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개글
"척추후궁절제술 문헌고찰"에 대한 내용입니다.
목차
1. 서론
2. 척추관 협착증 개요
2.1. 정의
2.2. 원인
2.3. 병리기전
3. 증상 및 진단
3.1. 증상
3.2. 진단적 검사
4. 치료
4.1. 보존적 치료
4.2. 수술적 치료
4.2.1. 수술 목적
4.2.2. 수술 적응증
4.2.3. 수술 방법
5. 간호중재
5.1. 수술 전 간호
5.2. 수술 중 간호
5.3. 수술 후 간호
6. 합병증 및 예후
7. 참고 문헌
본문내용
1. 서론
척추는 우리 몸의 균형을 유지하고 자세를 유지하는 매우 중요한 역할을 한다. 매우 중요한 만큼 끊임없이 사용되고 있다. 그로 인한 요통은 전 인구의 약 80%가 경험하는 건강문제로 증상의 정도가 다양하고 일상생활에 많은 지장을 준다고 한다. 특히 20세에 발병이 시작되고 중년기에 최고에 이르며 노년기에는 오히려 발생빈도가 저하된다. 인구의 7~10%는 만성 요통을 경험하고 1%는 요통 때문에 신체장애를 동반한다. 그러나 요통은 대부분 좋지 않은 자세 때문에 근육이 과도하게 긴장된 것이므로 질병이라기보다는 증상으로 보고 이를 단순요통이라고 한다. 이러한 단순요통은 감기와 같은 증상으로 특별히 치료하지 않아도 약 4주가 지나면 좋아진다. 이에 비하여 특정 질환과 관련되어 있는 요통을 간호하기 위해서는 다양한 요통의 원인을 이해해야 한다. 주변에 많은 사람들이 요통을 호소하고 또한 허리 디스크나 협착증과 같은 질병을 가지고 있기에 이 케이스를 선정하게 되었다.
2. 척추관 협착증 개요
2.1. 정의
척추관 협착증이란 어떤 원인으로 척추 중앙의 척추관, 신경근관 또는 추간공이 좁아져서 허리의 통증을 유발하거나 다리에 여러 복합적인 신경증세를 일으키는 질환을 말한다. 척추관이란 척추 가운데 관 모양의 속이 빈 곳으로, 아래위 척추에 의해 추간공이 생기며 가운데 관 속은 뇌로부터 팔다리까지 신경(척수)이 지나가는 통로가 된다. 관 모양은 타원형 또는 삼각형으로 경추 부위(목 쪽)에서 가장 크며 흉추 부위(가슴 쪽)에서 좁아졌다가 요추부(허리 쪽)에서 다시 커진 후 하부로 갈수록 좁아지는 구조를 갖고 있다.
2.2. 원인
척추의 뼈와 뼈 사이에 있는 탄력적인 추간 조직을 추간판(디스크)이라 하는데, 내부는 부드러운 수핵으로 되어있고 겉은 단단한 섬유륜으로 싸여있다. 보통 30세 이후부터 수핵과 섬유륜에 퇴행성 변화가 시작되어 이로 인해 추간판이 척추에 부착된 부위가 떨어져 골극(가시 같은 모양으로 뼈가 튀어나온 것)이 형성된다. 동시에 척추관을 구성하는 후관절 돌기, 추궁, 황색인대 등에서도 변성이 오면서 두꺼워져서 척추관 전후, 좌우 사방이 좁아지며 여기에 척추가 전방 또는 후방으로 휘어 척수와 신경근을 직접 누르고 혈류 장애를 일으켜 증상이 나타나는 것이다. 이런 퇴행성 척추관 협착증은 운동량이 많은 요추와 경추에서 잘 발생되고, 흉추에서는 드물다."
2.3. 병리기전
척추관 협착증의 병리기전은 다음과 같다.
중심성 척추관 협착증의 절대적 기준은 전산화 단층 촬영(CT) 검사에서 척추관의 전후방 길이가 10mm보다 작은 경우로 정의되며, 상대적 협착증은 13mm보다 작은 경우로 정의된다. 요추의 한 분절은 3개의 관절 복합체로 구성되어 있는데 이는 두 개의 후관절과 한 개의 추간판(디스크)이다. 먼저 추간판의 퇴행성 변화가 발생하여 추간판 간격이 좁아지고 이로 인하여 후관절에 가해지는 하중 특성이 변화하게 된다. 이후 후관절막이 변성되어 비정상적 운동이 일어나고, 이것은 후관절의 퇴행성 변화, 비후 및 황색 인대의 비후를 유발하게 된다. 이러한 일련의 퇴행성 변화로 척추관의 용적이 감소하게 된다. 중심성 척추관 협착증은 황색 인대 비후, 추간판 돌출, 척추 전방 전위증, 후관절 비후, 퇴행성 후관절 낭종 등으로 발생한다. 보통 중심성척추관 협착증은 추간판 부위에서 비후된 후관절이 척추관 내로 침입하여 발생하는데 상위 척추의 하관절 돌기가 비후된 것이 주요인이다. 연부 조직 비후로 인한 척추관 협착증은 중심성 척추관 협착증의 40%를 차지하는데, 추간판 간격이 좁아지며 후관절의 아탈구가 발생하여 척추관의 상하 길이가 감소한 결과로 기인한다. 즉, 황색 인대, 후관절막, 후종 인대 등의 연부 조직이 척추관 횡단면의 상당 부분을 차지하여 척추관협착증을 유발한다. 상기한 연부 조직에 의한 척추관 협착증 환자는 허리를 펼 때 황색 인대가 척추관 내로 감입하여 협착의 정도가 심하게 되므로 허리를 펼 때 증상이 악화된다.
3. 증상 및 진단
3.1. 증상
척추관 협착증의 대표적인 임상 증상은 허리 통증, 하지의 감각 장애 및 근력 저하, 그리고 신경인성 간헐적 파행증이다.
요추관 협착증의 경우...
참고 자료
김금순 외 공저(2017), 성인간호학Ⅱ, 수문사
척추관 협착증, 국가건강정보포털 의학정보
https://terms.naver.com/entry.nhn?docId=2120037&cid=51004&categoryId=51004
척추관 협착증, 서울대학교병원 의학정보
https://terms.naver.com/entry.nhn?docId=926724&cid=51007&categoryId=51007
추궁절제술, 간호학대사전
https://terms.naver.com/entry.nhn?docId=480363&cid=60408&categoryId=55558
척추궁절제술, 서울아산병원 검사/시술/수술 정보
http://www.amc.seoul.kr/asan/healthinfo/management/managementDetail.do?managementId=401
Laminectomy 수술방법
https://engage92.blog.me/220869720314
부산 힘찬병원 수술 후 간호 프로토콜
서울대학교병원 N의학정보 척추관협착증
http://www.snuh.org/health/nMedInfo/nView.do?category=DIS&medid=AA000149
서울대학교병원 수술치료; 척추 수술 환자의 관리
http://www.snuh.org/board/B016/view.do?bbs_no=3599&searchKey=&searchWord=&pageIndex=1
서울아산병원 검사/시술/수술정보; 척추후궁절제술
https://www.amc.seoul.kr/asan/healthinfo/management/managementDetail.do?managementId=401
세브란스병원 수술전 간호안내; 척추수술 환자가 수술전 진행과정
https://sev.severance.healthcare/gs-spine/patie
약학정보원
https://www.health.kr/searchDrug/result_drug.asp?drug_cd=A11AEEEEE0208
국립암센터 회복실
https://www.ncc.re.kr/main.ncc?uri=ncc_support17¢ercd=PAR
Operative procedure of Micro Endoscopic Laminectomy (MEL) for L4/5 lumbar canal stenosis
https://www.youtube.com/watch?v=_GSXObRh85s&t=251s
For Surgical First Assist: Posterior Lumbar Laminectomy and Fusion (Cadaveric)
https://www.youtube.com/watch?v=R6wRytGXG4E&t=876s
MSD 매뉴얼 일반인용; 요추후궁절제술
https://www.msdmanuals.com/ko/%ED%99%88/multimedia/video/v14430136_ko
대한감염관리간호사회. 감염관리학, 현문사, 2012
대한병원감염관리학회. 의료기관의 감염관리. 한미의학. 2011.
병원중앙공급간호사회. 제3차 한국 멸균관리표준. 2011:2.8-9,44
서울대학교병원 의학정보 「척추협착증」 http://www.snuh.org/
척추후궁절제술 수술과정, 바른신경외과 「후궁절제술, 디스크제거술」
https://barun-medi.com/?p=18065
의약품안전나라, nedrug.mfds.g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