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내용
1. 국어과 수업 지도안
1.1. 단원 개관
이 단원은 문장을 이루는 구성 요소와 문장 성분 간의 호응 관계에 대한 이해를 통하여 실제의 말하기나 글쓰기 상황에서 올바른 문장을 사용할 수 있는 능력을 기르는 데 목적이 있다. 문장이란 어떤 완결된 의미를 전달하는 최소 언어단위다. 이 단원에서는 주어, 서술어, 목적어와 같은 문장 성분에 대한 개념을 이해하고 문장 성분 간의 호응 관계가 적절하여야 정확한 의미 전달이 가능하다는 것을 알게 하여 학생들이 올바른 문장을 사용할 수 있게 하는 데 지도의 중점을 둔다. 또, 책에 대한 소감 쓰기와 조사 보고서 쓰기와 같은 실제적인 쓰기 과제를 제시하여 문장 성분과 호응 관계에 대한 지식을 활용하여 문장을 구성하도록 한다. 특히, 조사 보고서 쓰기를 수행할 때는 조사한 내용을 글로 옮기는 과정에서 지켜야 할 올바른 쓰기 윤리에 대한 지도도 함께 할 수 있도록 구성하였다. 이 단원의 활동을 통하여 학생들은 문장 성분 간의 호응 관계에 대한 국어 지식을 이해하여 말하기나 쓰기 상황에서 정확한 의미를 전달하는 능력을 발휘할 수 있다.
1.2. 단원 학습 목표
이 단원에서는 문장 성분을 이해하고 문장 성분 사이의 호응 관계가 올바른 문장을 구성하는 문법이 교과서에 처음 다루어지기 때문에 문장 성분 간의 호응 관계에 대한 개념 이해가 중심이 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즉, 학생들이 문장을 구성하는 성분인 주어, 서술어, 목적어에 대해 알고 이들 간의 호응 관계를 이해함으로써 실제 말하기나 글쓰기 상황에서 정확한 의미를 전달할 수 있는 능력을 기르는 것이 이 단원의 핵심 학습 목표이다.
1.3. 차시별 학습 내용
교과서 차시 주요 학습 내용 및 활동은 다음과 같다"
국어 1 (198~202쪽)에서는 단원 도입과 함께 문장 성분에 대해 알아보게 된다" 학생들은 문장을 이루는 기본적인 구성 요소인 주어, 서술어, 목적어의 개념과 역할을 이해하게 된다"
국어 2~3 (203~205쪽)에서는 문장 성분들 간의 호응 관계에 대해 알아보게 된다" 주어와 서술어, 목적어 등 문장 성분 사이의 유기적인 관계와 조화에 대해 학습한다"
국어 4~5 (206~221쪽)에서는 문장 성분 간의 호응 관계를 생각하면서 책에 대한 소감을 직접 써보는 활동을 한다" 또한 단원 정리를 통해 배운 내용을 종합적으로 확인하게 된다"
국활 6~8 (172∼177)에서는 우리말 사용 실태를 조사하여 보고서를 작성하는 활동을 한다" 문장 구성 능력을 실제 맥락에 적용하여 실습해볼 수 있는 기회를 가지게 된다"
1.4. 학생 실태 분석
가. 실태조사 계획
(1) 대상: 학년 반 남 0명, 여 0명, 계 00명
(2) 방법: 관찰
나. 본시 교수?학습 관련 학생 실태 분석 및 지도 대책
영역 조사 항목 조사 방법 분석 및 지도 대책
인 지 적 ? 문장 구성 성분에 대해 알고 있는 학생 질문, 관찰 ? 문장을 구성하는 성분인 주어, 서술어, 목적어에 대해 알고 있거나 들어본 학생이 12%에 불과하여 문장 성분에 대한 개념이 전혀 잡혀 있지 않음을 알 수 있음. 평소 학생들이 쓴 일기, 독서록에는 '나는 우리 피구팀 주장으로 우리 팀이 이겼다. (x)→나는 우리 피구팀 주장으로 우리 팀이 이기는 데 큰 역할을 하였다.'와 같이 주어와 서술어의 호응 관계가 적절하지 않은 경우가 많음. 연결되는 말과 서술어의 호응하지 않는 경우도 많음. (예)맛과 영양이 많다. 나는 동생보다 키와 몸무게가 더 무겁다. 문장 성분에 대한 이해를 바탕으로 문장 성분 간의 호응 관계를 지도해야 함. 문장 성분에 대해 들어보았거나 안다는 학생은 영어를 배울 때 주어, 서술어, 목적어에 대한 개념을 배워 알고 있다고 함. 국어는 영어와 어순이 다르므로 오개념이 생기지 않도록 정확하게 지도해야 함.
기 능 적 ? 그림을 한 문장으로 나타낼 수 있는 학생 지필 말이 달리는 모습의 그림을 한 문장으로 나타낼 수 있는 학생은 95%로 문장성분이나 형식에 대해서는 잘 알지 못하지만, 자연스럽게 주어가 앞에 위치하고 서술어는 '~다.'로 끝난다는 점을 터득하고 있음. 문장으로 나타내지 못하는 학생은 개인적으로 지도하여 바르게 나타낼 수 있도록 보충학습을 실시해야 함.
정 의 적 ? 문법에 흥미를 느끼는 학생 질문 ? 국어의 6영역 중에서 문법 영역에 흥미를 느끼는 학생은 20%로 나타남. 문법 영역에는 큰 흥미를 느끼지 못하는 것으로 보아 문장 성분과 같은 국어 지식을 가르침에 있어 여러 가지 흥미로운 방법으로 동기를 유발하고, 오류가 생기지 않도록 다양한 형식에 맞는 문장을 계속 만들어 봄으로써 지속해서 문법에 관한 관심을 두도록 지도해야 함. 문법이 실생활에서 꼭 필요하고 재미있는 내용임을 많은 학생이 느낄 수 있도록 우리 반 학생들의 일기, 독서록 등 친숙한 소재를 통해 본 차시를 지도해야겠음.
1.5. 본시 교수-학습 과정안
일 시 20××.06.10(수) 대상 (장소) 5학년4반교실 지 도 교 사 ○○○
단 원 8. 문장의 구조 차 시 1/8 학습 주제 단원 도입, 문장 성분에 대하여 알기
학습 목표
○문장 성분에 대하여 안다.
○주어, 서술어, 목적어를 이용하여 문장을 만들 수 있다.
○문장 성분을 이용하여 문장 만들기 활동에 적극적으로 참여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