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내용
1. 성인간호학 학교 실습
1.1. 환자력
환자력은 환자의 과거력, 현병력, 투약력 등 의학적 정보를 체계적으로 수집하는 것으로, 이를 통해 환자의 건강 상태와 병력을 파악하여 적절한 간호 중재를 제공할 수 있다.
임상병리검사 결과는 환자의 건강 상태를 파악하는 데 중요한 정보를 제공한다. 특히 본 사례에서는 CBC, Electrolytes, ABGA, 심장효소 검사 결과를 통해 환자의 전반적인 건강 상태와 심근경색 관련 정보를 확인할 수 있다.
CBC 검사 결과, WBC가 감소되어 있어 세균감염이나 약물에 의한 골수 기능저하를 시사하며, RBC와 Hb, PLT는 정상 범위를 보여 큰 이상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Electrolytes 검사 결과에서는 Na, K, Cl, BUN, Cr이 모두 정상 범위를 보여 전해질 불균형은 관찰되지 않았다.
ABGA 검사 결과 pH, paCO2, paO2, HCO3, SaO2가 대체로 정상 범위였으나 SaO2가 약간 감소되어 있어 혈색소 포화율이 저하된 것으로 나타났다.
심장효소 검사에서는 CK-MB가 증가되어 있고 Troponin I도 상승되어 있어 급성 심근경색을 시사하는 소견이었다.
이처럼 환자의 임상병리검사 결과를 종합적으로 분석하면, 급성 심근경색이 의심되는 상황에서 환자의 전반적인 건강 상태를 확인할 수 있다. 이를 토대로 적절한 간호 계획을 수립하고 중재를 제공할 수 있다.
1.2. 임상병리검사
1.2.1. CBC 검사
CBC 검사는 적혈구(Red Blood Cells, RBC), 백혈구(White Blood Cells, WBC), 혈소판(Platelets, PLT)의 수치를 측정하는 기본적인 혈액검사 항목이다. CBC 검사 결과는 감염, 빈혈, 출혈 등 다양한 질병을 진단하는데 중요한 역할을 한다.
문서에 따르면, 이모모님의 CBC 검사 결과는 다음과 같다. WBC 수치는 1,530/㎕로 정상범위(4.0~10.0 x10³/㎕)에 비해 감소되어 있다. 이는 세균감염, 약물 부작용, 급성 백혈병 등으로 인해 골수 기능이 저하되었음을 시사한다. RBC 수치는 4.510?/㎕로 정상범위(4.2~6.3 x 10?/㎕)에 있으며, Hb 수치도 12g/dl로 정상범위(12~16g/dl)를 보이고 있다. PLT 수치는 231,000/㎕로 정상범위(130~400 x10³/㎕)에 있다.
따라서 이모모님의 CBC 검사 결과는 전반적으로 정상 범위에 있는 것으로 나타났지만, WBC 수치의 감소가 관찰되어 이에 대한 추가적인 평가와 주의가 필요할 것으로 보인다.
1.2.2. Electrolytes 검사
Electrolytes 검사는 신체 내 전해질 상태를 확인하는 검사로, 여기에는 나트륨(Na), 칼륨(K), 염소(Cl) 등의 대표적인 전해질들이 포함된다. 해당 검사 결과는 급성 심근경색 환자의 전해질 균형을 확인하는 데 유용하다.
먼저, 나트륨(Na)은 체내 수분 조절과 신경 및 근육 기능 유지에 중요한 역할을 한다. 정상범위는 135-145 mEq/L이며, 과다 섭취나 신장 기능 저하로 인해 증가할 수 있고, 과다 배설이나 부적절한 섭취로 인해 감소할 수 있다. 심근경색 환자의 경우 저나트륨혈증이 나타날 수 있는데, 이는 심부전으로 인한 신장 기능 저하와 관련이 있다.
다음으로, 칼륨(K)은 신경과 근육 기능 유지에 필수적인데, 특히 심장 박동 조절에 중요한 역할을 한다. 정상범위는 3.5-5.1 mEq/L이며, 과다 섭취나 신장 기능 저하로 인해 증가할 수 있고, 과다 배설이나 부적절한 섭취로 인해 감소할 수 있다. 심근경색 환자의 경우 저칼륨혈증이 나타날 수 있는데, 이는 구토, 설사, 이뇨제 사용 등으로 인한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