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개글
"연애편지"에 대한 내용입니다.
목차
1. 서론
1.1. 문체의 의미와 개념
1.2. 문체론의 방법론
2. 고전소설 속 삽입 서간
2.1. 서간의 수용 양상
2.1.1. 사연 생략형 서간
2.1.2. 사연 요약형 서간
2.1.3. 사연 인용형 서간
2.2. 서간의 개입 양상
3. 목적에 따른 서간의 종류
3.1. 위서
3.2. 유서
3.3. 밀서
3.4. 원정서
3.5. 통지서
4. 서간의 문학적 기능
4.1. 언술 장치적 기능
4.2. 성격 부각적 기능
4.3. 사건 진행적 기능
4.4. 분위기 조성적 기능
5. 연정서의 실상과 기능
6. 결론
7. 참고 문헌
본문내용
1. 서론
1.1. 문체의 의미와 개념
원래 '문체'라는 말은 라틴어 'stilus'에 해당하는 말로서 '끝이 뾰족한 필기구'라는 의미에서 필기구가 나타내는 글자의 모양을 의미했다가, 서법이나 어법의 방식이라는 의미로 사용되었다. 사전이나 문체론에 관한 저서를 살펴보면 다양한 정의가 나오는데, 이 중 피에르 기이로가 『문체론』에서 언급한 문체의 정의는 '글쓰는 방법', '한 작가, 한 장르 또는 한 시대의 고유한 글쓰는 방법'으로 나타난다. 즉 '문체'라는 단어는 필기도구가 필기의 질을 결정하기 때문에, 필기도구를 의미하는 단어로 쓰이다가 고전 라틴 시대부터 작가의 방식, 학파의 수법 또는 장르의 양식, 글을 쓰는 혹은 말하는 방식을 가리키는 것으로 의미가 확장·변모되었다. 그러다 17, 18세기에 이르러 문체는 'style'이라는 단어로 불리며, 필자의 사상이나 개성이 글의 어구 등에 표현된 전체적인 특색 또는 글의 체제를 이르는 말로 정의되는 추세이다. 따라서 '문체'는 '글자의 모양'에서부터 '글쓰는 방법'에 이르기까지 폭넓은 의미를 담고 있는 단어이다.
1.2. 문체론의 방법론
문체론은 언어의 미시적 차원과 거시적 차원에서 문체의 특질을 분석하는데, 이에 미시 문체론과 거시 문체론의 방법론이 있다.
미시 문체론은 어휘나 단어, 문장을 중심으로 문체의 특질을 살펴보는데, 이는 곧 문장 문체론이라고 할 수 있다. 미시 문체론은 어휘단위와 문장단위의 측면에서 문체의 특질을 파악하여 분석한다.
이에 비해 거시 문체론은 문장 층위를 넘어서서 언어의 묘사, 대화의 서술, 구성과 구성 방식 등 보다 큰 범주와 단위에서 문체의 특질을 살펴본다. 따라서 거시 문체론은 작품 전체의 구조와 양식적 특성을 통해 문체의 전모를 규명하고자 한다.
이처럼 미시 문체론과 거시 문체론은 각각 문체를 구성하는 하위요소와 상위요소에 주목하여 문체론의 방법론을 구축하고 있다. 이러한 방법론적 차이에 따라 미시 문체론과 거시 문체론은 상호 보완적인 관계를 지닌다고 할 수 있다.
2. 고전소설 속 삽입 서간
2.1. 서간의 수용 양상
2.1.1. 사연 생략형 서간
사연 생략형 서간은 작품 내에서 서간의 핵심 요소인 사연이 전혀 드러나지 않는 유형의 서간이다. 예를 들어 <장시>에서 과거에 장원급제한 양소유가 정사도 집에 통혼하고자 편지를 보내게 되는데, 이때 작품 내에서 서간의 구체적인 사연은 일체 언급되지 않는다. 이러한 사연 생략형 서간은 작품 전개를 위한 소재적 수단으로만 활용될 뿐이며, 작품 내에서 차지하는 문학적 기능은 크지 않다. 즉 사연의 구체적 내용이 전달되지 않음에 따라 독자의 호기심을 자극하거나 서간의 문학적 효과를 크게 만들어내지는 못한다. 다만 대체적인 윤곽은 추정이 가능하기에 작품 구성을 위한 장치로서의 역할을 수행한다고 볼 수 있다.
2.1.2. 사연 요약형 서간
사연 요약형 서간은 사건의 개요를 요약하여 간접화법적으로 서술하고 있는 서간 형태를 일컫는다. 이러한 형태의 서간은 에서 예를 찾아볼 수 있다. 에서 김생은 마치 이생의 부친이 보내는 서신인 양 편지를 위조하여 이생에게 보낸다. 그런데 이러한 위조된 서간의 사연은 서사 문맥 내에 제시되고 있지 않으며, 서간 사연의 대체적인 윤곽만이 발신자의 언어가 아닌 작가·서술자의 언어에 의해 간접적으로 전달된다.
사연 요약형 서간은 전달적·보고적 기능이 강조되고 있으나, 독자에게 서간문을 직접 읽는 듯한 실감을 제공하지는 못한다. 작중 발신자의 입장에서 직접 사연을 피력하는 것이 아니라 제3자인 작가·서술자가 서간의 대략적인 내용을 요약적으로 전달하고 있기 때문이다. 이 때문에 사연 요약형 서간은 사연의 핵심 내용을 전달하는데 유용하지만, 서간의 독자적 문학적 기능을 최대한 활용하지는 못한다고 볼 수 있다.
2.1.3. 사연 인용형 서간
사연 인용형 서간은 작품의 서사 문맥 내에 사연의 전부나 혹은 일부가 직접화법에 의해 그대로 끼어드는 형태의 서간이다. 사연 인용형 서간은 사연의 전문이 그대로 인용되고 있는 전문 인용형 서간과 사연의 일부분만이 인용되고 나머지 부분은 요약·제시되고 있는 병용형 서간으로 구분된다.
전문 인용형 서간은 서간 속에 사연이 직접화법의 서술방식으로 서사 문맥 속에 수용된 서간을 말한다. 이 서간은 발신자의 언어 모습 그대로 보여주는 서간으로, 가장 완벽한 형태의 삽입서간이다. 반면 병용형 서간은 서간의 어떤 부분은 사연을 그대로 인용하고, 나머지 부분은 사연을 요약적으로 제시하여 인용형의 서술 방식과 요약형의 서술 방식을 병용하고 있는 것이다. 이런 점에서 이 유형의 서간 형태는 병용형 서간이라 부를만하다.
사연 인용형 서간은 발신자의 언어가 그대로 드러나면서 작품 내의 문맥과 유기적으로 결합할 수 있어, 독자에게 사연의 내용을 보다 생생하고 감동적으로 전달할 수 있다는 ...
참고 자료
경일남, 『고전소설과 삽입 문예 양식』, 역락, 2002
경일남, 『고전소설의 창작기법 연구』, 아세아문화사, 2007
이종오, 『문체론』, ㈜살림출판사, 2006
B.조빈스키, 이덕호 옮김, 『문체론』, 한신문화사, 1999
경일남, 「<금오신화>에 나타난 삽입문의 교육적 활용가치」, 『고전소설 연 구방법의 실제』, 2014- 정한숙, 『소설기술론』, 고려대 출판부, 1973
이재선, 「변이적 대체현상과 해체」, 『한국단편소설연구』, 일조각, 1975
신태수, 『한국 고소설의 창작방법연구』, 푸른사상사, 2006
이은봉, 「<주생전>과 <운영전>의 비극적 성격과 소설사적 의의」, 연세대학교 대학원 석사, 2005, p.7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