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개글
"폐렴에대한 간호사정"에 대한 내용입니다.
목차
1. 서론 및 문헌고찰
1.1. 흡인성 폐렴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1.2. 흡인성 폐렴의 정의
1.3. 흡인성 폐렴의 원인과 병태생리
1.4. 흡인성 폐렴의 증상 및 진단
1.5. 흡인성 폐렴의 치료와 예방
2. 간호사정
2.1. 대상자 기본정보
2.2. 건강력 및 과거력
2.3. 신체사정
2.4. 검사결과 분석
3. 간호진단
3.1. 인지변화와 관련한 인공호흡기 부적응
3.2. 감염과 관련한 영양 부족
3.3. 심장 전도체계 이상과 관련한 심박출량 감소 위험성
4. 간호계획 및 중재
4.1. 인지변화와 관련한 인공호흡기 부적응
4.2. 감염과 관련한 영양 부족
4.3. 심장 전도체계 이상과 관련한 심박출량 감소 위험성
5. 간호평가
6. 참고 문헌
본문내용
1. 서론 및 문헌고찰
1.1. 흡인성 폐렴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2015년 통계청에 따르면 한국인 사인 4위는 폐렴이다. 폐렴은 2005년에는 사망 원인 10위였으나 10년만에 4위로 올라섰으며, 건강보험심사평가원에 따르면 70-79세 폐렴환자는 2015년 14만여명으로 2011년 10만7000여명에 비해 30% 정도 증가했다." 이러한 폐렴 사망률 폭증의 가장 큰 요인은 인구 고령화이다. 우리나라는 세계적으로 유례를 찾아볼 수 없을 정도로 빠른 속도로 노령화가 진행되고 있다. 65세 이상 노인인구는 2006년에 이미 9.5%로 고령화 사회에 이르며 2018년 14.3%, 2026년 20.8%로 고령 사회에 도달할 것으로 전망된다. 특히 흡인성 폐렴(aspiration pneumonia)은 노인인구에서 흔히 발생한다. 노인인구는 각종 만성질환에 이환되는 비율이 높으며 특히 호흡기계 방어능력 저하로 폐렴 발생가능성이 높아지기 때문이다. 이와더불어 흡인성 폐렴의 경우 고령, 뇌졸중, 알코올섭취나 경련과 같은 정신상태 혼돈, 위생상태 불량, 역류성 식도염이 주요 위험인자이다. 앞으로 노인인구가 증가함에 따라 노인성 폐렴은 계속 증가할 것으로 전망한다. 이에 필자는 늘어나는 흡인성 폐렴에 대한 연구가 부족한 실정이라고 판단하여 근로복지 공단병원 ICU에 입원한 만 86세 노인 환자를 대상으로 연구해보고자 한다.
1.2. 흡인성 폐렴의 정의
흡인성 폐렴(aspiration pneumonia)이란 폐로 음식물, 위액 또는 기타 이물질이 들어가면서 생기는 폐렴을 의미한다"" 일반적인 폐렴과는 달리 흡인성 폐렴은 오염된 물질이 폐로 들어가 감염을 유발하는 것이 특징이다"" 흡인성 폐렴은 주로 연하곤란이 있는 고령 환자나 신경계 질환 환자에게서 호발하며, 증상이 비교적 서서히 진행되는 특징이 있다""
1.3. 흡인성 폐렴의 원인과 병태생리
흡인성 폐렴의 원인과 병태생리는 다음과 같다.
흡인성 폐렴은 폐 속으로 들어간 액체나 고체 물질에 의해 발생하는 폐렴이다. 정상적으로 우리 몸에는 섭취한 음식이나 분비물이 기관지나 폐포로 들어가는 것을 막는 방어기전이 존재한다. 이러한 방어기전에는 인두 반사, 기침 반사, 기도 점막의 섬모운동 등이 포함된다. 그러나 이러한 방어기전이 손상되거나 약해지면 음식물이나 위액, 담즙 등이 폐 속으로 들어가게 되어 흡인성 폐렴이 발생할 수 있다.
흡인성 폐렴의 주요 원인 요인은 다음과 같다. 첫째, 연하 능력의 저하나 의식 저하에 의한 기도 방어 기능의 저하이다. 예를 들어 뇌졸중, 알코올 섭취, 경련 등에 의한 의식 저하나 신경근 질환, 식도 질환 등에 의한 연하 장애 환자들에게서 흡인성 폐렴이 잘 발생한다. 둘째, 구토 반사의 저하나 역류성 식도염에 의한 위산 흡인이다. 셋째, 이동 능력 저하로 인한 부동 상태나 위생 상태 불량 등이다. 넷째, 기관 내 삽관이나 위관 영양 공급 등의 의료 처치 과정에서 나타날 수 있다. 다섯째, 폐쇄성 폐질환이나 신경학적 질환, 고령 등으로 인한 기침 반사 및 객담 배출 능력의 저하도 위험 요인이 될 수 있다.
이렇게 흡인된 물질은 화학적 손상과 박테리아 감염을 유발하여 흡인성 폐렴을 일으키게 된다. 흡인된 위액이나 음식물은 폐포를 자극하여 염증 반응을 일으키고, 동시에 박테리아 감염을 유발한다. 이로 인해 폐포와 간질의 염증이 발생하고 삼출액이 축적되어 폐렴이 발생하게 된다.
따라서 흡인성 폐렴의 주된 병태생리는 정상적인 폐 방어 기전의 손상과 흡인된 물질에 의한 화학적 손상 및 박테리아 감염의 결과로 나타나는 폐 실질의 염증성 변화라고 할 수 있다.
1.4. 흡인성 폐렴의 증상 및 진단
흡인성 폐렴의 증상은 일반적인 폐렴의 증상과 크게 다르지 않다"" 대체로 38.3°C 이상의 고열, 가래가 누렇게 나오며 기침, 추위와 떨림, 흉통 등의 증상이 나타난다"" 심한 경우에는 환자의 의식이 나빠지고 호흡이 빨라지면서 숨이 차고 혈압이 떨어지는 증상도 보일 수 있다""
흡인성 폐렴을 진단하기 위해서는 면밀한 병력 검토, 진찰 소견, 임상적 경과 관찰과 더불어 흉부 X-ray 촬영과 혈액 검사를 실시해야 한다"" 흉부 X-ray 촬영을 통해 폐렴 병변을 확인할 수 있으며, 가래 그람 염색과 배양검사, 혈액 검사를 통해 원인 균을 확인할 수 있다"" 그러나 폐렴을 일으킨 정확한 병원균을 찾아내지 못하는 경우가 많아 약 절반 정도에 그치는 경우가 많다""
1.5. 흡인성 폐렴의 치료와 예방
흡인성 폐렴의 치료는 원인균에 ...
참고 자료
흡인성 폐렴 환자의 병원 내 사망률과 그 예측 인자
김서우 , 류연주 , 홍성철 , 김경진 , 정가영 , 심윤수 , 이진화 , 장중현 대한결핵 및 호흡기학회, <대한결핵및호흡기학회 추계학술발표초록집> 112권0호 (2011), pp.166-166
특집-노인 호흡기질환의 효과적 관리
정기석 ( Ki Suck Jung )대한내과학회, 75권2호 (2008), pp.129-140
폐렴의 진단과 치료
이승현, 대한내과학회, <대한내과학회 추계학술발표논문집> 2016권2호 (2016), pp.536-543
흡인성 폐렴 노인과 지역사회획득 폐렴 노인의 임상양상 비교
노인간호학회지 제10권 제2호 J Korean Gerontol Nurs Vol.10, No.2, 142~151, December 2008
뇌수막종의 종양주위부종에 대한 임상적 고찰
최정훈 ( Jeong Hoon Choi ) , 김창현 ( Chang Hyun Kim ) , 문재곤 ( Jae Gon Moon ) , 이호국 ( Ho Kook Lee ) , 이민진 ( Min Jin Lee ) , 최종훈 ( Jong Hun Choi )
대한뇌종양학회·대한신경종양학회, <대한뇌종양학회지> 6권1호 (2007), pp.19-25
아동간호학 교과서
아동간호학실습 지침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