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내용
1. 총수입의 개념
1.1. 총수입의 정의
총수입이란 기업이 자신의 재화나 서비스를 판매하여 얻은 전체 매출액을 의미한다. 구체적으로 총수입은 판매량과 가격의 곱으로 계산되며, 수량(Quantity)과 가격(Price)의 곱으로 나타낼 수 있다. 즉, 총수입(Total Revenue)은 TR(Total Revenue)로 표현되며, 재화를 판매하거나 고객에게 서비스를 제공하고 받은 수입을 가리킨다. 다만 재무재표상에서의 총수입은 총 판매액보다는 순 판매액의 개념에 더 가깝다고 볼 수 있다.
1.2. 총수입과 순 판매액의 관계
총수입과 순 판매액의 관계는 다음과 같다. 총수입은 기업이 재화나 서비스의 판매로 얻은 총 매출액을 의미하지만, 재무제표상의 총수입은 순 판매액의 개념에 더 가깝다. 순 판매액은 총 매출액에서 반품, 할인, 할증 등을 차감한 금액이다. 따라서 총수입은 순 판매액보다 크다고 볼 수 있으며, 이 둘은 직접적인 관계를 가진다. 즉, 총수입이 늘어나면 그에 비례하여 순 판매액도 증가하게 된다. 반대로 총수입이 감소하면 순 판매액 역시 줄어들게 된다. 이처럼 총수입과 순 판매액은 매우 밀접한 관계를 가지고 있으며, 기업의 재무제표 상에서 총수입은 순 판매액의 개념에 보다 부합한다고 할 수 있다.
2. 총수입과 시장구조
2.1. 완전경쟁시장에서의 총수입
완전경쟁시장에서 각각의 기업은 시장에서 형성된 가격을 수용하는 가격순응자가 된다. 이러한 시장에서 각 기업의 총수입은 ((가격)x(판매량))으로 계산된다. 기업은 산출량을 결정함에 있어 가격을 변화시킬 수 없고, 수요와 공급에 의해 결정되는 시장가격을 그대로 받아들여야 한다. 따라서 완전경쟁시장에서 각 기업의 총수입은 생산량과 시장가격의 곱으로 결정된다.
완전경쟁시장의 경우, 기업은 가격 수용자(price taker)가 되므로 기업의 개별 수요곡선은 완전 탄력적이어서 기업의 가격 변화는 수요량에 영향을 미치지 않는다. 이에 따라 완전경쟁시장에서 기업의 총수입은 가격과 판매량의 곱으로 나타나며, 가격이 일정할 경우 총수입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