제화 수준을 향상시키고, 관광산업의 규모와 품질?성과를 제고하는 목표를 설정하였다. 2020년까지는 관광서비스시설과 경영관리?서비스수준 등을 국제적으로 통용되는 서비스표준에 도달시켜 하이난성 관광의 국제적인 인지도를 극대화시키고, 세계 일류의 수준으로 섬휴양관광지의 기초단계를 완성시키는 것을 목표로 하였다.
중국은 2018년 4월 하이난성 전체를 대상으로 섬의 자유 무역 시범구를 건설하는 것을 결정하였으며, 이에 따라 중국은 '하이난자유무역항건설총체방안'을 발표하였다. 이를 통해 전면 개혁·개방 심화 시험 구와 국가 생태문명시험구, 국제관광소비중심지와 국가 중대전략 서비스보장구를 4대 전략지구로 지정하였다.
4대 전략 가운데 '국제 관광소비중심' 전략은 2009년 '국제 관광 섬'을 개발하기로 한 국가 전략의 지속적인 발전을 지향하는 것으로 유일하게 산업 형태에 대응하는 전략적인 포석이 되었다. 나머지 3개의 전략에서도 하이난성의 국제관광 소비중심 건설을 뒷받침하고 상호 의존적인 여건을 더 확대 조성하고 있다.
이에 산야시를 중심으로 '1중심·1도시· 1구· 3중점'이라는 도시발전 전략을 실행하여 국제관광 소비중심의 핵심구를 적극적으로 육성하고 있다. 여기서 1중심은 국제관광소비중심, 1도시는 야저우완 과학도시, 1구는 중앙상무구, 3개 중점은 민생과 생태, 사회관리건설을 뜻한다. 이외에도 산야시의 도시전략에는 무폐 도시와 국가 삼림 도시, 스마트 시티, 국가 혁신 도시가 포함된다.
1.3. 산업경제현황
1.3.1. 관광산업의 발전
산야시의 관광산업은 중국 개방과 함께 빠르게 성장했다. 1994년 GNP가 1987년 대비 446.5%나 증가하였으며, 1997년 중국관광의 해를 맞이하면서 더 많은 관광시설을 개발하기 시작했다. 국제화관광도시 건설을 위해 산야시는 중국관광의 대외개방 시험지역으로 외국의 자본을 끌어들여서 관광자원개발 및 관관경영, 관리참여하도록 하였다. 이를 통해 축적한 경험을 토대로 다른 지역까지 확대 추진하게 되었다.
선진관광관리기술과 경영방식, 기업제도와 발전 정책 등을...
참고 자료
김지현(2010). 중국 호구일원화 정책에 관한 연구 –2000년대 이후를 중심으로-. 성균관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이묵야(2022). 중국 해남성의 문화관광산업 발전방안 연구 –산야시의 국제소비도시 건설을 중심으로-. 가천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이진희(2008). 중국 하이난섬의 관광단지개발에 관한 연구. 산경논집 제23집, pp. 143~169
임근욱·양승탁·이혁진(2011). 중국 하이난의 관광자원 콘텐츠에 관한 연구. 한국사진지리학회지 vol.21,no.4, 통권 38호 pp.1~11
정기은(2011). 중국 섬관광자원 개발에 따른 제주관광 발전방향. 제주발전연구 제15호. pp. 1~30
치플린(2004). 하이난 경제특구개발, 섬관광진흥과 혁신적 파트너쉽 구축, 중국 하이난성. 광문당.
邢艾琳(2016). 중국의 도시화정책 연구 –호구제도와 토지제도를 중심으로-. 인하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曹景椿. "关于蓝印户口"问题的思考".『人口与经济』.总第.(129期.2001) pp.16~17
Fei-Ling Wang.Organizing Through Division and Exclusion:China'sHukou System. pp.22~26
KMI 중국리포트, KMI CHINA Research Center, 제21-14호, 2021.7.30.
LI JIANING(2019). 중국 호구제도와 베이징 농민공.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동우샤. "중국 인구정책이 인구구조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1980년~2015년)." 국내석사학위논문 건국대학교 대학원, 2020. 서울
펑페이페이. "중국의 인구정책 실태와 개선방안에 관한 연구." 국내석사학위논문 호남대학교 대학원, 2016. 광주
김정계. (2018). 마오쩌둥과 그의 후계자들. 현대사상, (20), 5-32. https://www-dbpia-co-kr-ssl.openlink.inha.ac.kr:8443/pdf/pdfView.do?nodeId=NODE09289007
조광수. (2007). 마오쩌둥과 덩샤오핑 : 현대 중국 정치와 리더십. 오늘의 동양사상, (17), 171-187. https://www-dbpia-co-kr-ssl.openlink.inha.ac.kr:8443/pdf/pdfView.do?nodeId=NODE00972173
[역사 이야기] 지금의 중국이 있게 한 두 권력자 마오쩌둥, 덩샤오핑 https://gimpoman.tistory.com/5142
[네이버 지식백과], 문화대혁명과 역사적 의의 (사상사개설, 1996. 4. 1., 고영복) https://terms.naver.com/entry.naver?cid=41978&docId=1397488&categoryId=41980
[네이버 지식백과], 대약진운동 (시사상식사전, pmg 지식엔진연구소) https://terms.naver.com/entry.naver?cid=43667&docId=934219&categoryId=43667
박지영, 「당대 한국인의 문화대혁명 인식」, 강원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20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