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개글
"코로나19와 스페인독감"에 대한 내용입니다.
목차
1. 서론
2. 스페인 독감과 코로나
2.1. 스페인 독감
2.1.1. 스페인 독감의 발생과 확산
2.1.2. 스페인 독감의 특징과 피해
2.2. 코로나 바이러스 19
2.2.1. 코로나 바이러스 19의 발생과 확산
2.2.2. 코로나 바이러스 19의 특징과 피해
3. 스페인 독감과 코로나 바이러스 19 비교
3.1. 공통점
3.2. 차이점
4. 감염병에 대한 대응과 사회적 변화
4.1. 과거와 현재의 감염병 대응 비교
4.2. 코로나 19로 인한 사회적 변화
5. 감염병 대비를 위한 교훈
6. 결론
7. 참고 문헌
본문내용
1. 서론
과거부터 전염병은 정치, 문화, 사회, 일상생활의 측면에서 많은 변화를 가져왔다. 갑작스럽게 찾아오는 재난으로서 전염병의 창궐은 모든 사람들을 큰 충격에 빠뜨리게 한다. 그로 인한 급격한 환경변화는 날마다 반복되던 평범한 일상에 영향을 주고 특별한 경험을 하게 한다. 이러한 전염병의 시대를 살아가는 개인의 일상생활을 탐구하는 것은 시대의 흐름을 읽어내고 앞으로의 변화에 대비할 수 있도록 하는 의미가 있다. 스페인 독감은 전 유럽은 물론이고 머나먼 아시아, 그것도 조선 땅에까지 영향을 미쳤다. 또 21세기 최악의 재앙으로 불리는 코로나19는 발생 초기 많은 유럽 여러 나라들이 앞 다투어 봉쇄를 단행했지만 세계화의 보편적인 조류앞에서 방역 전선은 속절없이 무너지고 말았다. 바야흐로 세계는 개방과 교류의 시대에서 봉쇄와 단절의 시간을 보내며 백신의 효과만을 기대하는 처지에 몰려 있다. 한편에서는 위즈 코로나에 대한 조심스런 기대도 나오고 있지만 그렇다 하더라도 인류는 매년 소중한 목숨을 코로나19로 잃어버리게 될 것이다. 본 과제에서는 20세기 초에 전 세계에 유행한 스페인 독감과 현재의 covid-19 대유행의 차이를 확산과 사망자수에 초점을 맞추어서 조사하고, 차이의 이유를 과학기술 발달이라는 측면에서 찾아보고자 한다.
2. 스페인 독감과 코로나
2.1. 스페인 독감
2.1.1. 스페인 독감의 발생과 확산
스페인 독감은 1918년 미국에서 최초로 발병되어 전 세계로 퍼져나갔다. 당시 제1차 세계대전이 막바지에 접어들면서 많은 군인들이 이동하게 되자 이를 통해 스페인 독감이 급속도로 확산될 수 있었다. 세계적인 전쟁 상황으로 인해 각국 정부들은 자국민의 감염병 확산 방지보다는 전쟁 수행에 더욱 힘을 기울이고 있었다. 또한 교통과 통신 수단이 발달하지 않아 정확한 정보 공유가 어려웠기 때문에 각국 정부들이 효과적으로 대응하지 못했다. 이에 스페인 독감은 단시간에 전 세계로 퍼져나가며 막대한 인명 피해를 야기할 수 있었다. 특히 전쟁에 참여했던 군인들이 감염되어 귀향하면서 이를 계기로 스페인 독감이 더욱 확산될 수 있었던 것이다. 당시 의료 수준이 낮아 스페인 독감의 감염 경로와 증상에 대한 이해가 부족했기 때문에, 감염자들에 대한 적절한 격리와 치료가 이루어지지 않아 유행이 지속될 수밖에 없었다.
2.1.2. 스페인 독감의 특징과 피해
스페인 독감의 특징과 피해는 다음과 같다.
스페인 독감은 폐를 손상시킨다는 점이 가장 큰 특징이다. 감염자들은 처음에 감기와 유사한 증상을 보이다가 점차 폐렴 증상이 나타나게 된다. 특히 감염 초기에는 발열, 기침, 인후통 등의 증상이 나타나지만 이후 청색증이 나타나고 얼굴이 창백해지면서 폐에 심각한 손상을 입게 된다. 스페인 독감의 가장 큰 특징은 젊은 층에게 치명적이었다는 점이다. 당시 전쟁에 참전했던 젋은 군인들 사이에서 급속히 확산되며 상당한 사망자가 발생했다.
스페인 독감은 전 세계적으로 약 5억 명의 감염자를 발생시킨 것으로 추정되며, 사망자 수는 1,700만 명에서 최대 5,000만 명에 이르는 것으로 보인다. 당시 전체 인구 대비 감염률은 약 27%, 치사율은 1% 수준이었다. 특히 젊은층의 사망률이 매우 높았는데, 이는 당시 제1차 세계대전 참전 군인들 사이에서 급속히 퍼졌기 때문으로 보인다. 한편 선진국보다 개발도상국에서 더 큰 피해가 발생했는데, 이는 열악한 공중보건 인프라와 의료 시스템의 부재 때문으로 분석된다. 예를 들어 인도와 이집트의 치사율은 각각 6%와 10%에 달했다.
스페인 독감은 당시 의학 기술의 부족으로 인해 효과적인 치료법이 없었다. 따라서 많은 사람들이 감염되었고, 그중 상당수가 사망에 이르렀다. 이렇게 스페인 독감은 전 세계적으로 엄청난 인명 피해를 야기했으며, 특히 젊은 층과 개발도상국에 더욱 큰 타격을 주었다.
2.2. 코로나 바이러스 19
2.2.1. 코로나 바이러스 19의 발생과 확산
코로나...
참고 자료
인간과과학 한국방송통신대학교 출판문화원
미국의 번영과 히스테리적 소비, 마침내 거품과 대공황을 낳다, DBR . (n.d.). https://dbr.donga.com/article/view/1101/article_no/6536.
박동균. (2020). 코로나 19 사태를 통해 본 대한민국 위기관리의 문제점과 교훈. 한국치안행정논집. Pp. 127-150
슈바프 WEF회장 "코로나19가 4차 산업혁명 가속화할 것" . (n.d.). http://dongascience.donga.com/news.php?idx=39846.
스페인 독감을 통해본 코로나19. (2020). https://www.sciencetimes.co.kr/news/%EC%8A%A4%ED%8E%98%EC%9D%B8-%EB%8F%85%EA%B0%90%EC%9D%84-%ED%86%B5%ED%95%B4%EB%B3%B8-%EC%BD%94%EB%A1%9C%EB%82%9819/
양혜원. (n.d.). 코로나19가 문화예술분야에 미친 영향과 향후 과제. 문화관광 인사이트, 146호, pp. 1-6.
임현, 이상남, 박노언, 박창현, 정의진, 안지현, … 지수영, (2020). 포스트 코로나 시대의 미래전망 및 유망 기술. KISTEP 한국과학기술기획평가원. Pp. 4-16.
[치과신문 편집인 칼럼] 스페인 독감과 대공황, 그리고 금(金), 치과 신문 . (n.d.). http://dentalnews.or.kr/mobile/article.html?no=28279.
[칼럼] 코로나 19와 스페인 독감 ‘역사는 반복 된다’. (2020). http://www.mkhealth.co.kr/news/articleView.html?idxno=46113
[코로나19] 19차 인식조사(상황 인식, 일상생활 변화 등) . (n.d.). https://hrcopinion.co.kr/archives/16855.
이주왕, 「유동인구 증감에 따른 감염병 확산과 도시 구성요소 연관성 분석-서울시 코로나19 감염을 중심으로」, 홍익대학교 대학원, 2022.
이우림, 스페인 독감·신종플루의 교훈 "코로나, 백신외에도 이게 필요", 중앙일보, 2021.09.20. 05:00
https://www.joongang.co.kr/article/25008464#home
돈 브라운, 『코로나 팬데믹을 닮은 스페인 독감: 1918년의 비극적 전염병』, 두레, 202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