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개글
"경영통계학 연속확률분포 요약 정리"에 대한 내용입니다.
목차
1. 서론
2. 확률분포의 개념
2.1. 확률변수
2.2. 확률분포의 정의
2.3. 이산확률분포와 연속확률분포
3. 연속확률분포
3.1. 확률밀도함수
3.2. 균등분포
3.3. 정규분포
3.3.1. 표준정규분포
3.3.2. 일반정규분포
3.4. 지수분포
4. 연속확률분포의 활용
4.1. 통계적 추정
4.2. 표본조사의 효율성
5. 참고 문헌
본문내용
1. 서론
현업에서 다양한 데이터를 수집하고 해석하는 것은 새로운 Needs를 확인해 시장을 확장 또는 발견하는 계기가 되고 나아가 기업경영전략의 근거나 사업의 평가와 피드백에 있어서 중요한 역할을 한다. 경영통계학은 수집한 데이터를 해석하는 다양한 방법들을 제시하고 있다. 그 중 개인적으로 현업에 가장 밀접하다고 생각되는 연속확률분포에 대해 조사하고 어떤 방식으로 활용하는지 조사하겠다. 우선 연속확률분포가 있기까지의 바탕이 되는 확률밀도함수의 개념을 알아보고 연속확률분포의 종류인 정규분포와 지수분포의 개념과 활용을 순서로 정리하도록 하겠다.
2. 확률분포의 개념
2.1. 확률변수
확률변수는 확률현상에 기인하여 결과값이 확률적으로 정해지는 변수이다. 확률변수는 특정한 값을 가질 확률이 얼마가 되는지를 나타내는 확률분포에 의해 정의된다. 확률변수는 확률변수의 특성에 따라 이산확률변수와 연속확률변수로 구분된다. 이산확률변수는 확률변수가 가질 수 있는 값들이 셀 수 있는 경우이며, 연속확률변수는 확률변수가 가질 수 있는 값들을 셀 수 없는 경우이다. 예를 들어 주사위를 던져 나오는 숫자는 이산확률변수이지만 사람의 키나 몸무게는 연속확률변수에 해당한다. 따라서 확률변수는 확률현상에서 나타나는 불확실한 결과값을 수량화한 것으로, 이는 통계학의 기본적인 개념이자 핵심이라고 할 수 있다.
2.2. 확률분포의 정의
확률분포의 정의는 다음과 같다. 확률변수의 값이 항상 정해져 있지 않고 확률적인 현상인 확률현상을 통해 변화할 때, 확률변수가 특정한 값을 가질 확률이 얼마가 되느냐를 나타내는 함수가 확률분포이다. 즉, 확률분포는 확률변수의 특성에 따라 확률변수가 특정한 값을 가질 확률을 나타내는 함수라고 할 수 있다. 확률분포는 확률변수의 특성에 따라 이산확률분포와 연속확률분포로 나눌 수 있다. 이산확률분포는 확률변수가 자연수와 같이 무한개이지만 셀 수 있는 확률변수로 이루어진 분포이며, 연속확률분포는 확률변수의 개수를 셀 수 없는 분포라고 할 수 있다.
2.3. 이산확률분포와 연속확률분포
이산확률분포와 연속확률분포는 확률변수의 특성에 따라 구분되는 확률분포이다. 이산확률변수는 확률변수가 가질 수 있는 값의 수가 셀 수 있는 유한개인 경우를 말하며, 이에 따른 이산확률분포가 존재한다. 반면 연속확률변수는 확률변수가 가질 수 있는 값의 수를 셀 수 없는 경우로, 이에 따른 연속확률분포가 존재한다.
예를 들어 동전을 던져 앞면 또는 뒷면이 나오는 경우는 이산확률변수로, 동전 던지기 실험에서 앞면이 나올 확률과 뒷면이 나올 확률로 표현될 수 있...
참고 자료
해커스 교육원 경영통계학 교안 및 수업
확률 분포 -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wikipedia.org)
정규 분포(normal distribution), 표준 정규 분포(standard normal distribution), T 분포(T distribution) : 네이버 블로그 (naver.com)
송성주·전명식, “수리통계학”, 자유아카데미, 2015.
류근관, “통계학”, 법문사, 2013.
허남구, “연속확률분포의 정의와 도입 방법에 대한 2009개정 교육과정과 2015개정 교육과정의 비교 분석 연구”, 한국수학교육학회지 시리즈 A: 수학교육 제58권 제4호, pp.531-543, 2019.
사이언스올 홈페이지, 과학백과사전. (www.scienceall.com/main202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