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개글
"해피캠퍼스 표절"에 대한 내용입니다.
목차
1. 지식거래소와 맥도날드화
1.1. 지식 공유 커뮤니티의 발전
1.2. 해피캠퍼스와 지식의 맥도날드화
1.3. 지식거래소의 의의와 문제점
2. 글쓰기로 부업하기
2.1. 저자 소개
2.2. 책의 개요 및 주장
2.3. 독서와 글쓰기를 통한 부업 수익
2.4. 글쓰기 초보자와 고수를 위한 팁
2.5. 필명 사용의 장단점
3. 참고 문헌
본문내용
1. 지식거래소와 맥도날드화
1.1. 지식 공유 커뮤니티의 발전
최근 인터넷 상에서 지식을 주고받는 지식 공유 커뮤니티가 크게 유행하고 있다. 국내에서 가장 최초로 만들어진 지식 공유 커뮤니티는 지난 2000년에 만들어진 한겨레의 「디비딕」이다. '묻고 답하는 지식 커뮤니티'란 모토로 개설한 한겨레 디비딕은 개설 직후 사용자들의 폭발적인 참여로 100여개의 카테고리에 하루 수천 건의 질문과 답변이 올라오면서 급신장하였고, 이후 네이버의 「지식IN」, 엠파스의 「지식거래소」 등 잇달은 지식 공유 커뮤니티의 붐을 이끌어내었다. 지식 공유 커뮤니티의 특징은 기존 검색 엔진처럼 등록된 웹페이지를 뒤져 결과를 보여주는 게 아니라 네티즌들이 서로 궁금해하는 질문에 일일이 답변의 글을 적어놓는 방식이다. 지식 공유 커뮤니티는 한번 질문-답변한 것이 이후에도 계속 남아있고 지속적으로 검색이 가능하기 때문에 시간이 지날수록 지식이 축적된다는 점, 그리고 모든 참여자들이 그 자료를 공유할 수 있다는 점이 가장 큰 특징이다. 또한 가장 좋은 답변을 한 사람에 대해서 이익을 준다는 점이 이 지식 서비스가 크게 인기를 끈 요소라고 할 수 있다. 이처럼 지식 공유 커뮤니티는 기존의 일방적인 정보 제공 방식을 벗어나 참여자 간 쌍방향 소통을 통해 지식을 축적하고 공유하는 새로운 형태의 지식 플랫폼으로 자리잡았다.
1.2. 해피캠퍼스와 지식의 맥도날드화
해피캠퍼스와 지식의 맥도날드화는 지식 공유 커뮤니티의 발전 과정에서 나타난 특징이다. 해피캠퍼스는 지식을 상품화하여 거래하는 지식거래소로, 이는 지식의 맥도날드화라고 볼 수 있다.
해피캠퍼스는 2000년에 에이전트소프트의 김정태 사장에 의해 만들어진 지식거래소이다. 해피캠퍼스의 가장 큰 특징은 대학생 이상의 고급 인력이 주요 회원이라는 점과 회원들 간의 지식 공유가 유료로 이루어진다는 것이다. 해피캠퍼스에서 가장 많이 거래되는 것은 대학생을 대상으로 한 리포트이다.
해피캠퍼스에서 지식거래는 마치 패스트푸드 음식을 주문하는 것과 같은 방식으로 이루어진다. 소비자는 원하는 주제의 자료를 검색하고 다른 이용자의 평가와 가격 등을 고려하여 구매한다. 만약 원하는 자료가 없다면 새로운 질문을 올려 며칠 내에 자료를 받을 수 있다. 이러한 과정은 신속하고 효율적이라는 ...
참고 자료
맥도날드 그리고 맥도날드화 (조지 리처 저, 시유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