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개글
"irb 작성 사회복지"에 대한 내용입니다.
목차
1. 간호 연구와 윤리
1.1. 윤리 원칙과 대상자 보호
1.2. 연구부정행위
1.3. 연구과정별 대상자 보호 방법
2. 간호 연구의 중요성
2.1. 간호 연구의 필요성
2.2. 간호 연구의 기능과 목적
2.3. 간호사의 연구능력
3. 간호 연구 과정
3.1. 연구 문제 설정
3.2. 문헌 고찰
3.3. 연구 설계
3.4. 자료 수집 및 분석
3.5. 결과 해석과 발표
4. 간호 연구 윤리
4.1. 윤리 규범 및 지침
4.2. 연구 참여자 보호
4.3. 연구수행의 윤리성
5. 참고 문헌
본문내용
1. 간호 연구와 윤리
1.1. 윤리 원칙과 대상자 보호
윤리 원칙과 대상자 보호는 간호 연구 수행 시 가장 중요하게 고려되어야 하는 부분이다. 연구에 참여하는 대상자의 기본적인 권리와 안전을 보장하기 위해 다음과 같은 윤리 원칙이 적용된다.
첫째, 자율성 존중의 원칙이다. 연구 참여자는 연구에 대한 충분한 설명을 듣고 자발적으로 동의해야 한다. 연구자는 참여자 개인의 생각과 행동을 강요해서는 안 되며, 참여자의 비밀과 프라이버시를 존중해야 한다.
둘째, 무해의 원칙(선행의 원칙)이다. 연구 참여로 인해 참여자에게 어떠한 해도 가해져서는 안 되며, 오히려 참여자에게 이익이 될 수 있도록 주의 깊게 설계되어야 한다. 위험은 최소화하고 이익은 극대화하여 참여자의 안녕이 보장되어야 한다.
셋째, 정의의 원칙이다. 연구 참여자는 연구 과정에서 공정하게 대우받아야 하며, 참여자 선정 및 혜택 분배에 있어 차별이 없어야 한다. 또한 연구 결과가 참여자와 지역사회에 골고루 돌아가도록 해야 한다.
이러한 윤리 원칙을 준수하기 위해 연구자는 연구 수행 전 참여자에게 연구의 목적, 절차, 위험과 이익, 자발적 참여 등에 대해 충분히 설명하고 서면 동의를 받아야 한다. 또한 연구 윤리 심의위원회(IRB)의 승인을 거쳐 연구 수행의 윤리성을 확보해야 한다. 연구 과정에서도 참여자의 정보 보호, 비밀 유지, 위험 예방 등에 각별한 주의를 기울여야 한다. 이를 통해 연구 참여자의 기본적 인권이 보장되고 존엄성이 지켜질 수 있다.
1.2. 연구부정행위
연구부정행위는 학문의 발전을 저해하고 연구의 신뢰성을 훼손하는 심각한 문제이다. 연구부정행위의 유형으로는 변조, 위조, 표절, 부당한 저자표시, 부당중복게재 등이 있다.
변조는 연구 자료를 임의로 변형 또는 삭제하여 연구 결과를 보고하는 행위를 말한다. 위조는 존재하지 않는 연구 자료를 허위로 만들어 보고하는 것을 의미한다. 표절은 타인의 아이디어, 연구 내용, 결과 등을 출처를 밝히지 않고 도용하는 것이다. 부당한 저자표시는 연구에 참여하지 않은 사람을 저자로 포함시키거나 정당한 저자를 제외시키는 행위이다. 부당중복게재는 이전에 발표한 자신의 연구 결과를 출처를 밝히지 않고 다른 논문으로 게재하는 것을 말한다.
이러한 연구부정행위는 학문의 발전을 저해하고 연구 결과의 신뢰성을 떨어뜨리기 때문에 엄중히 다루어져야 한다. 연구자는 연구 윤리에 대한 인식을 높이고, 정직성 있는 연구를 수행해야 한다. 또한 연구 기관들은 연구 윤리 지침을 마련하고 철저한 검증 절차를 통해 연구부정행위를 방지해야 한다. 이를 통해 학문적 진실성을 지키고 연구의 질적 향상을 도모할 수 있을 것이다.
1.3. 연구과정별 대상자 보호 방법
연구과정별 대상자 보호 방법은 다음과 같다.
사전동의는 대상자에게 연구의 목적, 절차, 위험성, 이득 등을 충분히 설명하고 이에 대한 동의를 구하는 것이다. 이를 통해 대상자의 자율성을 존중하고 강압적이지 않은 참여를 보장할 수 있다.
익명성과 비밀보장은 대상자의 정보를 노출시키지 않고 비밀을 지키는 것이다. 연구자는 대상자가 식별되지 않도록 주의해야 하며, 자료 수집과 보관 시 비밀이 유지되도록 해야 한다.
IRB에서의 연구계획서 심의는 독립적 윤리심의위원회에서 연구 대상자에 대한 위험요인과 보호방안을 검토하는 것이다. 이를 통해 대상자의 권리와 안전이 보장되도록 한다.
이처럼 연구과정에서 대상자 보호를 위한 방법들이 마련되어 있으며, 이를 철저히 준수함으로써 대상자의 자율성과 인권을 존중할 수 있다.
2. 간호 연구의 중요성
2.1. 간호 연구의 필요성
간호 연구의 필요성은 다음과 같다.
간호 연구는 간호사가 근거 중심 건강 간호를 제공할 수 있도록 과학적 지식을 개발하는 수단이다"". 간호 실무에서 발견되는 문제를 해결하고 간호의 질을 향상시키기 위해서는 체계적이고 과학적인 연구가 필요하기 때문이다. 간호 연구를 통해 축적된 지식과 근거는 간호사로 하여금 보다 전문적이고 효과적인 간호를 수행할 수 있게 한다"".
또한 간호 연구는 간호 이론 개발을 위한 기반을 제공한다"". 간호 현상을 과학적으로 탐구하고 그 결과를 바탕으로 새로운 간호 이론을 개발할 수 있다"". 이를 통해 간호학 학문 분야의 ...
참고 자료
고은, 김혜영, 김광숙, 김랑순, 소향숙. 종양병동 간호사의 간호전문직관, 완벽주의 성향 및 회복탄력성이 소진에 미치는 영향. 종양간호연구. 2018;18(4):214-223.
김신 외9. 일개 종합병원 종양간호사의 전문직 삶의 질. 임상간호연구학회지. 2010;16(3):145-155.
김요나. 간호사의 감성지능, 셀프리더십, 전문직 삶의 질과의 관계. 한국산학기술학회 논문지. 2019;20(8):531-538.
김현숙. 암병동 간호사와 일반병동 간호사의 건강상태와 직무스트레스 비교연구. 종양간호학회지. 2001;1(2):191-203.
김현주, 최희정. 응급실 간호사의 전문직 삶의 질. 간호행정학회지. 2012;18(3):320-328
남문희, 권영채. 병원간호사의 행복지수 영향요인. 간호행정학회지. 2013;19(3):329-339.
박미선, 유양숙. 암 환자를 돌보는 간호사의 부담감, 직무 만족도 및 삶의 질. 한국호스피스·완화의료학회지. 2005;8(1):8-17.
윤매옥. 암 환자를 돌보는 간호사의 영적안녕과 영적간호수행. 한국호스피스·완화의료학회지. 2019;12(2)72-79.
윤소라. 암환자를 돌보는 간호사의 감정노동, 직무스트레스 및 전문직 삶의 질 간의 관계. 고신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1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