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가 장애인을 배려해서 한 행동이 장애인들에게는 불편한 경험이 될 수 있는 사례

  • 1
  • 2
  • 3
  • 4
  • 5
  • 6
  • 7
  • 8
  • 9
>

상세정보

소개글

"우리가 장애인을 배려해서 한 행동이 장애인들에게는 불편한 경험이 될 수 있는 사례"에 대한 내용입니다.

목차

1. 서론

2. 장애인에 대한 인식과 태도
2.1. 장애인인식의 개념
2.2. 장애인 인식개선

3. 통합교육에 대한 이해
3.1. 통합교육의 개념
3.2. 통합교육의 목표 및 필요성
3.3. 통합교육의 현황

4. 통합교육에서의 장애인식 변화
4.1. 통합교육과 장애인식
4.2. 장애인식과 수용태도의 관계

5. 장애인의 사회적 배제와 차별
5.1. 대중교통 이용의 불편함
5.2. 보도블록의 문제
5.3. 문화활동의 참여
5.4. 교육기관 입학 거부

6. 장애인 인식개선 방안
6.1. 인식과 현실
6.2. 해외의 베리어프리

7. 결론

8. 참고 문헌

본문내용

1. 서론

현재 국내에 등록된 장애인 수는 대략 498만 명으로 2011년의 251여명에 비해 2배에 가까운 수로 증가하고 있으며, 이에 따라 장애인에 대한 사회 전반적인 인식과 연구가 더욱 강하게 요구되고 있다. 우리 사회가 점차적으로 복지 사회로 변천해 감에 따라 장애인을 보는 시각이 변화되고 있고, 이에 일반적인 복지 및 교육문제도 많이 달라지고 있다. 그러나 그 동안 장애인에 대한 인식과 태도를 조사해온 여러 선행연구들을 통하여 살펴볼 때 장애인들은 내용과 정도는 다르지만 근거 없는 부당한 편견에 의해 사회적 및 경제적으로 불이익을 당하고 무시와 멸시를 받는 경우가 많은 것으로 나타나 있다. 오늘날에는 아직도 장애인을 비장애인과 다른 '별개의 사람, '사회적 소수', '재수 없는 불행한 사람', '불쌍한 사람'이라는 범주를 벗어나지 못하고 있다. 이러한 우리사회의 전반적인 장애인에 대한 부정적 태도 및 사회적 낙인으로 인하여 아직까지 장애인은 사회적 취약계층으로서 한 생명으로서의 존엄성과 권리는 배제된 채 사회참여나 생산 활동에 참여 할 수 없는 무능력한 사람, 또는 단순히 막연한 동정의 대상으로 치부되고 있는 실정이다. 장애청소년들이 통합된 환경에 적절히 적응하기 위해서는 장애에 대한 편견과 부적응적인 태도가 우선적으로 해결되어야 한다. 장애인에 대해 바른 인식을 가져 편견을 보다 적게 하려면 어린 시절부터의 꾸준한 장애인식개선이 필요하다.


2. 장애인에 대한 인식과 태도
2.1. 장애인인식의 개념

인식은 '아는 작용', 즉 외적, 내적 경험을 반영하며, 이를 자기의 지식체계로 섭취하는 전 계통이라 할 수 있다. 인식은 정확한 정보나 지식에 따라 태도에 영향을 미쳐 태도를 변화시킬 수 있으며, 새로운 동기를 유발시킬 수 있다. 이와 같은 인식이 장애인에 대해서 부정적, 긍정적일 수 있다. 장애인식이란 장애학생을 보고 어떻게 느끼고 생각하며 받아들이는지를 말하는 것으로 정신적인 것, 감성적인 것 혹은 인지적인 것을 말한다. 본 연구에서 장애인식은 태도의 3요소(인지적, 감정적, 행동적) 중 인지적, 감정적 요소를 인식적 측면으로 보았다.


2.2. 장애인 인식개선

장애인 인식개선을 위해서는 첫째, 정확한 정보와 지식을 바탕으로 태도를 변화시켜야 한다. 장애인에 대한 편견과 부정적인 인식은 장애인에 대한 정보와 이해가 부족하기 때문에 발생한다. 따라서 장애인에 대한 올바른 정보와 지식을 전달하고 교육하여 인식을 개선하는 것이 필요하다. 둘째, 장애인과의 접촉과 경험을 통해 긍정적인 태도를 형성할 수 있다. 장애인과의 직접적인 교류와 활동을 통해 장애인에 대한 편견을 해소하고 이해의 폭을 넓힐 수 있다. 이를 위해 학교와 사회에서 장애인과 비장애인이 함께하는 다양한 활동과 프로그램을 마련해야 한다. 셋째, 장애인에 대한 편견과 차별을 해소하고 권리를 보장하는 법적, 제도적 장치를 마련해야 한다. 장애인차별금지법과 같은 법적 제도를 통해 장애인에 대한 차별을 해소하고 이를 실천할 수 있는 방안을 모색해야 한다. 이를 통해 장애인에 대한 사회적 인식을 개선하고 장애인의 권리를 보장할 수 있을 것이다.


3. 통합교육에 대한 이해
3.1. 통합교육의 개념

통합교육이란 장애 아동이 일반학급에서 차별 없이 교육받는 것을 말한다. 시대적 변화에 따른 사회적 요구의 변천으로 특수교육의 교육적 이론이 발전하면서 완전 통합교육의 실천을 요구하게 되었다. 유네스코(UNESCO)는 통합교육을 "특별한 교육을 필요로 하는 어린이들에게 일반 교육 조직 가운데에서 특수교육의 방책을 부여한다."라고 정의하고 있다. 이처럼 오늘날 특수교육의 세계적인 흐름은 완전통합교육의 실천으로 나아가고 있다.


3.2. 통합교육의 목표 및 필요성

통합교육의 목표는 첫째, 개인의 학교생활이 단순히 미래를 준비하는 시기...


참고 자료

조소이(2014), 장애인식개선교육과 통합교육이 비장애학생들의 장애 수용 태도에 미치는 영향,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 청구논문
이진수(2008), 장애인에 대한 비장애청소년의 인식연구, 서울기독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이태훈(2007), 청소년들의 장애인에 대한 태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침례신학대학교 사회복지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김태성(2005), 청소년의 장애인식에 대한 연구, 한일장신대학교 기독교사회복지대학원, 석사학위논문
이영숙(2011), 통합교육에서 일반 청소년의 장애 청소년 수용태도에 대한 연구, 석사학위 청구논문
Fitzgerald, Glodoski, Knox, McCaskill, Pelzek, Szopinski, Toshner(1992), Inclusion of special education students in general education classes, LD forum
박승희(2003), 한국 장애학생 통합교육, 교육과학사
이성규(2011), 한국 장애인복지 발달사, 집문당
김향미, 장애인 “가장 많이 겪는 차별은 이동·대중교통”…해고·입학거부 사유는, 경향신문, 2023.02.24
https://m.khan.co.kr/national/health-welfare/article/202302241432001
조성민, CGV 등 인천 ‘영화관 3사’ 장애인 접근성 심각… 인권위에 차별 진정, The indigo, 2022.03.17.
https://theindigo.co.kr/archives/30787
보건복지부 보도자료 [2021년 장애인차별금지법 이행 실태조사 결과 발표] https://www.mohw.go.kr/react/al/sal0301vw.jsp?PAR_MENU_ID=04&MENU_ID=0403&page=1&COCO_SEQ=375120
인현우,[지하철 막아선 장애인 운동가, 시민들 비판에 "감사하다" 한 까닭은],한국일보, 2021.04.20 https://www.hankookilbo.com/News/Read/A2021042009360003539?did=NA
이슬기,[장애인들 지하철 개찰구 통과 불편 ‘쩔쩔’],에이블뉴스, 2022.11.07 https://www.ablenews.co.kr/news/articleView.html?idxno=100650
인현우,[ 덴버에서 ADA까지...美 장애인 이동권 투쟁도 '점거·교통방해' 였다],한국일보,2022.04.03 https://www.hankookilbo.com/News/Read/A2022033114560000478

주의사항

저작권 EasyAI로 생성된 자료입니다.
EasyAI 자료는 참고 자료로 활용하시고, 추가 검증을 권장 드립니다. 결과물 사용에 대한 책임은 사용자에게 있습니다.
AI자료의 경우 별도의 저작권이 없으므로 구매하신 회원님에게도 저작권이 없습니다.
다른 해피캠퍼스 판매 자료와 마찬가지로 개인적 용도로만 이용해 주셔야 하며, 수정 후 재판매 하시는 등의 상업적인 용도로는 활용 불가합니다.
환불정책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