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내용
1. 간호윤리
1.1. 윤리이론과 윤리원칙
윤리이론과 윤리원칙은 간호윤리의 토대가 되는 개념이다. 윤리이론은 가장 이론적이며 보편적인 수준의 윤리적 판단과 사고로서 규칙과 원칙의 모체가 된다. 주요 윤리이론으로는 덕 윤리, 정의윤리, 통치윤리, 권리윤리, 의무윤리 등이 있다.
덕 윤리는 행동, 감정, 욕망, 태도 등의 양극단에서 적절한 조화를 이루는 습관을 형성함으로써 도덕성을 획득하는 이론이다. 덕 윤리관에 따르면 도덕적 행위를 가능하게 하는 것은 인격이나 마음의 성향, 습관, 품성과 같은 덕목이다. 특히 실천적 지혜는 가장 중요한 덕목이며, 이는 인간의 생활에 필요한 지적 능력과 성품을 내포하고 있다. 덕 윤리와 유사하게 페미니스트들이 제시한 돌봄의 윤리도 전통적인 윤리관과 상통하는 측면이 있다.
정의윤리는 모든 인간을 편견이나 선입견 없이 공평하게 대우해야 한다는 원칙이다. 통치윤리는 개인의 자유가 이기적 결정에 이르게 됨으로써 개인의 행동을 통제하는 규칙에 의해 통치되는 사회가 더 바람직하다고 주장한다. 권리윤리는 인간이 본질적으로 선하고 이성적이며 공동선을 위해 행동할 수 있다고 보며, 개인의 권리와 자유가 정부의 간섭보다 우선한다고 주장한다.
의무윤리는 칸트의 주장으로, 행동의 동기는 감정이나 욕망이 아닌 보편적인 의무나 선을 행하고자 하는 준칙에 의해 고려되어야 한다고 본다. 대표적인 의무윤리 원칙으로 "준칙이 모든 사람이 따를 수 있는 보편적 법칙이 되도록 행동하라"와 "인간은 수단이 아니라 목적으로 대우해야 한다"가 있다.
한편 윤리의 원칙으로는 자율성 존중의 원칙, 악행 금지의 원칙, 선행의 원칙, 정의의 원칙 등이 있다. 이러한 원칙들은 간호현장에서 간호사가 준수해야 할 윤리규범과 규칙의 기반이 된다.
1.2. 덕 윤리
덕 윤리는 행동, 감정, 욕망, 태도 등 양 극단에서 적절한 조화로운 것에 도달하기 위한 습관을 형성함으로써 도덕적 행위를 가능하게 하는 인격 혹은 마음의 성향, 습관, 품성을 중요시한다"" 아리스토텔레스에 따르면 가장 중요한 덕목은 실천적 지혜로, 인간의 생활에 필요한 지적인 능력과 성품을 내포하고 있다"" 덕 윤리 관점 하에서 돌봄의 윤리는 전통적인 덕 윤리와 유사성을 지니며, 도덕적 행위의 근거를 타인에 대한 배려와 공감에서 찾는다"" 따라서 간호사가 간호윤리를 실천함에 있어서는 단순히 규칙을 따르는 것을 넘어 돌봄의 마음과 태도, 나아가 간호사 개인의 품성과 인품이 중요하다고 볼 수 있다""
1.3. 정의윤리
정의윤리는 모든 인간을 편견이나 선입견 없이 공평하게 대할 필요성을 강조한다"" 정의윤리는 인간의 고유한 권리와 공정성을 중시한다. 정의의 핵심이 되는 요소는 평등, 호혜성, 자유, 권리, 책임 등이다. 정의윤리에서는 개인의 기본적인 권리와 자유가 존중되어야 하며, 개인 간 형평성이 보장되어야 한다고 주장한다"" 또한 장기이식과 같이 희소한 자원을 배분할 때에도 공정성과 정의가 실현되어야 한다고 본다. 의료현장에서 정의는 모든 환자들을 차별 없이 공평하게 대우하고, 공정한 기준에 따라 자원을 배분하는 것을 의미한다"" 이를 통해 취약계층의 인권을 보호하고 의료서비스에 대한 접근성을 높이는 것이 중요하다""
1.4. 통치윤리
통치윤리(Rule ethics)는 개인의 자유는 이기적 결정에 이르므로 개인의 행동을 통제하는 규칙에 의해 통치되는 사회가 개인적 권리와 자유가 최우선 되는 사회보다 우선함을 주장한다"" 통치윤리에 따르면 개인의 자유는 이기적 결정으로 이어질 수 있으므로, 사회를 위해 개인의 행동을 규칙으로 통제하는 것이 필요하다"" 이는 개인의 기본적 권리와 자유보다는 사회적 공동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