박카스 STP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최초 생성일 2024.10.09
11,400원
AI자료를 구입 시 아래 자료도 다운로드 가능 합니다.
새로운 AI자료
생성
다운로드

상세정보

소개글

"박카스 STP"에 대한 내용입니다.

목차

1. 박카스의 개요
1.1. 박카스의 발전사
1.2. 동아제약의 소개
1.3. 박카스의 경영현황

2. 박카스의 시장세분화 분석
2.1. 시장세분화 전략의 의의
2.2. 박카스의 시장세분화 변수
2.3. 세분시장의 프로파일
2.4. 표적시장의 선정

3. 박카스의 포지셔닝 전략
3.1. 포지셔닝의 개념
3.2. 포지셔닝 전략의 수행과정
3.3. 박카스의 포지셔닝 맵 작성

4. 박카스의 마케팅 믹스 전략
4.1. 제품 전략
4.2. 가격 전략
4.3. 유통 전략
4.4. 촉진 전략

5. 박카스의 미래전략
5.1. 제품 차별화 및 다변화
5.2. 세대간 공감 창출
5.3. 타겟 다각화 전략

6. 참고 문헌

본문내용

1. 박카스의 개요
1.1. 박카스의 발전사

박카스의 발전사는 다음과 같다.

박카스는 1961년 9월 자양강장 변질제(비타민+미네랄)로서 피로회복 효능을 지닌 '박카스 정'으로 처음 선보였다. 브랜드 네임은 술과 담배, 과로로부터 간장을 보호한다는 의미로 술에 맞추어 간장 보호 제품으로 포지셔닝되었다. 이는 당시 전쟁의 폐허가 고스란히 남아있고 극심한 가난에 의한 영양부족 현상이 만연했던 상황에서 미국의 원조로 새롭게 알려진 비타민에 대한 관심이 증가함에 따라 제약업계가 경쟁적으로 비타민제를 출시한 것과 맞물려 1960년 9월 동아제약이 선보인 것이다.

이후 '박카스 정'은 알약 타입의 문제점을 극복하고자 1962년 8월 액체 '앰플'로 변환되었다. 하지만 앰플의 특성상 소비자들의 복용 시 불편함과 오용의 문제점이 대두되어 다시 변신이 요구되었다. 이에 1963년 8월 속효성과 청량감, 그리고 더 많은 타우린 함량 등을 보강한 드링크 타입인 '박카스-D'가 출시되었다.

1991년 5월에는 '박카스-F'로 브랜드를 확장하였다. 박카스-D가 200원이었던 것에 비해 330원으로 인상되었고, 당시 다른 식품드링크 및 음료들과 경쟁하게 되면서 박카스-D의 최대 위기를 맞게 되었다. 이에 박카스-F는 피로회복 및 기타 성분을 보강하고 주성분을 천연 식물성으로 바꾸는 등 차별화를 시도하여 시장 점유율을 되찾고자 하였다.

이처럼 박카스는 시대의 변화와 소비자 기호에 맞춰 제품의 형태와 성분을 지속적으로 변화시켜 왔으며, 자사 브랜드를 강화하고 경쟁력을 높이기 위한 노력을 해왔다고 볼 수 있다.


1.2. 동아제약의 소개

동아제약은 1932년 12월 1일 서울 종로구 중학동에서 의약품 및 위생재료 도매업으로 창업하였다. 1949년 사명을 동아제약주식회사로 변경하였으며, 1957년 서울 동대문구 용두동으로 공장을 신축하여 최신식 항생제 생산시설을 갖추었다. 이후 1959년 일본 명치제약과 기술제휴를 맺고 광범위항생제 가나마이신을 생산하기 시작하였다.

1963년 박카스-D를 출시하여 종합 자양강장제 시장에 진출하였고, 이후 1967년 국내 제약업계 매출 1위에 올랐다. 1970년에는 주식을 공개하여 자본금을 7억 5천만 원으로 증자하였으며, 1971년에는 완전자동화된 안양공장을 준공하고 당화효소 클루크자임 공장도 준공하였다. 1972년에는 청량음료 '오란.씨'를 발매하여 식품사업에도 진출하였다.

1973년 일본 명치제과와 합작투자로 동명산업을 설립하였고, 1975년에는 리리화장품공업을 인수하여 라미화장품을 발족시켰다. 1977년에는 연구소를 발족하였고, 1978년에는 연합유리를 인수하여 동아유리공업을 설립하였다. 1980년에는 안양에 GMP 공장을 건립하는 등 계속해서 사업을 확장해 나갔다.

이처럼 동아제약은 창립 이후 지속적인 성장을 거듭하며 제약업계의 선두 기업으로 자리 잡아왔다. 생명존중의 기업 정신을 바탕으로 혁신적인 신제품 개발과 사업다각화를 통해 끊임없이 변화와 도전을 추구해 왔다.""


1.3. 박카스의 경영현황

동아제약의 박카스 제품은 최근 경영현황이 안정적인 편이다. 손익계산서를 살펴보면 최근 5년간 매출액이 지속적으로 증가하여 2018년 기준 361,801백만 원을 기록하였다. 특히 영업이익은 2015년 37,662백만 원에서 2018년 24,374백만 원까지 소폭 감소하였지만 여전히 안정적인 수준을 유지하고 있다.

대차대조표 분석에서도 자산총계는 2015년 303,567백만 원에서 2018년 437,206백만 원으로 크게 증가하였으며, 부채비율도 2015년 203,333백만 원에서 2018년 276,878백만 원으로 증가하였다. 이는 동아제약이 꾸준한 투자를 통해 자산규모를 확대해 나가고 있음을 보여준다.

또한 동아제약의 주요 제품인 박카스의 경우 1960년대부터 제품을 지속적으로 개발하며 브랜드 이미지를 구축해 왔다. 특히 1991년 박카스-F 제품을 출시하여 기존 제품에 성분을 보강하는 등 변화와 혁신을 거듭하며 시장 지위를 공고히 하고 있다. 이처럼 동아제약은 박카스 브랜드를 중심으로 안정적인 경영실적을 유지하고 있다고 볼 수 있다.


2. 박카스의 시장세분화 분석
2.1. 시장세분화 전략의 의의

시장세분화 전략의 의의는 단일 제품으로 수많은 소비자의 욕구를 충족시켰던 매스 마케팅(mass marketing)의 시대가 지나가고 한정된 범위의 소비 욕구만을 충족시키는 제품은 다양한 소비 욕구를 충족시키기를 원하는 소비자들로 구성된 시장에서는 더 이상 발붙일 곳이 없게 되었다는 데 있다. 소비자들의 욕구를 정확히 파악하고 그 유형들을 분류하고 그들의 욕구에 따라 적절한 제품을 제공하는 기업만이 살아 남는 새로운 마케팅 시대에 들어섰기 때문이다. STP(Segmentation, Targeting, Positioning)전략은 이러한 시장 여건의 변화에 따라 도입된 마케팅 전략의 개념이라고...


참고 자료

◈ 동아제약 홈페이지
▶ http://www.donga.co.kr
◈ 박카스 홈페이지
▶ http://www.donga.co.kr/donga/dept_or
◈ web 자료 페이지
▶ http://base.yonsei.ac.kr/~1iron/data/
▶ http://oa.dpc.ac.kr/~oa99016-edpark/
▶ http://oa.dpc.ac.kr/oa99020-yibae/Marketing

주의사항

저작권 EasyAI로 생성된 자료입니다.
EasyAI 자료는 참고 자료로 활용하시고, 추가 검증을 권장 드립니다. 결과물 사용에 대한 책임은 사용자에게 있습니다.
AI자료의 경우 별도의 저작권이 없으므로 구매하신 회원님에게도 저작권이 없습니다.
다른 해피캠퍼스 판매 자료와 마찬가지로 개인적 용도로만 이용해 주셔야 하며, 수정 후 재판매 하시는 등의 상업적인 용도로는 활용 불가합니다.
환불정책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