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내용
1. 서론
1.1. 당뇨병의 정의
당뇨병(Diabetes mellitus)은 고혈당이 특징인 대사 장애로서 인슐린의 수요와 공급이 서로 맞지 않는 불균형 상태이다. 즉 인슐린의 결핍에 의해 지방 및 단백질 대사에 이상을 동반하는 혈당 상승이 특징인 당질 대사 장애이다."
1.2. 당뇨병의 병태생리
혈액에 있는 포도당이 세포 내로 들어가서 힘을 내게 하기 위해서는 인슐린이라는 호르몬이 필요하다. 당뇨병은 인슐린이 부족하거나 효율적으로 사용되지 못하는 경우에 혈액에 있는 포도당이 세포 내로 들어가기 못해서 혈액 중에 당이 비정상적으로 높고 소변으로 '포도당'이 배설되는 질환이다."
1.3. 당뇨병의 진단
당뇨병은 정상 혈당치가 80~110mg/dl 정도인데, 만약 공복 시 혈당이 126mg/dl 이상이거나 식후 혈당치가 200mg/dl 이상일 경우 당뇨병으로 진단한다""이다. 당뇨병을 진단할 때는 공복 혈당검사와 경구 당부하 검사를 실시하여 판단한다. 공복 혈당검사에서 126mg/dl 이상이거나 경구 당부하 검사에서 200mg/dl 이상이면 당뇨병으로 진단할 수 있다. 또한 증상(다뇨, 다갈, 다식)이 있고 무작위 혈당검사에서 200mg/dl 이상이면 당뇨병으로 진단할 수 있다""이다.
1.4. 당뇨병의 분류
당뇨병의 분류는 크게 제1형 당뇨병과 제2형 당뇨병으로 구분된다. 제1형 당뇨병은 내인성 인슐린의 분비가 없거나 저하된 상태로, 혈당을 조절하고 케토산증을 예방하기 위해 인슐린의 자가 투여가 필요한 형태이다. 전체 당뇨병 환자의 5~10%가 제1형 당뇨병에 해당하며, 주로 30세 이하에서 나타난다. 원인으로는 자가면역, 바이러스 감염, 유전적 소인 등이 알려져 있다. 전형적인 증상으로는 다뇨, 다갈, 다식 및 체중감소 등이 있다.
제2형 당뇨병은 인슐린의 생산이나 베타 세포로부터의 분비과정의 결함, 말초조직에서의 인슐린저항성 등이 원인이 되는 형태이다. 전체 당뇨병 환자의 약 90%가 제2형 당뇨병에 해당하며, 강한 유전적 소인과 종종 비만과 관련되어 있다. 보통 서서히 증상이 나타나며 피로, 체중증가, 상처회복의 지연, 재발성 감염 등의 증상을 보인다.
이처럼 당뇨병은 그 원인과 치료방법, 증상 등이 제1형과 제2형에서 뚜렷한 차이를 보인다. 따라서 정확한 진단과 분류가 필수적이며, 이를 바탕으로 개별화된 치료와 관리가 이루어져야 한다.
2. 간호사정
2.1. 지리적 특성
현재 거주지는 전라북도 군산시 조촌동이다. 주변에는 식당, 마트 등 편의시설이 도보 2분 거리 내에 갖추어져 있다. 보건소는 자차로 약 15분 거리에 위치하고 있으며, 오르막길이 없는 평지길이다.
2.2. 인구학적 특성
대상자인 정씨는 78세의 남성으로, 기혼이지만 현재 자녀들과 떨어져 혼자 생활하고 있다"" 정씨는 과거 자영업을 약 40년 이상 해왔으나 현재는 수입이 없이 기초연금과 둘째 딸로부터 받는 용돈으로 생활하고 있다"" 또한 교육수준은 고졸 수준이다"" 이를 통해 정씨가 은퇴 이후 수입이 줄어들어 경제적 어려움을 겪고 있으며, 교육수준이 높지 않아 의료정보 활용 및 자가관리에 어려움이 있을 것으로 추정된다""
2.3. 건강상태
정씨는 78세의 남자로 약 18년 전에 당뇨병을 진단받았다. 현재 혈압은 129/86mmHg이며, 식후 2시간 혈당은 250mg/dL로 높게 측정되고 있다. 또한 체중은 65kg, 키는 162cm로 정상 체중 범위에 있다. 정씨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