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내용
1. 책의 내용 중 납득(수긍)하기 어려운 부분, 인상적인 부분, 재미있는 부분
1.1. 왜구의 침략에 대한 고려 정부의 대응
고려 정부는 왜구의 침략에 대해 다양한 대응책을 마련하였다. 첫째, 방어체계 구축을 위해 성벽을 쌓고 군사력을 강화하였다. 특히 최무선 장군은 화포를 개발하여 왜구에 대한 방어력을 높였다. 둘째, 외교적 해법을 찾아 중국 원나라와의 외교 관계를 강화하여 왜구에 대한 공동 방어 체계를 구축하고자 하였다. 셋째, 지방 호족과의 협력을 통해 방어 거점을 마련하고자 하였다. 그러나 내분과 무능한 정치 지도력으로 인해 고려 정부의 대응은 효과적이지 못했다. 결국 왜구의 침략은 고려 사회에 큰 피해를 주었고, 이는 고려 왕조의 멸망으로 이어졌다고 볼 수 있다.
1.2. 상호 연관된 국가 간 역사 사건
도서에 따르면, 고려 말기에 일어난 왜구 침략은 단순히 한 국가에 국한된 사건이 아니라 당시 일본 내부의 복잡한 정치 상황과 연관되어 있었다"" 일본의 남북조 시대에 발생한 권력 다툼과 내란이 고려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쳤기 때문이다""
당시 일본 내에서는 남북조 분열로 인해 천황을 둘러싼 무력 충돌이 지속되고 있었다"" 고다이고 천황을 지지하는 세력과 아시카가 막부를 지지하는 세력 간의 대립이 격화되면서 많은 무사들이 전투에 동원되었다"" 이로 인해 일본 내부에 혼란이 가중되자 일부 무사 집단이 고려를 공격하는 왜구 활동을 전개하게 된 것이다""
또한 몽골 제국의 영향력이 쇠퇴하면서 일본 내 정치 세력들이 서로 무력으로 다투게 되었고, 이러한 와중에 고려로 진출한 왜구들이 고려를 침략하고 약탈하는 사태가 발생했다"" 즉, 일본의 내란이 고려에까지 영향을 미치면서 왜구 문제를 야기했던 것이다""
고려는 이러한 왜구의 침략에 대해 대응하고자 노력했지만, 국내 정치적 혼란과 무력의 부족으로 인해 효과적으로 대처하지 못했다"" 오히려 왜구 침략을 막는 과정에서 내분이 발생하기도 했다"" 이는 곧 일본과 고려의 역사가 복잡하게 얽혀있었음을 보여준다""
1.3. 무력충돌에 대한 인물들의 대응
무력충돌에 대한 인물들의 대응은 다음과 같다.
많은 문헌에 따르면 남북조 시대의 혼란 속에서 천황과 무사 계급 간의 갈등이 두드러졌다. 고다이고 천황은 막부의 공격에 시달리면서도 여전히 자신의 권력을 지키고자 했다. 그는 왜군의 공격을 막아내지 못하는 가운데에서도 힘겹게 피신하며 도망다녔다. 하지만 그러한 노력에도 불구하고 마침내 막부군에 의해 고립되어 유배를 가게 된다. 이처럼 고다이고 천황은 전장에서 용맹하게 싸우기보다는 최우선적으로 자신의 권력을 지키고자 했던 것이 특징이다.
반면 구스노키 마사시게와 같은 일부 무사들은 천황에 대한 절대적인 충성심을 보였다. 구스노키 마사시게는 고다이고 천황에게 충성하여 막부군과 싸웠고, 결국 전사하고 말았다. 이처럼 무사 계급 일부는 천황에 대한 신념과 이상을 지키기 위해 희생을 불사했으나, 천황 고다이고 자신은 이러한 신념에 부합하지 않는 행동을 보였다.
더하여 천황 친위 세력 내부에서도 권력 다툼이 있었다. 고다이고 천황의 아들들 간에 후계자 다툼이 벌어졌고, 이들은 지방의 무사 계급을 규합하여 서로 대립하기도 했다. 심지어 왕자들은 겨우 6-8살에 불과했음에도 불구하고 지방 무사 세력 동원에 나섰다는 점은 당시 상황이 얼마나 혼란스러웠는지를 보여준다.
결국 남북조 시대의 무력충돌은 천황과 막부, 그리고 왕자들까지 얽힌 복잡한 양상을 보였다. 천황은 권력을 지키고자 했지만, 무사 계급의 충성심과 왕자들의 다툼에 휩싸여 결국 패배하고 말았다. 이처럼 다양한 인물들의 대응이 복합적으로 얽혀 혼란을 가중시켰던 것이 특징이라고 할 수 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