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내용
1. 플라톤의 대화편 "에우튀프론"
1.1. 플라톤의 생애와 사상
플라톤은 기원전 428년 또는 427년 아테네에서 태어났다. 그는 귀족 가문 출신으로, 소년 시절에는 귀족으로서의 교육을 받았다. 20세 때 소크라테스의 제자가 되었고, 8년간 소크라테스로부터 철학을 배웠다. 소크라테스의 죽음 이후, 플라톤은 이탈리아와 시칠리아를 여행하며 피타고라스학파와 엘레아학파의 사상을 접했다. 기원전 387년, 플라톤은 아테네 교외의 아카데메이아에 학교를 설립하였다. 아카데메이아는 고대 그리스 최초의 대학으로, 플라톤은 아카데메이아에서 40여 년간 철학을 가르쳤다. 플라톤은 아카데메이아에서 정치학, 윤리학, 형이상학, 인식론 등 다양한 주제를 강의하였다. 플라톤의 사상은 크게 이데아론, 정치론, 윤리론으로 나눌 수 있다. 우선 플라톤의 이데아론은 플라톤 철학의 핵심이다. 플라톤은 우리가 경험하는 세상은 단지 가상적인 세계일 뿐이며, 진정한 실재는 이데아의 세계라고 주장하였다. 이데아는 영원하고 불변하며, 물질적 세계의 원형이다. 이와 함께 플라톤의 정치론은 이상국가론으로 알려져 있다. 플라톤은 이상국가는 철인에 의해 통치되어야 한다고 주장하였다. 철인은 지혜와 덕을 갖춘 사람으로, 국가를 올바르게 이끌 수 있는 능력을 가진 사람이다. 또 플라톤의 윤리론은 덕론으로 알려져 있다. 플라톤은 덕은 인간의 영혼의 조화로운 상태라고 주장하였다. 덕은 지혜, 용기, 절제, 정의의 네 가지로 나뉜다. 플라톤의 사상은 서양 철학에 지대한 영향을 미쳤다. 플라톤의 이데아론은 서양의 형이상학과 인식론의 토대가 되었고, 플라톤의 정치론과 윤리론은 서양의 정치학과 윤리학 발전에 중요한 영향을 미쳤다.
1.2. "에우튀프론"의 주요 내용
1.2.1. 줄거리
《에우튀프론》은 플라톤의 초기 대화편 중 하나로, 소크라테스와 에우튀프론이 경건함에 대한 대화를 나누는 내용을 담고 있다. 대화의 시작에서 에우튀프론은 자신이 아버지를 죽인 아버지 살해범을 신에게 고발했다고 말한다. 소크라테스는 에우튀프론이 아버지를 죽인 것이 경건한 일이라고 생각하기 때문이라고 추측한다. 에우튀프론은 자신의 행동이 경건하다고 주장하며, 경건함의 정의를 제시한다. 그러나 소크라테스는 에우튀프론의 정의에 대한 문제점을 지적하며, 결국 에우튀프론은 경건함의 정의를 제시하지 못한다. 이 대화편은 경건함의 정의에 대한 소크라테스의 탐구를 담고 있으며, 오늘날에도 여전히 많은 학자들의 관심을 받고 있다..
1.2.2. 경건함에 대한 논의
경건함에 대한 논의는 플라톤의 《에우튀프론》대화편에서 소크라테스와 에우튀프론 사이에 이루어지는 핵심적인 주제이다. 에우튀프론은 자신이 경건함에 대해 탁월한 이해를 가지고 있다고 주장하지만, 소크라테스는 에우튀프론의 정의에 대해 끊임없이 의문을 제기한다.
에우튀프론은 처음에 경건함이란 신에게 사랑받는 것이라고 정의한다. 하지만 소크라테스는 신들 사이에도 의견 차이가 있을 수 있다는 점을 지적하며, 이러한 정의가 타당하지 않다고 비판한다. 따라서 신에게 사랑받는 것이 경건함의 정의가 될 수 없다는 것이다.
에우튀프론은 두 번째로 경건함이란 신에게 제물을 바치거나 예배를 드리는 것이라고 정의한다. 그러나 소크라테스는 이러한 행위가 반드시 경건한 것은 아니라고 반박한다. 예를 들어 신에게 해를 끼치는 제물을 바치는 것은 경건하지 않다는 것이다.
에우튀프론은 세 번째로 경건함이란 신이 사랑하는 것을 사랑하는 것이라고 정의한다. 그러나 소크라테스는 이러한 정의가 순환논리에 빠진다고 지적한다. 경건함을 정의하기 위해 '신이 사랑하는 것'이라는 개념을 사용하는데, 이 개념은 이미 경건함이라는 개념에 포함되어 있기 때문이다.
결국 에우튀프론은 경건함의 정의를 제시하지 못한다. 소크라테스는 에우튀프론이 경건함에 대해 잘 알고 있다고 생각했지만, 그의 정의는 모두 문제가 있었다는 것을 보여준다. 《에우튀프론》은 경건함의 정의에 대한 소크라테스의 탐구를 담고 있으며, 이를 통해 경건함의 본질, 의미, 그리고 어떻게 이루어지는지를 보여준다.
이처럼 《에우튀프론》에서의 경건함에 대한 논의는 철학적 탐구의 과정을 잘 보여주며, 도덕과 신학, 그리고 인간의 행위에 대한 깊이 있는 성찰을 제공한다. 이는 플라톤의 사상과 소크라테스의 철학적 방법론을 이해하는 데 도움이 될 뿐만 아니라, 현대 사회에서도 여전히 많은 학자들의 관심을 받고 있는 주제이다.
1.3. "에우튀프론"에 나타난 경건함의 특징
"에우튀프론"에 나타난 경건함의 특징은 다음과 같다. 첫째, 경건함은 단순히 신에 대한 존경이나 신의 선호를 따르는 것이 아니라는 점이다. 소크라테스는 에우튀프론이 경건함을 신에 대한 사랑받음으로 정의하는 것을 비판한다. 왜냐하면 신들 사이에도 의견 차이가 있을 수 있기 때문에, 신에게 사랑받는 것만으로는 경건함의 정의가 될 수 없다는 것이다.
둘째, 경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