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개글
"이미지메이킹 사례"에 대한 내용입니다.
목차
1. 이미지메이킹과 성공사례
1.1. 이미지메이킹의 개념
1.2. 이미지메이킹의 구성요소
1.3. 이미지메이킹 성공사례: 버락 오바마
1.3.1. 얼굴표정
1.3.2. 의사소통
1.3.3. 패션
2. 이미지메이킹의 중요성과 실천전략
2.1. 이미지와 첫인상의 중요성
2.2. 이미지메이킹의 개념과 필요성
2.3. 이미지메이킹의 단계별 실천전략
2.3.1. 자신 이해하기
2.3.2. 모델 설정하기
2.3.3. 자기개발
2.3.4. 이미지 연출하기
2.3.5. 자기 브랜딩하기
3. 성공적인 이미지메이킹 사례: 유재석, 매일유업
3.1. 유재석의 이미지메이킹
3.2. 매일유업의 이미지메이킹
4. 참고 문헌
본문내용
1. 이미지메이킹과 성공사례
1.1. 이미지메이킹의 개념
이미지메이킹의 개념이란 개인이 추구하는 목표를 이루기 위해 자기 이미지를 의도적이고 전략적으로 관리하는 행위를 말한다. 이미지메이킹은 단순히 외모나 스타일에 그치는 것이 아니라, 사람의 행동, 말투, 태도 등 전반적인 요소를 포괄하여 자신만의 고유한 이미지를 구축하는 과정이다. 이를 통해 자신이 속한 사회적, 직업적 맥락에서 긍정적인 평가를 받을 수 있도록 하는 것이 이미지메이킹의 주된 목적이라고 할 수 있다.
이미지메이킹은 첫인상을 효과적으로 관리하고, 자신이 원하는 이미지를 형성하는 데 있어 매우 중요한 전략이 된다. 짧은 시간 내에 형성되는 첫인상은 이후의 관계와 상호작용에 큰 영향을 미치기 때문에, 비언어적 요소인 외모, 복장, 표정, 제스처 등을 통해 긍정적인 첫인상을 남기는 것이 중요하다. 이미지메이킹은 이러한 첫인상을 강화하고 자신만의 독특한 이미지를 지속적으로 유지하고 관리하는 전략적 과정인 것이다.
또한 이미지메이킹은 단순히 외적인 요소에 그치는 것이 아니라, 자신의 내적 성장과 진정성을 바탕으로 구축되어야 한다. 자신에 대한 깊이 있는 이해와 자아성찰을 통해 자신의 강점과 약점을 파악하고, 이를 토대로 긍정적인 이미지를 만들어나가는 것이 중요하다. 이러한 과정에서 일관성과 신뢰성을 유지하며, 단기적인 효과를 노리기보다는 장기적인 관점에서 지속적으로 관리하는 것이 필요하다.
결국 이미지메이킹은 자신의 내면과 외면을 전략적으로 구축하고 관리하여 사회적으로 긍정적인 평가를 받을 수 있도록 하는 일련의 과정이라고 볼 수 있다.
1.2. 이미지메이킹의 구성요소
이미지메이킹의 구성요소는 외모, 표정, 자세, 행동, 말 등 다양한 요소로 이루어져 있다. 첫째, 외모는 그 사람의 심성과 생각이 작용하고 감정과 습관에 영향을 미치며 자세와 행동이 수반되는 중요한 요소이다. 옷차림, 메이크업, 헤어스타일, 피부 등이 외모에 포함되며 이는 그 사람의 내면을 반영한다. 둘째, 표정은 생각과 욕구가 영향을 주며 언행이 동반되는데, 표정은 그 사람의 감정 상태를 잘 드러내는 창구 역할을 한다. 셋째, 자세는 그 사람의 생각이 잠재되어 외부로 표현되는 것으로, 현재의 감정 상태와 욕구에 따라 달라지는 특성이 있다. 넷째, 행동은 그 사람의 평소 추구하는 바와 습관에 의해 나타나며, 감정과 생각, 표정, 자세 등이 복합적으로 작용한다. 마지막으로 말은 그 사람의 생각과 습관이 반영되어 표출되며, 감정이 잠재되어 있다. 이처럼 이미지메이킹의 구성요소는 단순한 외적 요소를 넘어 내면의 특성들이 복합적으로 작용하여 형성된다고 볼 수 있다.
1.3. 이미지메이킹 성공사례: 버락 오바마
1.3.1. 얼굴표정
처음에 오바마는 백인 차별에 대한 시각이 많아서 인지, 무표정에 가까웠었다. 하지만 이내 이미지 메이킹에 성공, 그는 함박웃음으로 청중에게 다가갔다. 실제 이 시도는 성공적이었다. 웃을 때 전체 치아가 다 보이는 함박웃음으로 청중을 같이 행복하게 하는 명품 미소를 가지고 있다는 평이 나올 정도이다. 실제 메라비언의 법칙에 따르면 인상 형성에 외모의 비중이 55%에 해당한다. 목소리 38%를 합치면 비언어 메시지가 93%라고 한다. 따라서 오바마의 경우, 얼굴이 잘 생기지 않아도, 예쁘지 않아도, 밝고 환한 표정이 있다면 충분히 매력적일 수 있다. 특히 첫인상은 그 효과가 매우 크다고 볼 수 있다.
1.3.2. 의사소통
오바마는 처음에는 당당하지 못했지만 이내 당당함과 자신감, 느긋함, 평온한 톤을 유지한다. 대화에서도 경청을 통해 상대의 말을 잘 들어주려고 한다, 오바마는 자신의 연설을 방해하는 시민에게도 발언권을 주고 그의 질문에 답변하는 느긋함을 보여주었다. 타인과의 대화에서 상대방의 의견을 존중하고 이해하는 자세를 갖는 것도 중요한데 이 역시 오바마는 실천했다. 자신을 표현하는 방식과 타인과의 관계를 적극적으로 개선하면서 매력적인 이미지를 보여줄 수 있다, 커뮤니케이션을 잘한다는 것은 내 삶의 경험과...
참고 자료
베이직 컨텐츠하우스, 오바마 스피치 엣센셜, 삼지사, 2009
김용환, 세기적인 기적을 만든 오바마 화술, 백만문화사, 2009
전도근, 오바마 리더십 세계를 이끌어 가는 미국 대통령, 북스타, 2013
경북일보, 미국 젊은층에 오바마 패션 아이템 '각광', 2008
김경호(2004) 이미지 메이킹의 개념정립과 프로그램의 효과성 분석 연구, 명지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권혜숙 외 3(2004), 패션과 이미지 메이킹, 수학사,
김예주(2015), 이미지 메이킹이 긍정적 사고와 자아 존중감에 미치는 영향, 건국대 산업대학원 석사학위논문.
김봉선(2012), 청소년 이미지 메이킹 프로그램이 객체화신체의식과 자아 존중감에 미치는 효과. 대구한의대 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조외연(2006) 이미지 메이킹 프로그램이 성인 학습자의 자아 존중감에 미치는 영향, 동의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진형여(2013), “이미지 메이킹 교육 프로그램 실시 전과의 인식 변화분석-
경기, 주지역 남녀학생을 중심으로”, 대한미용문화예술학회지.
김경호(2015), 이미지 메이킹의 이론과 실제 높은오름.
박진영. 2018. [박진영의 사회심리학]첫 인상이 중요하다. 동아사이언스.
https://www.dongascience.com/news.php?idx=24648
손보승. 2016. 정치인의 이미지메이킹, ‘선택 아닌 필수’. 이슈메이커.
https://www.issuemaker.kr/news/articleView.html?idxno=448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