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타이어 기업소개, 해외에서의 한국타이어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새로운 AI자료
생성
다운로드

상세정보

소개글

"한국타이어 기업소개, 해외에서의 한국타이어"에 대한 내용입니다.

목차

1. 한국타이어의 글로벌 성장전략
1.1. 기업 소개
1.2. 글로벌 네트워크 구축
1.3. 글로벌 성공 요인
1.3.1. R&D 투자를 통한 기술력 확보
1.3.2. 협력적 노사관계와 창의적 조직문화
1.3.3. 발빠른 글로벌 경영 구축
1.4. 중국 시장 진출 전략
1.4.1. 현지화를 통한 시장 점유율 확대
1.4.2. 지속적인 투자와 개발
1.4.3. 해외 연구단지 설립
1.4.4. 스포츠 마케팅
1.5. 향후 발전 방향
1.6. 참고문헌

2. 금호타이어의 중국 시장 진출 전략
2.1. 기업 소개
2.2. 중국 타이어 시장 환경 분석
2.3. 금호타이어의 유통 전략
2.3.1. 타이어프로를 통한 유통망 구축
2.3.2. 유통경로 구성원 관리
2.3.3. 신차 장착용 타이어 공급
2.3.4. ERP 시스템 활용

3. DHL의 글로벌 물류 전략
3.1. 기업 소개
3.2. DHL의 운송서비스
3.2.1. DHL Express
3.2.2. DHL FREIGHT
3.2.3. DHL DANZAS AIR & OCEAN
3.2.4. DHL SOLUTIONS
3.3. DHL의 물류 활동
3.3.1. 운송 관리
3.3.2. 보관 및 재고 관리

4. 넥센타이어의 스포츠 마케팅 전략
4.1. 기업 소개
4.2. 대표이사의 스포츠 마케팅에 대한 철학
4.3. 스포츠 마케팅 전략
4.3.1. 브랜드 노출을 통한 기업 홍보
4.3.2. 기술력 입증 및 실적 제고
4.3.3. 야구단 후원을 통한 신성장 동력 확보
4.3.4. 비인기 종목 후원을 통한 사회공헌

5. 참고 문헌

본문내용

1. 한국타이어의 글로벌 성장전략
1.1. 기업 소개

한국타이어는 1941년 설립된 대한민국 최초의 타이어 전문회사이다. 한국타이어는 대한민국 최초, 최고, 최대 타이어 회사로 국내에서 업계 리더로서의 역할을 충실히 수행해 왔다.

2009년에도 한국타이어는 국내에서 가장 큰 사업 규모를 기반으로 가장 많은 자동차용 타이어를 판매하는 업계 1위 타이어 회사의 위상을 더욱 확고히 하였다. 2010년 1월, 미국 타이어 전문지 'Modern Tire Dealer'에서 집계한 2009년 타이어 업체 매출 실적에 따르면, 한국타이어는 글로벌 랭킹 7위를 기록, 2006년부터 4년 간 글로벌 7위의 자리를 공고히 하였다.

한국타이어는 지난 10년 간 매년 13.9%의 매출성장률을 보였고, 10년간 누적 매출 성장률에서는 133%를 기록하며 지속적으로 성장하고 있는 저력을 보였다. 한국타이어는 4개의 지역본부와 43개의 해외지사 등 글로벌 판매 네트워크를 갖추고 전 세계 164개 국가에 우수한 타이어를 판매하고 있으며, 총 매출의 70% 이상을 한국 이외의 해외 시장에서 달성하고 있다. 또한 5개의 R&D센터를 통해 세계적인 수준의 기술력을 확보하고 있으며, 3개 국에 걸쳐 5개의 대규모 타이어 생산기지를 통하여 연산 총 8,000만 개의 타이어를 생산할 수 있는 글로벌 생산체제를 갖추고 있다. 한국타이어는 전 세계에서 총 14,000명 이상의 임직원이 근무하고 있다.


1.2. 글로벌 네트워크 구축

한국타이어는 세계적인 네트워크를 통해 지구촌 곳곳에서 소비자와의 접점을 넓히고 있다. 현재 전 세계 180여개 국가에 타이어를 수출하고 있으며, 매출액의 약 75%가 해외에서 발생하는 글로벌 기업이다. 한국타이어는 한국에 2개, 중국에 2개, 헝가리에 1개 공장을 가동하고 있으며, 한국지역본부·중국지역본부·미주지역본부·구주지역본부 등 4개의 지역본부와 30여 개가 넘는 해외 지법인 및 물류센터를 운영해 효율적인 글로벌 경영을 펼치고 있다.

특히 중국 시장에서의 성장은 주목할 만하다. 1999년 절강성 가흥과 강소성 회안에 각각 공장을 설립함과 함께 본격적인 공략에 나선 후, 현재 한국타이어의 중국 승용차용 타이어 시장 점유율은 약 20%에 이른다. 중국 내 OE시장에서도 최대의 공급 업체로 성장했다. 또한 고품격의 서비스 제공을 위해 고급 타이어 전문점인 티스테이션(T'Station)의 해외 1호점을 중국 상하이에 오픈했으며, 오는 2013년까지 상하이·베이징·광저우·톈진 등 중국의 주요 도시에 300개의 가맹점을 개설하여 유통 채널을 더욱 강화할 예정이다.

2010년에는 신흥시장인 이집트, 인도, 남아프리카공화국에 각각 1개씩의 지점을 추가로 설립하여 주요 시장에 네트워크를 확대하고 있다. 이처럼 한국타이어는 지구촌 곳곳에서 소비자와의 접점을 넓히며 글로벌 네트워크를 구축하고 있다.


1.3. 글로벌 성공 요인
1.3.1. R&D 투자를 통한 기술력 확보

한국타이어는 세계적인 수준의 기술력을 확보하고 있다. 이는 창사 이래 기술개발에 대한 공격적인 투자를 진행해 왔기 때문이다. 한국타이어는 전 직원의 6%가 R&D에 종사할 정도로 막대한 투자를 하고 있다. 매년 전 세계 타이어 업체들 중 가장 높은 R&D 투자를 통해 기술혁신을 이루어내고 있다. 이를 통해 세계 최고 수준의 타이어를 생산하고 있다. 한국타이어의 독창적이고 실용적인 디자인과 기술은 세계 시장에서 매우 좋은 반응을 얻고 있으며, 여러 해외 업체가 기술 도입에 관심을 보이는 등 타이어 업계에서 그 우수성을 널리 인정받고 있다. 특히, "Kontrol" 테크놀러지는 한국타이어만의 기술 철학이자 원칙으로, 타이어의 움직임을 효과적으로 제어할 수 있도록 하는 기술적 혁신이 결합된 것이다. 이를 통해 한국타이어는 보다 컨트롤된 주행 경험과 함께 고객에게 탁월한 혜택을 제공할 수 있게 되었다. 이처럼 한국타이어의 지속적인 R&D 투자는 세계 최고 수준의 기술력 확보로 이어지면서 글로벌 경쟁력 강화에 크게 기여하고 있다고 볼 수 있다.


1.3.2. 협력적 노사관계와 창의적 조직문화

협력적 노사관계와 창의적 조직문화는 한국타이어가 위기를 극복하고 지속적인 성장을 이룰 수 있었던 핵심 요인이다. 한국타이어는 68년의 역사 동안 협력적인 상생 노사 관계와 창의적인 조직 문화 구축으로 어려운 경제 환경과 글로벌 시장의 치열한 경쟁을 이겨낼 수 있었다.

한국타이어의 노사관계는 매우 협력적이다. 1970년대 정부의 수출 중심 정책으로 자동차 수출이 확대되면서 타이어 수출도 함께 증가했는데, 이 과정에서 노사 간 원만한 협력관계를 유지할 수 있었다. 또한 외환위기와 같은 위기 상황에서도 노사가 상호 이해와 소통을 바탕으로 위기를 극복해 나갈 수 있었다.

이와 더불어 한국타이어는 창의적이고 혁신적인 조직문화를 구축하고 있다. 연구개발(R&D) 분야에 전 직원의 6%가 종사할 정도로 기술 혁신에 매진하며, 직원들의 자발적인 참여와 도전 정신을 장려하는 분위기를 조성하고 있다. 이를 통해 세계 최고 수준의 타이어 기술력을 확보할 수 있었다.

또한 한국타이어는 자체 연구소를 운영하며 직원들의 역량 개발을 적극 지원하고 있다. 전 세계 4개국에 걸쳐 5개의 R&D센터를 운영하며, 연구개발에 매출의 5%를 투자하는 등 기술 혁신에 힘쏟고 있다. 이러한 노력을 통해 한국타이어는 세계적인 수준의 기술력을 갖추었고, 세계 10대 타이어 업체 중 유일하게 2009년 매출과 영업이익이 증가하는 성과를 거두었다.

종합하면, 한국타이어는 협력적인 노사관계와 창의적인 조직문화를 바탕으로 위기를 기회로 전환하고 지속적인 성장을 이룰 수 있었다. 이는 한국타이어의 핵심 경쟁력이자 글로벌 기업으로 도약할 수 있었던 원동력이다.


1.3.3. 발빠른 글로벌 경영 구축

한국타이어는 남보다 일찍 글로벌 경영을 시작하고 그 프로세스를 구축했다. 1974년 이후로 한국타이어는 내수보다 수출 비중이 컸다. 1970년대 정부가 수출 중심 정책을 펼치면서 자동차 수출이 확대됐고 타이어 수출도 함께 증가했다.

한국타이어는 1981년 미국에 현지 판매법인을 설립하며 발 빠르게 해외 시장을 개척했다. 이후에도 계속해서 해외 시장에 진출하며 글로벌 네트워크를 구축해왔다. 특히 중국 시장에서의 성장은 주목할 만하다. 1999년 중국에 강소와 절강 지역에 공장을 설립한 이래 중국 승용차 타이어 시장 점유율 1위를 달성했다. 또한 중국에 고급 타이어 전문점인 'T'Station'을 오픈하고 2013년까지 300개 가맹점을 늘릴 계획이다.

이처럼 한국타이어는 내수보다 수출 비중이 컸던 1970년대부터 해외시장 개척에 나섰으며, 빠른 속도로 중국시장에 진출하여 점유율 1위를 달성하는 등 발 빠른 글로벌 경영 구축을 통해 성공할 수 있었다.


1.4. 중국 시장 진출 전략
1.4.1. 현지화를 통한 시장 점유율 확대

한국타이어는 중국 진출 4년 만에 미쉐린, 굿이어 등 세계적인 타이어 브랜드를 제치고 중국 승용차용 타이어 시장 점유율 1위(28%)를 달성했다. 이는 철저한 현지화 전략을 바탕으로 이루어낸 성과이다.

우선 한국타이어는 중국의 열악한 도로 사정에 맞춰 내구성이 강한 타이어를 생산하였다. 또한 중국 각 지역의 기후에 맞춰 타이어의 고무 성분 비율을 다르게 하는 등 철저한 현지화 전략을 펼쳤다. 이를 통해 중국 소비자들의 니즈에 부합하는 제품을 공급할 수 있었다.

아울러 한국타이어는 중국 정부와 현지 관계를 긴밀히 구축하였다. 각 공장에 3,000여 명의 현지 인력을 채용하여 고용 창출 효과를 가져왔으며, 많은 세금을 납부함으로써 지역 경제에 공헌하였다. 또한 공장 내 핵심 포스트의 관리자들을 모두 중국 현지인으로 임명하는 등 현지화 노력을 강화하였다.

이와 함께 한국타이어는 중국 내에서 유통망 확대에도 주력하였다. 2004년 10월 미국 소비자 조사 기관지 'Car&Driver'가 실시한 타이어 성능 비교 테스트에서 최우수 제품에 선정되는 등 제품력을 인정받았다. 이를 바탕으로 중국 대리점을 늘려나가 유통망을 강화하였다.

이처럼 한국타이어는 철저한 현지화, 현지 정부 및 기관과의 긍정적 관계 구축, 유통망 확대 등 다각도의 노력을 통해 중국 시장에서 선두 업체로 부상할 수 있었다. 이는 중국 시장 진출 초기부터 현지 맞춤형 전략을 구사한 것이 주효했음을 보여준다.


1.4.2. 지속적인 투자와 개발

한국타이어는 중국 시장 진출 전략의 일환으로 지속적인 투자와 개발을 전개하고 있다.

1999년 중국 강소유한공사와 가흥유한공사에 공장을 설립하며 본격적인 중국시장 공략에 나섰다. 이후 지속적으로 중국 내 생산시설을 확대하며 공격적인 투자를 진행했다. 2006년 헝가리에 공장을 설립하는 등 생산기지를 더욱 다각화했으며, 2008년에는 중국 정부와 기술 협력 체계를 구축하며 현지화에 힘썼다.

이러한 투자와 함께 한국타이어는 중국 내 R&D 역량 강화에도 힘써왔다. 1998년 중국 기술연구소(CTC)를 설립했으며, 이를 통해 중국 시장에 특화된 제품 개발에 주력했다. 특히 중국의 열악한 도로 사정과 기후 등 현지 환경에 맞는 내구성과 내마모성 높은 타이어를 선보이며 고객 만족을 이끌어냈다.

또한 중국 정부와의 협력관계 구축을 통해 정부 정책에 발맞춰 나가며 중국 고객의 니즈를 충족시켜왔다. 이는 중국 시장 내 한국타이어의 브랜드 이미지 향상과 시장 점유...


참고 자료

2010년 아주경제신문 신문자료
2010년 10월 18일 서울신문 신문자료
한국타이어 자사 홈페이지 http://kr.hankooktire.com
글로벌 마케팅 - 박주홍, 박영사, 2010
금호타이어 홈페이지 - www.kumhotire.co.kr
DHL 홈페이지 - www.dhl.co.kr
운송네트워크 전문업체 DHL - 삼성경제연구소 www.seri.org
2010년 Annual Report - 금호타이어 자체 발행
한국, 중국 타이어 시장 1위… 이젠 유럽으로 - 조선일보, 2006.04.06
금호타이어 중국에 ‘타이어프로’ 1호점 개설 - 파이낸셜 뉴스 2008.4.11
김병추 금호타이어 사장 “中법인 연 매출 1조원 첫 돌파”-파이낸셜 2010.7.27
금호 타이어 뉴스 - 금호타이어 블로그
금호타이어, 중국 애프터마켓 전시회에 단독 참가-아주경제 2011.02.23
넥센 및 넥센타이어 기업 홈페이지(기업정보, 사업소개, 홍보센터),
http://www.nexencorp.com/, https://www.nexentire.com/kr/
박대웅, 『스포츠마케팅 성공사례 남기고 '히어로즈' 떠난 까닭은』, 한스경제, 2018.11.07., 산업면, https://www.hansbiz.co.kr/news/articleView.html?idxno=286125
선호균, 『넥센타이어 강호찬대표, 스포츠마케팅으로 고공행진 ‘쭉∼’』, 이지경제, 2021.08.27., 산업면(자동차/항공/타이어),
https://www.ezyeconomy.com/news/articleView.html?idxno=112548
김창권, 『넥센타이어 ‘넥스트레벨 골프데이’로 스포츠마케팅 강화』, EBN산업경제, 2022.05.03., https://www.ebn.co.kr/news/view/1529227
윤경현, 『강호찬式 '넥센타이어' 글로벌 스포츠 마케팅 '광풍' 불다』, 뉴스웨이, 2022.06.12., 산업면, https://www.newsway.co.kr/news/view?ud=2022061212023635057
박종진, 『우승컵 든 맨시티 가슴에 '넥센타이어'…스포츠마케팅 대박 터졌다』, 위키리스크한국, 2023.07.21., 산업면,
http://www.wikileaks-kr.org/news/articleView.html?idxno=140909
정동욱, 『넥센타이어, 美 NBA·MLB 등 스포츠 마케팅 강화‥브랜드 이미지 제고』, 일요신문, 2023.10.24., 부산/경남면, https://ilyo.co.kr/?ac=article_view&entry_id=461075
장은파, 『[Who Is ?] 강호찬 넥센타이어 대표이사 부회장, 스포츠마케팅 이해 뛰어나, 현장경험 많은 '스마일맨' [2023년]』, Business Post, 2023.08.02., 기업과산업/자동차·부품면, https://www.businesspost.co.kr/BP?command=article_view&num=323089
정동욱, 『‘스노보드’ 스토리, 그리고 스포츠 마케팅에 진심인 넥센타이어』, 일요신문, 2024.02.07., 부산/경남면, http://ilyo.co.kr/?ac=article_view&entry_id=466975

주의사항

저작권 EasyAI로 생성된 자료입니다.
EasyAI 자료는 참고 자료로 활용하시고, 추가 검증을 권장 드립니다. 결과물 사용에 대한 책임은 사용자에게 있습니다.
AI자료의 경우 별도의 저작권이 없으므로 구매하신 회원님에게도 저작권이 없습니다.
다른 해피캠퍼스 판매 자료와 마찬가지로 개인적 용도로만 이용해 주셔야 하며, 수정 후 재판매 하시는 등의 상업적인 용도로는 활용 불가합니다.
환불정책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