생명과학 실험 플라스미드 DNA 정제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최초 생성일 2024.10.09
3,500원
AI자료를 구입 시 아래 자료도 다운로드 가능 합니다.
새로운 AI자료
생성
다운로드

상세정보

소개글

"생명과학 실험 플라스미드 DNA 정제"에 대한 내용입니다.

목차

1. 실험 개요
1.1. 실험 목적
1.2. 실험 원리

2. Plasmid DNA 정제
2.1. Plasmid DNA의 정의
2.2. Plasmid DNA 정제 방법
2.2.1. Miniprep 방법
2.2.1.1. Alkaline lysis
2.2.1.2. Boiling miniprep
2.2.1.3. Lithium miniprep
2.2.2. Ultra-Centrifuge 방법
2.2.3. CsCl-EtBr 밀도 구배 원심분리법

3. Alkaline Lysis 방법
3.1. 단계별 Buffer 조성 및 역할
3.1.1. A1 Solution (Resuspension Solution)
3.1.2. A2 Solution (Lysis Solution)
3.1.3. A3 Solution (Neutralization Solution)
3.1.4. AQ Solution (Wash Solution)
3.1.5. AE Solution (Elution Solution)
3.2. Alkaline Lysis 원리

4. 전기영동
4.1. 전기영동의 원리
4.2. DNA 이동에 영향을 주는 요인

5. 실험 방법
5.1. Preparation
5.2. DNA Purification

6. 결과 및 고찰
6.1. 전기영동 결과 분석
6.2. Plasmid DNA의 구조 및 특성

7. 참고 문헌

본문내용

1. 실험 개요
1.1. 실험 목적

Plasmid DNA의 원형을 유지하려는 구조적 특성을 이용하며 alkaline lysis prep method를 이용하여 plasmid DNA를 분리해본다. DNA Purification을 한 후 Agarose gel 전기영동을 통해 DNA를 크기별로 분리하여 확인한다.


1.2. 실험 원리

플라스미드(Plasmid)는 DNA에 존재하는 유전자 정보 중 염색체(chromosome) DNA와는 별도로 독립적으로 복제되는 대표적인 에피솜(episome) DNA 분자이다. 플라스미드 DNA는 일반적으로 박테리아 세포 내에서 고리 모양의 이중나선 구조를 가지고 있으며, 세포의 생육에 필수적이지 않지만 여러 가지 유용한 유전자를 포함하고 있다.

플라스미드 DNA 정제 실험의 핵심 원리는 염색체 DNA와 플라스미드 DNA의 물리적 특성 차이를 이용하는 것이다. 염색체 DNA는 크기가 매우 크고 선형 구조를 가지고 있어 renaturation(재결합)이 느리게 일어나는 반면, 플라스미드 DNA는 크기가 작고 고리 모양의 원형 구조를 가지고 있어 renaturation이 상대적으로 빨리 일어난다. 이러한 차이를 이용하여 플라스미드 DNA를 선별적으로 분리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플라스미드 DNA 정제 과정에서 먼저 강알칼리성 용액(A2 용액)을 이용하여 박테리아 세포를 용해시키고 염색체 DNA와 플라스미드 DNA를 변성시킨다. 이후 중성화 용액(A3 용액)을 첨가하면 플라스미드 DNA는 빠르게 재결합하여 원형 구조를 복원하지만, 선형 구조의 염색체 DNA는 재결합이 느리게 일어나 침전물을 형성한다. 이를 원심분리하여 상층액에 있는 플라스미드 DNA를 회수할 수 있다.""


2. Plasmid DNA 정제
2.1. Plasmid DNA의 정의

Plasmid DNA는 DNA에는 Plasmid DNA와 Genomic DNA가 있으며, 진핵세포는 핵이 구분되어 있지만 원핵세포는 핵이 따로 없고 세포 안에 genomic DNA가 흩어져 있다. Genomic DNA는 세포의 핵 안에 있는 DNA 전부를 일컫는다. Plasmid DNA는 생장에 필수적인 염색체(chromosome) DNA에서 물리적으로 분리되어 독립적으로 복제하는 대표적인 에피솜(episome) DNA 분자이다. 원핵세포 내에서 세포 내 염색체와는 독립적으로 복제하는 DNA 분자로 보통 30개 이하의 적은 수의 유전 정보를 지니기 때문에 그 크기가 염색체에 비해 매우 작다. plasmid는 복제를 통해 증식할 수 있는 DNA로, 고리 모양을 띠며 세균의 생존에 필수적인 유전자는 아니다. 그러나 Plasmid를 지니고 있을 경우 생명 유지에 도움을 줄 수 있는데, 대표적 예로 항생제 내성 유전자가 있다.


2.2. Plasmid DNA 정제 방법
2.2.1. Miniprep 방법
2.2.1.1. Alkaline lysis

Alkaline lysis는 분자생물학에서 널리 사용되는 플라스미드 DNA를 박테리아로부터 분리하는 방법이다. 이 방법은 pH 변화에 따른 염색체 DNA의 부정확한 재생 능력을 이용하여 플라스미드 DNA를 분리한다.

Alkaline lysis 방법은 sodium dodecyl sulfate(SDS)와 NaOH를 함유하는 용액으로 박테리아를 용해시킨다. 이때 SDS는 박테리아 단백질을 변성시키고, NaOH는 염색체 DNA와 플라스미드 DNA를 변성시킨다. 용해가 진행된 후에는 potassium acetate를 첨가하여 혼합액을 중화시킨다. 이 과정을 거치면서 covalently closed된 플라스미드 DNA가 빠르게 재결합(reanneal)하게 된다.

이 과정에서 대부분의 염색체 DNA와 박테리아 단백질은 침전되며(SDS가 potassium과 화합물을 형성), 침전물은 원심분리로 제거할 수 있다. 플라스미드 DNA는 상등액에 남게 되며, 에탄올 침전을 통해 농축시킬 수 있다.

이처럼 Alkaline lysis 방법은 플라스미드 DNA와 염색체 DNA의 물리적 특성 차이를 이용하여 플라스미드 DNA를 선택적으로 분리할 수 있는 효과적인 방법이다. 박테리아에서 소량의 플라스미드 DNA를 분리하는 데 가장 널리 사용되는 방법 중 하나이다.


2.2.1.2. Boiling miniprep

Boiling miniprep 방법은 플라스미드를 지닌 박테리아의 세포를 lysozyme, Triton(비이온성 계면활성제), 열처리 등으로 깨뜨리는 방법이다. 세포막에 결합된 상태로 남아있는 플라스미드 DNA를 원심분리로 침전시켜 모을 수 있고, 이 플라스미드 DNA는 상층액에서 isopropanol로 침전시켜 분리할 수 있다. Boiling miniprep은 적은 양의 plasmid를 분리할 때 쓰이는 방법이지만 분리된 플라스미드 DNA는 alkaline lysis mini-prep보다 quality가 떨어진다.


2.2.1.3. Lithi...

...


참고 자료

Kenneth Marson 외 3명 지음 / 2016 / 생명과학의 이해 / 바이오사이언스 / 1판 / p.363~369
한국분자생물학회 편 / 1997 / 분자생물학 / 아카데미 서적 / 1판 / p.15~20, p.397~399
James D.Watson 외 5명 지음 / 2007 / 왓슨 분자생물학 / 월드 사이언스 / 5판 / p.648~652

주의사항

저작권 EasyAI로 생성된 자료입니다.
EasyAI 자료는 참고 자료로 활용하시고, 추가 검증을 권장 드립니다. 결과물 사용에 대한 책임은 사용자에게 있습니다.
AI자료의 경우 별도의 저작권이 없으므로 구매하신 회원님에게도 저작권이 없습니다.
다른 해피캠퍼스 판매 자료와 마찬가지로 개인적 용도로만 이용해 주셔야 하며, 수정 후 재판매 하시는 등의 상업적인 용도로는 활용 불가합니다.
환불정책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