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개글
"비평이론의 모든것 신역사"에 대한 내용입니다.
목차
1. 문학비평의 이론과 실제
1.1. 이론 이전의 문학 이론
1.1.1. 자유 인본주의와 영문학의 발전
1.1.2. 새뮤얼 존슨, 매튜 아널드, F. R. 리비스 등의 주요 비평가
1.1.3. T. S. 엘리엇의 핵심 비평 개념
1.2. 구조주의 비평의 등장
1.2.1. 소쉬르의 언어학 이론과 구조주의의 기반
1.2.2. 레비스트로스와 바르트의 구조주의 비평
1.2.3. 구조주의 비평의 영미권 전파와 주요 비평가
1.3. 구조주의와 자유 인본주의의 차이
1.3.1. 텍스트 중심 vs. 구조 중심 접근
1.3.2. 작품 해석의 방식 비교
2. 참고 문헌
본문내용
1. 문학비평의 이론과 실제
1.1. 이론 이전의 문학 이론
1.1.1. 자유 인본주의와 영문학의 발전
영문학은 중세 이래 1820년대까지 영국 국교회가 독점하고 있었던 고등교육 체제 내에서 성장해왔다. 옥스퍼드와 케임브리지 대학은 성직자 중심의 교과과정을 고수하여 영문학은 신학, 고전어 학습의 보조적 수단으로만 다루어졌다. 하지만 1826년 유니버시티 컬리지 설립과 함께 영문학이 정식 학과목으로 채택되기 시작했고, 이후 1840년대에는 F. D. 모리스가 중산층의 영국다움을 대변하는 교양교육 도구로 영문학을 주장하면서 그 정체성이 확립되었다.
모리스는 영문학이 중산계급의 가치를 표현하고 부의 재분배 없이도 자신의 처지를 감내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라고 보았다. 차티스트 운동으로 인한 하층계급의 반란 이후 정치적, 사회적 불안정 속에서 영문학은 기존 질서를 유지하고자 하는 보수적 이데올로기의 도구로 기능했다. 이후 매튜 아널드를 필두로 1921년까지 자유 인본주의가 영문학 비평의 주류를 이루게 된다.
자유 인본주의는 문학 텍스트 자체에 초점을 맞추어 그 내재적 가치와 교훈을 추출하는 비평 방식이다. 이는 작품이 지닌 보편적 진리와 가치를 탐구하고자 했으며, 문학을 통해 독자의 인간성을 함양하고자 하는 목적을 가졌다. 특히 새뮤얼 존슨, 매튜 아널드, F. R. 리비스 등의 대표적인 자유 인본주의 비평가들은 개별 작품에 대한 꼼꼼한 분석과 도덕적 판단을 통해 작품의 의미를 해석하고자 했다.
존슨은 《시인의 생애》와 《셰익스피어 서문》에서 작가와 작품에 대한 구체적인 평가 작업을 시도했다는 점에서 영국 비평의 전통을 개척했다고 평가받는다. 아널드는 문학의 "공평무사함"을 강조하며 정치적 편향성을 배제하고자 했고, 리비스는 문학 작품의 "삶과 생명력"에 주목하는 도덕주의적 관점을 보여주었다.
이처럼 자유 인본주의 비평가들은 문학 작품이 지닌 본질적 가치와 진리를 밝히는 데 주력했다. 그들은 작품에 대한 심도 있는 분석과 실제 비평을 통해 문학이 인간 정신 함양에 기여할 수 있다고 믿었다. 이는 영문학이 대학 교육과 밀접히 연계되어 발전해온 역사적 배경에 기인한 것으로, 자유 인본주의는 문학 연구의 학문적 정체성을 확립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했다고 볼 수 있다.
1.1.2. 새뮤얼 존슨, 매튜 아널드, F. R. 리비스 등의 주요 비평가
새뮤얼 존슨, 매튜 아널드, F. R. 리비스 등의 주요 비평가는 영문학 연구와 비평 전통에서 중요한 역할을 담당했다.
새뮤얼 존슨(1709-1784)은 18세기 영국 비평의 대가로 꼽힌다. 그의 대표적인 저작인 「셰익스피어 서문」과 「시인의 생애」는 비평이론을 한 차원 높였다고 평가된다. 특히 「시인의 생애」에서 존슨은 개별 작품에 대한 자세한 평가와 함께 작가의 삶과 문학 활동을 연계시켰는데, 이는 이전의 일반적인 비평 방식에서 벗어난 것이었다. 그는 작품에 대한 정밀한 분석과 더불어 작가의 개인적 경험과 역사적 배경을 고려하여 작품을 해석하고자 했다....
참고 자료
비평이론의 모든 것 - 로이스 타이슨 지음, 윤동구 옮김- 앨피book- 2006 by Lois Tyson- 2012 by LP Publishing
현대문학이론입문 1장, 2장 요약발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