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개글
"편마비환자 욕창예방간호"에 대한 내용입니다.
목차
1. 욕창 예방 및 관리 활동
1.1. 주제 선정 배경 및 필요성
1.2. 목표설정
1.3. 팀 구성 및 활동 내용
1.4. 평가 대상 및 자료 수집 방법
1.5. 현황 파악 및 관련 문제점
1.6. 개선활동
1.7. 활동결과
1.8. 결론 및 제언
2. 편측마비 문헌고찰
2.1. 정의
2.2. 병태생리
2.3. 원인
2.4. 증상
2.5. 진단검사
2.6. 치료
2.7. 간호
3. 편마비 간호상황 사례
3.1. 간호상황
3.2. 간호진단
3.3. 간호과정
4. 핵심기본간호술
4.1. 관절가동범위운동
4.2. 욕창 예방
5. 참고 문헌
본문내용
1. 욕창 예방 및 관리 활동
1.1. 주제 선정 배경 및 필요성
욕창은 신체의 일정한 부위(주로 뼈 돌출부)에 압력, 마찰, 응전력이 결합한 압력이 지속적, 반복적으로 가해져 모세혈관의 순환장애로 인한 허혈성 괴사로 생기는 피부 또는 하부 조직의 손상상태를 말한다. 초기 발생 시 적절한 치료를 하지 않으면 감염, 패혈증, 골수염, 편평세포암종 등의 합병증을 초래하고, 사망 위험을 증가하게 한다. 또한 악화로 진행돼 환자의 안위 저하, 나아가 우울증, 위장질환, 근육약화 등을 동반할 수 있으므로 심리적, 정서적 영향을 끼친다.
이에 2022년 의료기관평가인증원은 '욕창으로 인해 환자에게 심각한 위해 발생'에 대한 환자안전 주의경보를 발령했다. 또한 2023년 질 관리 지표와 2021년 시설급여 평가지표에 욕창 발생률과 치유를 위한 욕창척도에 대한 평가를 제시하며, 2020년 노인요양시설 평가지표에 욕창 예방이 포함되는 등 욕창 예방 및 관리의 중요성이 나날이 높아지고 있다.
이에 본 QI 활동은 부동 및 무의식 환자, 65세 이상 고령 환자, 설사 환자, 15일 이상의 장기 입원 환자를 대상으로 24시간 이내에 욕창 발생의 고위험군을 정확히 사정하여, 욕창 발생 위험군(Braden 점수 18점 이하)에 대해 근무 중 체계적 예방 활동을 통하여 조기 예방 중재, 관리를 적용해, 입원기간 중의 욕창 발생 및 진행을 방지하며 적절한 관리 방법을 통해 욕창 치료 중인 환자에 대해서 치료 기간 단축을 위해 시작된 것이다. 이는 2023년에도 지속적 관리의 필요성으로 인식되어서 CQI로 진행되었다.
1.2. 목표설정
모 병원 33병동 욕창 QI팀이 설정한 욕창 예방 및 관리 활동의 목표는 다음과 같다"첫째, 욕창 간호 수행도를 전년도 대비 20% 이상 증가시킨다. 둘째, 욕창환자 발생율을 2개월 이내 0.3% 이상 감소시킨다. 셋째, 치유를 위한 욕창척도를 전년도 대비 5점 감소시킨다."이는 근거기반 실무지침과 선행연구를 참고하여 설정한 것으로, 욕창 발생 위험이 높은 대상자를 체계적으로 사정하고 예방 활동을 적용하여 욕창 발생 및 진행을 방지하고 치료 기간 단축을 목표로 한다"
1.3. 팀 구성 및 활동 내용
모 병원 33병동 욕창 QI팀은 총 24명으로 이 중에서 수간호사 1인, 계장 1인, 주임간호사 1인, 일반간호사 2인으로 각 5명으로 구성되어 있다"" 팀은 활동 계획안을 작성하고 3월부터 11월까지 욕창 예방 및 관리 활동을 진행하였다""
먼저 4월부터 6월까지 자료수집 및 설문지 작성을 진행하였다"" 이 기간 동안 욕창 위험도에 대한 사정과 개선활동 전 설문조사 및 현황 분석을 시행하였다""
이후 7월부터 10월까지 욕창 예방 및 관리를 위한 개선활동을 실시하였다"" 의료진 측면에서는 욕창 예방 및 관리 재교육, 욕창 측정표 사용법 교육, 내과 전문의와 욕창단계 및 상태에 따른 치료계획 수립 등의 활동을 진행하였다"" 환자 측면에서는 체위유지를 위한 신체보호대 사용, 욕창 발생 위험 부위 표시, 보호자 대상 욕창관리 교육 등을 실시하였다"" 환경 측면에서는 보호자와 요양보호사 대상 장비 기능 점검 및 사용법 교육, 스마트 기저귀 착용 안내 등이 이루어졌다""
10월과 11월에는 개선활동 후 설문조사와 현황 분석을 통해 활동 효과를 평가하였고, 11월에는 QI 보고서를 작성하여 발표하였다""
1.4. 평가 대상 및 자료 수집 방법
부동 및 무의식 환자, 65세 이상 고령 환자, 설사 환자, 15일 이상의 장기 입원 환자를 대상으로 하였다"" 자료 수집 방법은 욕창 발생 위험 사정도구(Braden scale)를 이용하여 욕창 발생 위험에 대한 사정을 실시하였다"" 1차 사정은 입실 당일에 실시하며, 매주 월요일 낮번 간호사에게 정기적인 사정을 실시할 수 있도록 하였다"" 사정 후 총점을 통하여 위험 수준(저, 중, 고)으로 판정하며 욕창 발생 여부도 사정하여 기록하였다"" 개선활동 전, 후의 설문조사는 간호사와 평가대상의 보호자에게 시행되며, 항목을 동일하게 적용하여 개선 효과평가에 용이하게 비교할 수 있도록 하였다"" 개선활동 전, 후의 현황분석은 욕창측정표에 따른 단계정도[개선활동 계획 자료참고], 목표설정 측정지표(욕창간호 수행도, 욕창환자 발생률, 욕창 치유 정도)로 비교하였다""
1.5. 현황 파악 및 관련 문제점
현황 파악 및 관련 문제점은 다음과 같다.
구조적 접근방법에 따르면, OO병원 33병동은 신경과, 정형외과, 소아청소년과 병동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총 63병상으로 운영되고 있다. 이 병동은 A, B, C팀으로 나뉘어 펑셔널 간호 체계를 이루고 있다. 병동의 대부분은 와상환자로 구성되어 있는데, 이는 뇌졸중으로 인한 편마비 환자와 골절 환자들이 다수를 차지하고 있기 때문이다. 간호사 스테이션은 메인스테이션 1개와 서브스테이션 1개가 있으며, 2년차 이상의 경력을 가진 간호사들로 구성되어 있다.
과정적 접근방법에 따르면, 병동에서는 욕창간호기록에 Braden scale, 욕창위험요인, 욕창사정, Pressure Ulcer Scale for Healing (PUSH) 도구, 사진, 예방 및 관리 항목을 포함하여 체계적으로 관리하고 있다. 또한 병동 욕창 QI팀에서는 욕창드레싱 시마다 욕창상태를 사진 촬영하고 기록하여 의료진과 공유하고 있다.
결과적 접근방법에 따르면, 욕창 발생율이 목표인 0.7% 이하를 달성하지 못한 것으로 나타났다. 총 22건의 욕창 발생이 있었으며, 이 중 33병동에서 4건, 81병동에서 1건, 71병동에서 3건, 61병동에서 4건, 62병동에서 3건, 7GICU에서 2건, EICU에서 5건이 발생하였다.
이에 대한 원인 분석 결과, 첫째로 인력부족으로 인한 업무량 과다, 둘째로 교육부족과 직원 간 의사소통 부족으로 인한 인식부족, 셋째로 와상환자가 다수이고 피부가 습한 환경으로 인한 욕창 고위...
참고 자료
노윤아(2019). 병동욕창전담간호사 주도의 욕창간호 알고리즘 개발. Korean J Adult Nurs. 2019 Aug;31(4):365-379.
유튜브. 욕창 개선을 통한 보호자 만족도 증대 활동 - 2020 효사랑 QI경진대회 결승
최신 기본간호학. 수문사.
사례로 보는 요양급여 적정성 평가 QI활동(2020). 건강보험심사평가원.
강소영,최은경,김진주,and 주미정. "중환자의 욕창 예방 연구." 한국의료질향상학회지 4.1 (1997): 50-63. 욕창 예방 QI팀을 중심으로.
병원간호사회의 근거기반 임상간호 실무지침(2022)
미국과 유럽의 욕창자문위원단과 범태평양욕창협의체(NPUAP, EPUAP&PPPIA)가 개발한 욕창실무지침의 권고안(2014)
박옥경.(2018).욕창 단계별 간호 프로토콜 기반 사례중심 교육 프로그램의 효과. 한국간호과학회 학술대회,(),215-215.
부산노인전문제2병원.2019년 QI활동 중간보고서.
윤은자 외 공저, 『성인간호학Ⅱ』, 수문사, 2019
박은영 외 공역(2015). 간호진단 중재 및 결과 가이드. 현문사
차영남 외 공저(2018). NANDA 간호진단과 중재 가이드. 현문사
강미정 외 공저(2020). 간호과정 실무지침. 서울대학교출판문화원
킴스온라인 http://www.kimsonline.co.kr/
드럭인포: https://www.druginfo.co.kr
약학정보원, “염산메트포르민정”,
http://www.health.kr/searchDrug/result_drug.asp?drug_cd=A11A1291A0232, 10.14
약학정보원, “아스피린 장용정”,
http://www.health.kr/searchDrug/result_drug.asp?drug_cd=A11AGGGGA5893, 10.14
약학정보원, “환인클로나제팜정”,
http://www.health.kr/searchDrug/result_drug.asp?drug_cd=2014020300003, 10.14
서울아산병원 의약품정보, “페니라민정”,
http://www.amc.seoul.kr/asan/healthinfo/druginfo/drugInfoDetail.do?odcd=PENI2&searchKeyword, 10.14
약학정보원, “페니라민정”,
http://www.health.kr/searchDrug/result_drug.asp?drug_cd=A11A0450A0085, 10.14
서울아산병원 의약품정보, “아디팜정”,
http://www.amc.seoul.kr/asan/healthinfo/druginfo/drugInfoDetail.do?odcd=ADIPAM10&searchKeyword=, 10.14
약학정보원, “아디팜정”,
https://www.health.kr/searchDrug/result_drug.asp?drug_cd=A11AFFFFF0070, 10.14
약학정보원, “로라반정”,
https://www.health.kr/searchDrug/result_drug.asp?drug_cd=A11ABBBBB1130, 10.14
네이버 지식백과 서울대학교 의학정보, “편마비”,
https://terms.naver.com/entry.naver?docId=927380&cid=51007&categoryId=51007, 10.14
서울아산병원, “뇌졸중”,
http://www.amc.seoul.kr/asan/healthinfo/disease/diseaseDetail.do?contentId=30518, 10.14
충남대학교병원 권역심뇌혈관질환센터, “뇌졸중”,
https://www.cnuh.co.kr/rcc/sub03_02.do, 10.14
질병관리청 국가건강정보포털, “뇌졸중”,
https://health.kdca.go.kr/healthinfo/biz/health/ccvdInfo/ccvcdInfo/cbvcacdInfoMain.do, 10.14
박혜선, “뇌졸중 후유증으로 나타나는 ‘편마비’ 증상은?”, 하이닥 뉴스, 2018.05.28., https://www.hidoc.co.kr/healthstory/news/C0000394108
박명화 외(2020), 노인간호학, 학지사메디컬
NursingSkills https://www.els-nursingskills.kr/Dashboard
명지병원 편측마비http://www.jcmj.co.kr/web/bbs/board.php?bo_table=c03&wr_id=195&page=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