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개글
"4차산업혁명시대의 정의와 특징"에 대한 내용입니다.
목차
1. 4차 산업혁명의 정의와 특징
1.1. 산업혁명의 정의와 변천사
1.2. 4차 산업혁명의 등장과 특징
2. 4차 산업혁명이 일자리에 미치는 영향
2.1. 4차 산업혁명의 정의와 기술적 동인
2.2. 4차 산업혁명시대의 일자리 감소와 증가에 대한 논점
2.3. 수행업무와 업무환경의 변화
2.4. 일자리 감소 및 위협사례
2.5. 일자리 증가 사례
3. 4차 산업혁명 대응을 위한 정책적 방안
3.1. 전문 인력 수요 확대 및 일자리 구조 변화
3.2. 신직업 맞춤형 인력 양성, 교육시스템 구축
4. 참고 문헌
본문내용
1. 4차 산업혁명의 정의와 특징
1.1. 산업혁명의 정의와 변천사
산업혁명의 정의와 변천사는 다음과 같다.
산업혁명이란 "18세기 후반부터 약 100년 간 유럽에서 일어난 생산 기술과 그로 인한 사회 조직의 큰 변화"이다. 산업혁명은 영국에서 발생한 방적 기계의 개량이 발단이 되어 1760년부터 1840년에 유럽의 여러 나라에서 계속 일어났다. 수공업적 작업장이 기계 설비에 의해서 큰 공장으로 전환되었는데, 이로 인해 자본주의 경제가 확립되었다. 산업혁명이라는 용어는 Friedrich Engels가 18세기 제조업·공업의 기계화와 공장화를 지칭하면서 처음 사용되었으며, 이후에는 산업분야에서 혁신의 시기를 인위적으로 구분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이러한 산업혁명을 18세기 1차 산업혁명부터 현재의 4차 산업혁명으로 분류하고 있다. 제1차 산업혁명은 18세기 후반에 영국에서 시작된 사회·경제적 변화 및 기술혁신으로, 영국의 섬유공업이 거대 산업화되었다. 제2차 산업혁명은 19세기 초부터 20세기 초의 기간으로 증기기관과 전력을 기반으로 한 기술로 인해 석유, 철강, 화학 및 자동차 등 중화학 공업이 시작되었다. 제3차 산업혁명은 20세기 후반의 정보화시대 또는 디지털 혁명으로, 인터넷과 컴퓨터의 기술혁신으로 모든 산업의 대량생산과 문화, 네트워크, 서비스, 커뮤니케이션 및 정보산업 발전을 달성하였다.
1.2. 4차 산업혁명의 등장과 특징
4차 산업혁명의 등장과 특징은 다음과 같다.
2016년 1월 스위스에서 개최된 세계경제포럼(WEF; World Economic Forum)에서 처음 언급된 4차 산업혁명 개념은 "디지털혁명(제3차 산업혁명)에 기반하여 물리적 공간, 디지털적 공간 및 생물학적 공간의 경계가 희석되는 기술융합의 시대"라고 정의되었다. 이의 근거로 기술발전 속도가 상상이상으로 빠르고, 모든 산업, 모든 나라에서 현상 파괴적(Disruptive)이며, 변화의 수준은 모든 생산, 경영, 거버넌스 체제의 변혁을 요구하고 있음을 제시했다.
4차 산업혁명의 가장 큰 특징은 "초연결성(Hyper-Connected)", "초지능성(Hyper-Intelligent)"이다. 4차 산업혁명 시대에는 물리공간과 가상공간 그리고 생물학적 공간에서 인간과 사물이 촘촘히 연결되고 고도로 지능화되면서 초융합을 통해 개별 개체는 물론이고 전체도 함께 고도화되는 특징을 보인다. 개인과 조직 그리고 전체가 각각 독립적이고 자율적이면서 전체의 부분일 수 있는 홀라키 구조로 진화하고 있는 것이다.
또한 4차 산업혁명은 기술혁신뿐만 아니라 이로 인한 사회적, 생물학적인 변화도 미래의 우리 삶에 큰 영향을 끼칠 것으로 전망된다. 유발 하라리는 "호모 데우스(Homo Deus)"에서 이제 호모 사피엔스를 뛰어넘어 신의 영역에 접근한 새로운 종인 '호모 데우스'의 탄생을 예견하기도 했다. 이처럼 4차 산업혁명은 단지 기술적 혁신에 그치는 것이 아니라 우리 삶의 방식은 물론이고 우리 스스로의 정체성까지도 재설정해야 하는 상황을 초래할 것으로 보인다.
2. 4차 산업혁명이 일자리에 미치는 영향
2.1. 4차 산업혁명의 정의와 기술적 동인
2016년 1월 다보스에서 개최되는 세계경제포럼(WEF; World Economic Forum)에서 처음으로 언급 된 제4차 산업혁명이라는 개념은 '디지털혁명(제3차 산업혁명)에 기반 하여 물리적 공간, 디지털적 공간 및 생물학적 공간의 경계가 희석되는 기술융합의 시대'라고 정의된다. 그 근거로 기술발전 속도가 상상이상으로 빠르고, 모든 산업, 모든 나라에서 현상 파괴적(Disruptive)이며, 변화의 수준은 모든 생산, 경영, 거버넌스 체제의 변혁을 요구하고 있음을 제시하고 있다.
4차 산업혁명의 주요 기술적 동인들은 다음과 같다. 첫째, 사물인터넷(Internet of Things, IoT) 센서가 수집한 데이터를 클라우드(Cloud)에 저장하고, 빅데이터(Big data) 분석 기술로 이를 분석해서, 적절한 서비스를 모바일 기기 서비스(Mobile) 형태로 제공하는 ICBM(사물인터넷, 클라우드, 빅데이터, 모바일)이 4차 산업혁명의 핵심 동인이다. 고도화된 정보통신기술 인프라를 통해 생성, 수집, 축적된 데이터와 인공지능(AI)이 결합하여 경제, 사회, 삶의 모든 분야에 보편적으로 활용됨으로써 새로운 가치가 창출되고 사회와 산업의 혁신적 변화가 기대된다.
둘째, 세계경제포럼(WEF)은 4차 산업혁명을 주도하는 혁신기술로 인공지능, 메카트로닉스, 사물인터넷 등을 지목하였다. 이와 관련된 기가인터넷, 클라우드 컴퓨팅, 스마트 단말기, 빅데이터, 딥러닝, 드론, 자율 주행차 등의 산업이 확산될 것으로 전망하였다.
셋째, 클라우스 슈밥은 저서 'The Fourth Industrial revolution'에...
참고 자료
창의인재, 미래사회의 새로운 패러다임, The Science Times, 2016
과학기술 & ICT 정책·기술 동향, 국가산업미래전망보고서, KISTEP, 2016
한국 제조업의 4차 산업혁명 대응 현황과 평가, 산업연구원, 2017
한국 주력산업의 미래비전과 발전전략, 정은미, 2016
4차 산업혁명 시대의 변화상과 정책 시사점, 정보통신정책연구원 선임연구위원, 최계영, 2016
4차 산업혁명의 등장과 시사점, 현대 경제 연구원, 경제주평, 2016
loT(M2M) 기술 동향 및 발전 전망, 표철식, 정보와 통신, 2013
제 4의 물결은 다시 온다, 최윤식 외1명, 지식 노마드, 2017
인공지능 시대의 가상현실과 교육, 사회사상과 문화, 정재걸, 2017
일의 미래: 무엇이 바뀌고, 무엇이 오는가, 선대인, (주)인플루엔셜, 2017
4차 산업혁명의 미래, 미래전략정책연구원, 일상이상, 2017
김건우(2018). “인공지능에 의한 일자리 위험 진단”. LG경제연구원
김동규 외(2016). 2017 한국직업전망. 한국고용정보원
김세움(2015). “기술진보에 따른 노동시장 변화와 대응”. 한국노동연구원
김중진 외(2016). “2016 국내외 직업 비교 분석을 통한 신직업 연구”. 한국고용정보원
김진하(2016). “제4차 산업혁명 시대의 국내환경 점검과 정책 방향”. KISTEP InI 제15호. 한국과학기술기획평가원
김한준(2016). “4차 산업혁명이 직업세계에 미치는 영향”. 고용이슈. 한국고용정보원
김한준 외(2017). “2017 신직업 연구 - 4차 산업혁명 시대의 신직업”. 한국고용정보원
미래창조과학부(2016). 지능정보사회 중장기 종합대책 추진방향
미래창조과학부(2017). KISTEP, KAIST. 10년 후 대한민국, 미래 일자리의 길을 찾다.(pp. 19-20). 지식공감
이민화(2017). 대한민국의 4차 산업혁명. KCERN
이시균 외(2016). “중장기 인력수급 수정전망 2015∼2025”. 한국고용정보원
이은민(2016). 4차 산업혁명과 산업구조의 변화. 정보통신정책연구원
정재혁(2021). 4차 산업혁명에 따른 미래 일자리 예측에 관한 연구. 인하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Schwab, Klaus(2016). 클라우스슈밥의 제4차 산업혁명. (송경진 역) 새로운현재
KAIST 문술미래전략대학원 외(2017). 대한민국의 4차 산업혁명. KCERN. p.171-275
Harari. Yuval(2017). 호모데우스. 김영주 옮김. 김영사
McAfee, A., an Interview, “This is the End” episode of Plant Money, National Public Radio, May 23rd, 2015
Pratt, G. A., "Is a Cambrian Explosion Coming for Robotics?,"Journal of Economic Perspectives29(3),pp.51-60, 2015.
조문제, 2019, “4차 산업혁명 시대“, 포스코경영연구원
박상욱, “우리에게 4차 산업혁명이란 무엇인가”, 한국조세재정연구원
손승표, 2018, “4차 산업혁명시대 기업경영 패러다임 연구-경영전략으로서의 브랜드가치 제고를 중심으로”
정혜란, 2020, “4차 산업혁명 시대의 품질패러다임 변화와 품질경영 전략에 대한 연구”
허재준, 2017, “4차 산업혁명이 일자리에 미치는 변화와 대응”, 월간노동리뷰 , 통권 제144호
백재욱, 2020, “제4차 산업혁명시대에서의 품질경영 방향”, 산업진흥원
김선재, 2017, “4차 산업혁명과 스마트 제조”, 한국과학기술기획평가원 부연구위원
변재웅, 2021, “4차산업혁명시대의 스마트팩토리 정책과 시사점 연구: 독일과 미국 사례 중심으로”,한국문화산업학회
이정섭,정진섭,고초군, 2021, “4차 산업혁명 시대, 첨단 유통기업의 사례 : 디지털 전환을 중심으로”, 한국경영컨설팅학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