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개글
"한국어의 자음 체계, 모음 체계, 초분절음 체계"에 대한 내용입니다.
목차
1. 서론
2. 외국인 학습자들의 한국어 발음 어려움
2.1. 자음 체계의 어려움
2.2. 모음 체계의 어려움
2.3. 초분절음 체계의 어려움
3. 언어권별 발음 어려움 분석
3.1. 영어권 학습자
3.2. 중국어권 학습자
3.3. 일본어권 학습자
4. 발음 교정을 위한 방안
4.1. 자음 발음 교정
4.2. 모음 발음 교정
4.3. 초분절음 발음 교정
5. 결론
6. 참고 문헌
본문내용
1. 서론
음운론은 자음과 모음 같은 분절음에 관하여 연구한 이론이고, 운율론은 성조와 장단 및 억양 같은 초분절음적 요소를 연구한 이론이다. 전 세계 언어별로 제각각의 자음과 모음이 존재하며 초분절음의 구조와 중요도도 모두 다르다. 필자는 영어, 일본어, 중국어, 베트남어를 배운 적이 있고 언어마다 다양한 부분에서 유사성과 차이점을 느끼며 대조해보면서 수많은 의문을 품는 동시에 깨달음을 얻게 되었다. 한국어에는 분절음과 초분절음의 관계에서 어떤 것이 더 중요한가? 과연 분절음과 초분절음 중에서 어떤 것이 더 본질적이고 습득이 더 빠를까? 에 대한 의문을 품게 되었다. 한 가지 놀라웠던 사실은, 태아가 엄마의 배 속에 있을 때부터 어린 시절에는 분절음적인 요소를 습득하고 차이를 인지하기보다는 초분절음적인 요소들을 먼저 습득하게 된다는 것이다. 특히, 한국어에서는 자음과 모음 중에 구별하기 힘든 음소들도 존재하고 음운변동으로 인해 발음이 변화하는 경우들이 많기 때문에 초분절음적인 요소가 더욱 중요하다고 생각한다.
2. 외국인 학습자들의 한국어 발음 어려움
2.1. 자음 체계의 어려움
한국어 자음 체계는 영어, 중국어, 일본어 등 다른 언어와 비교할 때 독특한 특징을 가지고 있다. 대표적으로 된소리(ㄲ, ㄸ, ㅃ 등)는 외국인 학습자들에게 큰 난관이 된다.
영어권 학습자의 경우, 영어에는 한국어의 된소리에 해당하는 음이 존재하지 않는다. 영어의 자음 체계는 비교적 단순하여, 강한 기식을 동반한 파열음(k, t, p 등)과 약한 기식음만으로 구분된다. 이러한 점에서 영어권 학습자들은 된소리와 평음을 구분하여 발음하는 데 어려움을 겪는다. 예를 들어, "가다"와 "까다"의 구별이 어려운 경우가 많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교사는 학습자들에게 기식의 차이를 체감할 수 있도록 반복적인 훈련을 제공할 필요가 있다"이다.
중국어권 학습자의 경우, 중국어에는 성조가 있는 반면 된소리와 같은 자음 구분이 존재하지 않는다. 또한, 중국어에는 유성음과 무성음의 구분이 있긴 하지만, 한국어의 된소리처럼 기식과 발음 위치에 따른 자음의 미세한 차이는 없다. 따라서 중국어권 학습자들은 된소리와 평음, 그리고 격음을 구분하는 데 어려움을 느낄 수 있다. 이러한 경우에는 음성학적 비교와 반복적인 발음 연습을 통해 발음 차이를 인식시키는 것이 필요하다"이다.
일본어권 학습자의 경우, 일본어에는 파열음이 존재하지만, 된소리처럼 강하게 발음되는 음이 없다. 일본어의 자음은 대체로 부드럽게 발음되며, 자음의 기식 차이가 크지 않다. 이로 인해 일본어권 학습자들은 된소리 발음을 어려워하며, 특히 'ㄲ', 'ㄸ', 'ㅃ'와 같은 발음을 혼동하게 된다. 교정 방안으로는 자음 발음을 강하게 하는 훈련을 반복하고, 일본어의 자음과 한국어의 자음을 비교하며 차이를 명확히 인식시키는 방법이 효과적이다"이다.
2.2. 모음 체계의 어려움
한국어 모음 체계는 외국인 학습자들에게 많은 어려움을 야기한다. 영어, 중국어, 일본어와 같은 다른 언어의 모음 체계와 비교할 때 한국어는 보다 복잡한 구조를 가지고 있기 때문이다.
먼저, 영어권 학습자의 경우 한국어의 이중모음 발음에 많은 어려움을 겪는다. 영어에는 한국어의 "의" 발음과 같은 소리가 존재하지 않기 때문에, "희망"이라는 단어에서 "의"를 "히망"으로 발음하는 오류가 자주 발생한다. 이를 해결하기 위해서는 한국어 모음의 발음 위치와 혀의 움직임을 자세히 설명하고, 모음 조음 위치를 반복적으로 연습시킬 필요가 있다.
중국어권 학습자 또한 한국어의 중모음과 이중모음 발음에 어려움을 느낀다. 중국어의 모음 체계는 한국어에 비해 상대적으로 단순하기 때문에, "왜"와 "외"의 차이를 구분하지 못하거나 "의"를 "이"로 발음하는 경우가 많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는 중국어와 한국어의 모음 차이를 명확히 인식시키고, 지속적인 발음 연습을 통해 정확성을 높여나가는 것이 중요하다.
일본어권 학습자들 또한 한국어의 이중모음 발음에 어려움을 겪는다. 일본어의 모음 체계는 한국어보다 단순하며, 특히 이중모음이 거의 존재하지 않는다. 이로 인해 일...
참고 자료
네이버 지식 백과 - https://terms.naver.com/
이윤희 (2003), 일본어 모어 화자를 위한 한국어 발음 지도 방안,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장호영 (2006), 한.영 대조 분석을 바탕으로 한 영어 초분절음 지도 방안, 강원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최수영 (2009), 중국어권 한국어 학습자의 발음실태와 한.중 음운 대조, 대구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쩌우 티 투 튀 (2011), 한국어와 베트남어의 음운론적 대조 연구, 영남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정쌍 (2012), 한국어 음운 발음에 대한 지도 방안 연구 -중국인 초급 학습자를 대상으로- , 안동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유준선 (2014), 한.일 양 언어의 모음의 무성화에 관한 실험음성학적 연구, 한국외국어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강소영 (2016), 베트남인 학습자의 한국어 발음 교육에 관한 연구, 동신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김은정 (2019), 일본인 학습자의 한국어 악센트 연구, 계명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응웬 비 타오 짱 (2021), 베트남어 성조를 활용한 한국어 어두 평폐쇄음 발음 교육 방안 연구, 동국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목정수 (2021), 대조언어학 교안, 배론원격평생교육원
김경미. (2007). 중국인 학습자를 위한 한국어 발음 교육 방안. 부경대학교 대학원.
김윤경. (2002). 일본인의 한국어 발음에 나타난 모어 악센트의 간섭 현상 연구. 연세대학교 교육대학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