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개글
"출혈의위험성"에 대한 내용입니다.
목차
1. 서론
1.1. 소화성 궤양 출혈 환자의 치료 현황
1.2. 약물 치료의 중요성
1.3. 최근 연구 동향
2. 본론
2.1. 소화성 궤양 출혈의 병태생리학
2.1.1. 지혈 과정
2.1.2. 위산과 펩신의 영향
2.2. 약물 치료의 기전
2.2.1. H2 수용체 길항제의 역할
2.2.2. PPI의 개발과 효과
2.3. 약물 치료와 내시경 치료의 비교
2.3.1. PPI 단독 치료와 내시경 치료 후 PPI 투여의 효과
2.3.2. 투여 방법에 따른 PPI의 효과
2.4. 소화성 궤양 출혈 환자의 국내 치료 성적
2.4.1. 내시경 치료 방법에 따른 지혈률
2.4.2. PPI 투여 방법에 따른 효과
3. 결론
3.1. 요약
3.2. 향후 과제
4. 참고 문헌
본문내용
1. 서론
1.1. 소화성 궤양 출혈 환자의 치료 현황
최근 우리 사회가 급속히 고령화되면서 동맥경화 질환 환자가 증가함에 따라 아스피린이나 NSAID 등을 복용하는 환자들이 늘고 있다. 이로 인해 과거에는 십이지장궤양 환자들이 많았으나 최근에는 위궤양 환자들이 증가하여 그 비율이 역전되었으며 특히 위궤양 출혈 환자들이 늘어나고 있다." 출혈을 동반한 소화성궤양에서 분출이나 삼출이 있는 경우에는 내시경 치료를 하고 깨끗한 궤양저가 있으면 약물치료를 한다. 노출 혈관이나 혈전이 부착되어 있는 경우에는 내시경 치료가 우선시되고 있으나, 강력한 위산 억제제인 proton pump inhibitor (PPI)의 개발로 내시경 치료 없이 약물 치료만으로도 재출혈률을 감소시킬 수 있다는 보고가 있다.
1.2. 약물 치료의 중요성
약물 치료의 중요성은 소화성 궤양 출혈 환자에서 매우 크다고 할 수 있다. 과거에는 내시경 치료가 주된 치료 방법이었지만, 최근 들어 위산 분비를 강력히 억제하는 proton pump inhibitor(PPI)의 개발로 인해 약물 치료만으로도 내시경 치료와 유사한 수준의 재출혈 예방 효과를 보일 수 있게 되었기 때문이다.
과거에는 제산제와 H2 수용체 길항제의 개발로 소화성 궤양의 증상 완화에 도움을 줄 수 있었지만, 소화성 궤양 출혈에는 효과적이지 않았다. 하지만 PPI가 개발되면서 위산 분비를 강력히 억제시킬 수 있게 되어 소화성 궤양의 치료뿐만 아니라 출혈의 치료에도 큰 도움을 주게 되었다. PPI를 통해 위 내 산도를 pH 6 이상으로 유지할 수 있게 되면서 혈소판 응집을 방해받지 않도록 하고, 위산이나 펩신에 의한 용혈을 막을 수 있게 된 것이다. 이로 인해 소화성 궤양 출혈 환자에서 PPI의 사용이 매우 중요해지게 되었다.
최근 연구에 따르면, PPI 단독 투여가 내시경 치료만큼 재출혈 예방에 효과적이며, 내시경 치료 후 PPI를 투여하는 것이 가장 효과적인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PPI를 정맥 투여하는 것과 경구 복용하는 것의 위산 억제 효과가 유사한 것으로 밝혀졌다. 이를 통해 PPI의 약물 치료가 소화성 궤양 출혈 환자 관리에 매우 중요한 역할을 한다는 것을 알 수 있다.
따라서 소화성 궤양 출혈 환자에서 약물 치료, 특히 PPI의 사용은 내시경 치료와 더불어 매우 중요한 치료 방법이라고 할 수 있다. 출혈을 예방하고 재출혈을 감소시키는데 있어 PPI가 큰 역할을 하기 때문이다.
1.3. 최근 연구 동향
최근 연구 동향은 다음과 같다. 소화성 궤양 출혈 환자에서 proton pump inhibitor(PPI)의 투여 방법과 효과에 대한 연구들이 수행되었다. 한 연구에서는 간헐적으로 일시 주사하는 방법과 연속적으로 점적 주사하는 방법을 비교하였는데, 일시 주사 후 이어서 점적 주사하는 방법이 효과적인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이후 연구들에서는 PPI를 정맥 투여하는 방법과 경구 투여 방법 간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정맥 투여의 경우 비용이 많이 들고 입원 치료가 필요하며 인력과 장비가 요구되므로, 경구 투여만으로도 위 내 산도를 효과적으로 조절할 수 있다면 비용 효과 측면에서 유리할 것으로 보인다. 이를 확인...
참고 자료
하영수 외. 여성 모성간호학 Ⅱ. 제1판. 서울; 신광출판사; 2018, p.477-479.
여성건강간호교과연구회편. 여성건강간호학 Ⅱ. 제6판. 파주; 수문사; 2010, p.772
박영주 외. 여성건강간호학 Ⅱ. 제4판. 서울; 현문사; 2017, p.76-78
심옥수 외. 임상검사와 간호. 파주; 수문사, 2015
양선희 외. 기본간호학Ⅱ. 서울: 현문사; 2014
[드러그인포] https://www.druginfo.co.kr/index.aspx
바로메졸캡슐 20mg(오메프라졸)
https://www.druginfo.co.kr/detail/product.aspx?pid=7584
싸이토텍정 200μg (미소프로스톨)
https://www.druginfo.co.kr/detail/product.aspx?pid=45997
중외엔에스주사액
https://www.health.kr/searchDrug/result_drug.asp?drug_cd=2016110100025
잔탁주 Ranitidine Hydrochloride 라니티딘염산염 28mg/mL
https://www.health.kr/searchDrug/result_drug.asp?drug_cd=A11A0040B0105
여성건강간호학2 수문사 (2020) p. 431-434, p. 439
[서울대학교병원] 종합질환정보 – 소화성궤양
http://www.snuh.org/health/compreDis/DS01/11.do
2023 퍼시픽북스 문제집 p.18-19, p.4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