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개글
"기초거시경제론 투자지출 변화 분석"에 대한 내용입니다.
목차
1. 거시경제 균형과 변화
1.1. 투자지출 감소에 따른 균형 GDP와 승수 변화
1.2. 정부지출 감소에 따른 균형 GDP와 승수 변화
2. 재정정책이 경제에 미치는 영향
2.1. 감세정책이 단기 및 장기 균형에 미치는 영향
2.2. 정부지출 변화가 균형 GDP에 미치는 영향
2.3. 조세 변화가 균형 GDP에 미치는 영향
3. 국민경제의 총수요와 총공급
3.1. 소비, 투자, 정부지출, 순수출로 구성된 총수요
3.2. 생산요소 투입을 통한 총공급
4. 참고 문헌
본문내용
1. 거시경제 균형과 변화
1.1. 투자지출 감소에 따른 균형 GDP와 승수 변화
교재의 9장에서 투자지출이 기존의 10조원에서 0원으로 10조원만큼 감소하는 경우, 균형 GDP와 승수가 어떻게 변화하는지 살펴볼 수 있다.
균형 GDP는 총수요와 총공급이 일치하는 지점으로, Y= Ca + I + G + Xn 식을 통해 계산할 수 있다. 문제에서 제시된 바와 같이 투자지출(I)이 10조원 감소하면, 이는 총수요의 감소로 이어진다. 따라서 균형 GDP는 10조원 감소한 160조원이 된다.
이때 승수효과를 살펴보면, 투자지출 10조원 감소에 따른 균형 GDP 40조원 감소를 통해 투자승수가 -4라는 것을 알 수 있다. 즉, 투자지출이 10조원 감소하면 균형 GDP는 -40조원 변화하여, 투자지출 1단위 변화에 따른 균형 GDP 변화분은 -4배가 된다. 이는 투자에 대한 승수효과가 음(-)의 값을 가짐을 의미한다.
따라서 투자지출 10조원 감소에 따라 균형 GDP는 160조원으로 감소하며, 투자승수는 -4라고 할 수 있다.
1.2. 정부지출 감소에 따른 균형 GDP와 승수 변화
정부지출은 국민경제 전체에 큰 영향을 미치는 주요 요소 중 하나이다. 정부지출이 감소하면 총수요 감소로 이어져 균형 GDP와 승수에 변화가 발생하게 된다.
제시된 문서에 따르면, 어떤 경제에서 정부지출이 기존 20조 원에서 0원으로 20조 원 감소하는 경우를 살펴볼 수 있다. 이에 따라 균형 GDP는 200조 원에서 120조 원으로 80조 원 감소했다. 즉, 정부지출이 20조 원 줄어들면서 균형 GDP가 80조 원 감소하였으므로, 정부지출 감소분의 4배만큼 균형 GDP가 감소한 것으로 볼 수 있다. 따라서 이 경제의 정부지출 승수는 -4라고 할 수 있다.""
정부지출 감소...
참고 자료
1번: 교재 9장, 멀티미디어 강의 9강
2번: 교재 11장, 멀티미디어 강의 11강
3번: 교재 12장, 멀티미디어 강의 12강
['테샛' 공부합시다] '감세 VS 재정지출' 논쟁구조 익혀두라, 오춘호, 한국경제, 2009.03.1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