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개글
"최초의 컴퓨터는 애니악이 맞는지? 아니면 맞지 않은지? 논의하시오"에 대한 내용입니다.
목차
1. 유닉스와 리눅스
1.1. 유닉스의 특징과 발전
1.2. 리눅스의 등장과 발전
1.3. 유닉스와 리눅스의 관계
2. 정보화 사회의 발전
2.1. 정보화 사회의 특징
2.2. 김과장과 이과장의 토론
3. 컴퓨터의 덧셈과 뺄셈
3.1. 덧셈기를 이용한 뺄셈
3.2. 뺄셈기를 이용한 뺄셈
3.3. 두 방식의 장단점 비교
4. 최초의 컴퓨터
4.1. 에니악
4.2. 콜로러스와 안티키티라 기계
5. 데이터베이스 독립성
5.1. 3단계 스키마 구성
5.2. 데이터 독립성의 개념
5.3. 스키마 사이의 독립성에 대한 찬반 논의
6. 원격교육의 미래
6.1. 유비쿼터스 기술의 발전
6.2. 미래 원격교육의 시나리오
7. 인공지능의 윤리적 쟁점
7.1. 인공지능 기술의 발전
7.2. 'Tay' 챗봇 사례 분석
7.3. 윤리적 관점별 고찰
7.4. 마케팅 시사점
8. 참고 문헌
본문내용
1. 유닉스와 리눅스
1.1. 유닉스의 특징과 발전
유닉스는 1970년대 초반에 발명된 다중 사용자 방식의 서버에 특화된 운영 체제이다. 유닉스는 교육이나 연구 기관에서 주로 사용되었으며, 기업에서는 포털이나 대기업의 사이트에서 많이 사용되고 있다. 유닉스는 IBM 사에서 직접 일괄적으로 관리하기 때문에 리눅스에 비해 지원이 좋고 보안성이 뛰어나다는 장점이 있다. 하지만 기업에서 일괄 관리하기 때문에 비용이 비교적 비싸다는 단점도 가지고 있다. 현재 유닉스는 HP, Apple 등에서 사용되고 있다.
리눅스는 유닉스의 장점을 포괄하면서 여러 가지 새로운 기능을 적용함으로써 현존하는 운영체제에서 더욱더 발전을 거듭하고 있는 운영 체제이다. 리눅스는 유닉스의 소스 코드를 수정함으로써 대형 컴퓨터에서만 사용할 수 있었던 유닉스 체제를 개인 컴퓨터에서도 사용할 수 있도록 공개 운영 체제로 만들었다. 따라서 개인의 컴퓨터 사용 및 시스템이 발전함에 따라 유닉스는 비슷하게 발전 체제를 구축했어야 하는데 이런 시스템 체제의 적용을 리눅스에서 해주었다는 점에서 리눅스는 유닉스의 발전에 크게 도움을 줬다고 볼 수 있다.
1.2. 리눅스의 등장과 발전
리눅스의 등장과 발전은 유닉스 운영체제에서 시작되었다. 리눅스는 1991년 핀란드 출신의 대학생 리누스 토발즈가 개발하기 시작한 오픈 소스 운영체제이다.
리눅스는 유닉스의 특징을 기반으로 하지만 무료로 누구나 사용하고 수정할 수 있는 공개 운영체제라는 점에서 유닉스와 차별화된다. 리눅스의 등장 이전까지는 유닉스 운영체제가 주로 대학이나 연구소, 대형 기업 등에서 서버용으로 사용되어왔다. 하지만 리눅스는 개인용 컴퓨터에서도 구동이 가능하여 대중화될 수 있었다.
리눅스는 커널 소스코드가 공개되어 있어 전 세계 개발자들이 참여하여 기능을 개선하고 새로운 기능을 추가할 수 있었다. 이에 따라 리눅스는 빠른 속도로 발전하여 개인 사용자뿐만 아니라 기업용 서버, 임베디드 시스템 등 다양한 분야에서 활용되고 있다.
특히 리눅스는 안정성과 보안성이 뛰어나 인터넷 서버, 슈퍼컴퓨터, 스마트폰 등 다양한 분야에서 사용되고 있다. 또한 무료로 배포되고 주요 소스코드가 공개되어 있어 기업들이 자사의 needs에 맞게 수정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이처럼 리눅스는 유닉스의 장점을 계승하면서도 오픈 소스와 무료 배포라는 차별화된 특성을 바탕으로 급속도로 발전해왔다. 리눅스는 오늘날 서버, 데스크톱, 모바일 등 다양한 분야에서 활용되며 마이크로소프트 Windows와 어플리케이션 시장에서 경쟁하고 있다.
1.3. 유닉스와 리눅스의 관계
리눅스는 유닉스의 장점을 포괄하면서 여러 가지 새로운 기능을 적용함으로써 현존하는 운영체제에서 더욱더 발전을 거듭하고 있는 운영 체제이다. 리눅스는 유닉스의 소스 코드를 수정함으로써 대형 컴퓨터에서만 사용할 수 있었던 유닉스 체제를 개인 컴퓨터에서도 사용할 수 있도록 공개 운영 체제로 만들었다. 따라서 개인의 컴퓨터 사용 및 시스템이 발전함에 따라 유닉스는 비슷하게 발전 체제를 구축해야 하는데 이런 시스템 체제의 적용을 리눅스에서 해주었다는 점에서 리눅스는 유닉스의 발전에 크게 도움을 줬다고 볼 수 있다.
2. 정보화 사회의 발전
2.1. 정보화 사회의 특징
정보화 사회의 특징은 다음과 같다.
정보화 사회는 컴퓨터와 정보통신기술의 발달로 특징지어지는 사회이다. 정보화 사회의 주요 특징은 빠른 정보의 습득과 유통, 정보통신기술을 이용한 효율적인 소통, 그리고 정보의 공유와 활용이 자유롭다는 점이다.
과거의 산업사회가 물질 중심이었다면, 정보화 사회는 정보와 지식이 중심이 된다. 정보와 지식이 새로운 부가가치를 창출하는 핵심 요소로 작용하면서, 정보의 생산, 유통, 활용이 사회 전반에 커다란 영향을 미치게 되었다. 이에 따라 정보화 사회에서는 물질적 풍요보다는 정보와 지식의 접근성과 활용도가 중요하게 여겨진다.
또한 정보화 사회는 공간과 시간의 제약이 줄어들어 실시간 정보 교환이 가능해졌다. 인터넷과 모바일 기기의 발달로 언제 어디서나 정보에 접근할 수 있게 되면서 정보 격차가 줄어들고 개인 및 기관 간의 상호작용이 활발해졌다. 이는 기존의 중앙화된 정보 전달 방식을 탈피하고 쌍방향 소통을 가능하게 하였다.
이처럼 정보화 사회는 정보와 지식이 중심이 되고, 시간과 공간의 제약이 줄어들어 실시간 소통이 가능한 사회라고 할 수 있다.
2.2. 김과장과 이과장의 토론
김과장은 정보화 사회가 컴퓨터의 발명으로 갑자기 만들어진 사회라고 주장한다. 그는 정보화 사회의 핵심이 빠른 정보 습득력이라고 설명한다. 컴퓨터와 인터넷이 보편화되면서 정보를 쉽게 습득하고 유통할 수 있게 되었고, 이를 통해 사람들이 활발하게 소통하게 되었다는 것이다. 과거에는 아날로그적인 방식으로만 정보를 얻을 수 있었지만, 컴퓨터와 네트워크의 발달로 정보화 사회가 생겨났다는 것이 김과장의 주장이다.
반면 이과장은 정보화 사회가 과거부터 계속 발전해왔다고 본다. 산업혁명과 함께 정보를 얻고자 하는 욕구가 생겨났고, 이에 따라 인쇄기술, 교통수단, 전화, 라디오, TV 등이 발명되었다. 이러한 기술 발전을 통해 점진적으로 정보화 사회가 만들어졌으며, 컴퓨터와 인터넷의 등장이 정보화 사회 발달의 핵심 계기가 되었다고 설명한다. 즉, 정보화 사회는 갑자기 만들어진 것이 아니라 지속적인 기술 발전과 사회적 변화의 과정 속에서 점진적으로 발전해왔다는 것이 이과장의 주장이다.
따라서 김과장과 이과장의 토론을 통해, 정보화 사회의 발달이 컴퓨터의 발명으로 인해 갑자기 만들어진 것이 아니라 오랜 기간 동안의 기술 혁신과 사회구조의 변화 속에서 점진적으로 이루어졌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정보화 사회의 특징과 개요를 고려할 때, 이과장의 주장이 보다 설득력 있어 보인다.
3. 컴퓨터의 덧셈과 뺄셈
3.1. 덧셈기를 이용한 뺄셈
컴퓨터 내부에서는 현재 덧셈기를 이용하여 뺄셈을 진행하고 있으며, 이 방법이 적합한 방법이...
참고 자료
김선명, (2002). 정보화사회에서의 중등학교 컴퓨터 교육과정 방향설정에 관한 연구, 목포대학교 교육대학원
안티키티라 기계
https://ko.wikipedia.org/wiki/%EC%95%88%ED%8B%B0%ED%82%A4%ED%8B%B0%EB%9D%BC_%EA%B8%B0%EA%B3%84
에니악
https://ko.wikipedia.org/wiki/%EC%97%90%EB%8B%88%EC%95%85
박유경, (2007). 데이터베이스를 이용한 전압안정도 해석 제안, 고려대학교 대학원
양순옥,김성석,정광식 공저, 2015, 유비쿼터스 개론, 생능출판사
박정환, 김수민, 2004, 유비쿼터스 교육환경의 이해와 가능성 탐색, 圓光大學校 敎育問題硏究所
김철주, 1997, 정보화시대의 원격교육 활용에 관한 연구. 교육시설, 4(2), 5-12.
송기상, 1996, 멀티미디어 통신망을 이용하는 원격교육 시스템 구성. 교육시설, 3(1), 19-30.
한국정보산업연합회, 2005, 국내 유비쿼터스 사업추진 현황.
김문조(2020). “AI시대의 디지털 격차”, 「지역사회학」.
김광수 (2018), “인공지능 규제법 서설”, 토지공법연구 제81집.
이시연(2018). “(인공)지능은 성별이 없다고?”, 「인공지능인문학연구」, 통권 제 1호.
양종모(2017). “인공지능 알고리즘의 편향성, 불투명성이 법적 의사결정에 미치는 영향 및 규율 방안”, 「법조」.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