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개글
"바이오 플라스틱"에 대한 내용입니다.
목차
1. 서론
1.1. 플라스틱과 바이오플라스틱에 대한 소개
1.2. 바이오플라스틱 개발의 필요성
1.3. 연구 목적 및 의의
2. 바이오플라스틱의 종류 및 개발 현황
2.1. 생분해성 플라스틱
2.2. 산화생분해 플라스틱
2.3. 바이오베이스 플라스틱
2.4. 국내외 바이오플라스틱 개발 동향
3. 바이오플라스틱 산업 활성화를 위한 정부의 역할
3.1. 바이오플라스틱 관련 법률 및 규제 개선
3.2. 바이오플라스틱 기업 지원 방안
3.3. 바이오플라스틱 시장 확대를 위한 정책
4. 결론
4.1. 연구 요약
4.2. 향후 과제
5. 참고 문헌
본문내용
1. 서론
1.1. 플라스틱과 바이오플라스틱에 대한 소개
플라스틱은 인간의 편리성을 우선으로 고려하여 발전해 왔다. 그러나 오늘날 많은 양의 플라스틱이 사용되면서 환경에 악영향을 미치고 있다. 쓰레기가 바다로 배출되면서 거대한 쓰레기 섬이 만들어졌으며, 매립된 플라스틱도 분해 기간이 500년 이상으로 매우 길고, 플라스틱을 분해하거나 소각할 경우 미세플라스틱, 다이옥신, 온실가스 등 대기오염물질과 독성물질이 배출되고 있다. 이러한 환경오염의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생물성 원료를 사용하여 고분자 플라스틱이 새로 개발되었는데, 이를 바이오 플라스틱이라고 한다. 바이오 플라스틱은 분해 기간이 짧고 생산과정에서 공해 물질을 적게 배출하는 등 친환경적 특징을 가진 플라스틱이다.
1.2. 바이오플라스틱 개발의 필요성
바이오플라스틱 개발의 필요성은 다음과 같다.
먼저, 플라스틱 폐기물에 의한 환경오염 문제가 심각하기 때문이다. 플라스틱은 인간의 편리성을 위해 지속적으로 발전해왔지만, 이로 인해 대량의 폐기물이 발생하고 있다. 특히 최근 코로나19 사태로 인해 배달 및 포장용품 사용이 급증하면서 플라스틱 폐기물의 문제가 더욱 심각해졌다. 현재 전 세계적으로 바다에 플라스틱이 물고기보다 더 많은 수준이며, 매립된 플라스틱의 분해 기간도 500년 이상으로 매우 길다. 또한 플라스틱 소각 시 미세플라스틱, 다이옥신, 온실가스 등 유해물질이 배출되어 대기오염을 일으키고 있다. 이처럼 플라스틱 폐기물은 환경과 생태계에 심각한 악영향을 미치고 있어, 이를 해결하기 위한 대안이 필요한 실정이다.
다음으로, 지속가능한 사회를 구현하기 위해 바이오플라스틱 개발이 필요하다. 기존 플라스틱은 화석연료를 기반으로 하기 때문에 자원 고갈과 환경오염의 문제가 있다. 반면 바이오플라스틱은 자연에서 재생 가능한 식물성 원료를 사용하여 생산되므로, 환경부하를 줄일 수 있다. 또한 생분해성이 뛰어나 자연에서 빠르게 분해되어 매립 및 소각에 따른 환경오염을 최소화할 수 있다. 이를 통해 지속가능한 사회를 구현하는데 기여할 수 있다.
마지막으로, 정부와 기업의 친환경 정책에 따라 바이오플라스틱의 개발이 필요하다. 유럽연합과 일본 등 선진국에서는 일회용품 사용 규제를 강화하고 바이오플라스틱 산업을 육성하는 등 적극적인 정책을 추진하고 있다. 우리나라 또한 최근 정부 주도로 바이오플라스틱 제품 15종 개발 계획을 발표하는 등 관련 산업을 육성하고자 한다. 이에 따라 기업들도 친환경 소재 개발에 힘쓰고 있으며, 바이오플라스틱의 상용화를 위한 노력이 필요한 실정이다.
따라서 플라스틱 폐기물에 의한 환경오염 문제 해결, 지속가능한 사회 구현, 정부와 기업의 정책에 따른 기술 개발 필요성 등을 고려할 때, 바이오플라스틱의 개발은 매우 중요하다고 할 수 있다.
1.3. 연구 목적 및 의의
연구 목적 및 의의는 다음과 같다.
본 연구는 환경오염 문제에 대한 관심과 더불어 주목받고 있는 바이오플라스틱에 대해 알아보고자 한다. 구체적으로 바이오플라스틱의 종류와 개발 동향을 살펴봄으로써 바이오플라스틱이 환경문제 해결에 어떤 기여를 할 수 있는지 파악하고자 한다. 또한 바이오플라스틱 산업 활성화를 위한 정부의 역할을 분석함으로써 바이오플라스틱이 실효성 있게 보급되고 활용될 수 있는 방안을 모색하고자 한다. 이를 통해 바이오플라스틱이 일회용품 문제와 환경오염 해결을 위한 대안이 될 수 있음을 규명하는 것이 본 연구의 목적이다.
이러한 연구는 바이오플라스틱에 대한 관심과 이해를 높여 실제 생활에서의 활용도를 증진시킬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또한 정부와 기업이 바이오플라스틱 산업을 육성하고 개선하는데 필요한 시사점을 제공할 수 있을 것이다.
2. 바이오플라스틱의 종류 및 개발 현황
2.1. 생분해성 플라스틱
생분해성 플라스틱은 주로 전분이나, 지방족 폴리에스터, 셀룰로스와 같은 생분해성 수지로 만들어지며, 토양이나 미생물, 효소에 의해서 6개월 이내 90% 이상 분해되는 플라스틱이다. 즉, 자연에서 유기물로 인해 썩으면서 유해물질의 방출 없이 물리적 변화나 화학적 구조가 변화하는 플라스틱이다. 원료에 따라 천연물계 생분해 플라스틱, 석유계 생분해 플라스틱으로 나눌 수 있다.
천연물계 생분해 플라스틱은 바이오매스가 70% 이상 포함된 플라스틱을 말하고, PLA, CA, PHA, AP 등이 있다. PLA는 옥수수 전분을 발효시켜 만든 폴리락틱산으로, 이 재료로 만든 플라스틱은 꽁보라, 종량제봉투, 병뚜껑 등에 사용된다. CA는 셀룰로스 아세테이트로 셀룰로스를 아세트...
참고 자료
“European Bioplastics releases 2016 market forecast” By Erin Voegele | October 16, 2012
김민욱 외 2명, ‘바다 위 거대 쓰레기섬 5개…‘식탁 공동체’ 한·중 공동 대처를‘, 중앙일보, 2019, 1면
https://www.joongang.co.kr/article/23663394#home
김은희, ‘생활쓰레기가 썩는데 걸리는 시간’, 대전광역시청
https://www.daejeon.go.kr/drh/DrhContentsHtmlView.do?menuSeq=2195
Breathelife, “플라스틱 폐기물”, 2021/09/28,
https://breathelife2030.org/ko/news/burning-plastic-waste-adds-global-air-pollution-problem/
박준모, ‘환경오염 주번인 플라스틱 사용 줄여야’, 철강금속신문, 2021, 1면
https://www.snmnews.com/news/articleView.html?idxno=480732
BMP, 바이오플라스틱 소개, 2021/10/12
http://biopack.or.kr/neomcc/2_feature.html
이준우, “생분해성플라스틱”, 2002, p. 13
BMP, “산업화 제품소개”, 2021/10/12
http://www.neomcc.com/default/bio_plastic/product_introduce.php?sub=04
“일회용품”, 『표준국어대사전』, https://stdict.korean.go.kr/search/searchResult.do , 2020.12.12
「[도와줘요 쓰레기박사] 플라스틱 재활용률, 정말 낮나요?」, 『서울환경연합』, http://ecoseoul.or.kr/archives/37466 , 검색일 : 2020.12.12.
「바이오플라스틱 마크제도」, 『한국바이오플라스틱협회』, http://kbpa.net/skin/page/custom03_kr.html , 2020.12.13
제갈종건, 「바이오 플라스틱 현황 및 전망」, 『한국화학연구원』, https://www.cheric.org/PDF/PIC/PC15/PC15-4-0021.pdf , 2020.12.12
유영선, 「국내외 바이오 플라스틱의 연구개발, 제품화 및 시장 동향」, 한국청정기술학회, 2015.09, 141~152p
「플라스틱 넘어서 일회용품 프리 실천 필요한 때」, 『대한금융신문』 , 2019.02.18., https://www.kbanker.co.kr/news/articleView.html?idxno=80416 , 2020.12.12
「한국인이 쓰는 일회용컵 25,700,000,000개… 플라스틱은 세계 1위」, 『조선일보』, 2018.05.08., https://www.chosun.com/site/data/html_dir/2018/05/08/2018050800187.html 2020.12.12
「8년 前 '썩는 플라스틱' 개발해 놓고도 SK케미칼, 국내 수요 부족에 상용화 고민」, 『한국경제』, 2019.07.25. https://www.hankyung.com/economy/article/2019072476301 , 2020.12.13
「네덜란드 바이오 플라스틱 시장동향」, 『Kotra 해외시장뉴스』, 2015.03.19., https://news.kotra.or.kr/user/globalAllBbs/kotranews/album/604/globalBbsDataAllView.do?dataIdx=137167&column=&search=&searchAreaCd=&searchNationCd=&searchTradeCd=&searchStartDate=&searchEndDate=&searchCategoryIdxs=&searchIndustryCateIdx=&page=247&row=80 , 2020.12.13
「홍남기 “빅3 집중지원, 시스템반도체·미래차·바이오헬스”」, 『조선일보』, 2020.12.03. https://www.chosun.com/economy/2020/12/03/EM4FYEHDLBH2HKFQFCP3LVU2AA/?utm_source=naver&utm_medium=referral&utm_campaign=naver-news , 2020.12.14
「바다에 물고기보다 플라스틱이 더 많아진다면」,『한겨레』, 2018.09.09., http://www.hani.co.kr/arti/society/environment/861275.html , 2020.12.1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