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개글
"금연사업"에 대한 내용입니다.
목차
1. 서론
1.1. 금연사업의 배경 및 필요성
1.2. 금연사업의 목적 및 목표
2. 국내 금연사업 현황
2.1. 국내 흡연 현황
2.2. 추진전략 및 방향
2.3. 세이프 약국 사업
2.4. 국내 금연지원서비스
2.4.1. 금연 환경조성
2.4.2. 보건소 금연클리닉 운영
2.4.3. 금연상담전화
2.4.4. 온라인 금연지원서비스
2.4.5. 지역금연지원센터 운영
2.4.6. 금연치료 건강보험 지원사업
2.4.7. 시도 단위 금연사업
3. 국외 금연사업 현황
3.1. 담배규제기본협약(FCTC)
3.2. 담배규제기본협약(FCTC) 이행전략 'MPOWER'
3.3. 세계 금연정책 동향
3.4. 국외 금연지원서비스 현황
3.5. 국외 금연사업 사례 연구
3.5.1. 미국
3.5.2. 호주
4. 금연사업의 방향성
4.1. 신종담배의 무분별한 시장진입 차단
4.2. 흡연자 금연지원서비스 참여 확대
4.3. 청소년 흡연예방 및 금연 교육 정책
4.4. 금연구역 지정 및 관리
4.5. 청소년 집중 흡연예방 교육
5. 참고 문헌
본문내용
1. 서론
1.1. 금연사업의 배경 및 필요성
흡연으로 인한 질병 및 사망 발생은 가장 큰 공중 보건 위협이 되고 있다. 세계보건기구에 따르면 전 세계적으로 흡연으로 인해 연간 800만 명 이상이 사망하고 있으며, 그 중 700만 명 이상이 직접 흡연으로, 약 120만 명이 비흡연자가 간접흡연에 노출되어 사망한 것으로 보고 있다. 모든 형태의 담배는 유해하며 안전한 노출 수준은 없다. 1980년 이후로 흡연율은 점차 감소하는 추세이나 흡연인구와 담배소비량은 증가해왔다. 현재의 추세가 지속될 경우 2030년까지 담배로 인한 사망자 수는 매년 약 천만 명에 이를 것으로 예상된다.
흡연은 자신의 건강을 해칠 뿐 아니라 주위 사람들의 건강에도 악영향을 미친다. 장기적인 간접흡연은 비흡연자의 폐암 발생 위험을 20~30% 증가시키며, 심장 질환의 위험도를 25~35% 높인다. 청소년의 경우 흡연이 20여년의 시간적 격차를 두고, 본격적으로 피해를 발생시킨다는 점에서 청소년 흡연은 특히 중요한 의미를 가진다. 따라서 우리나라 청소년의 높은 흡연율은 이들이 고령화되기 시작한 이후에 그 피해가 심각해지며, 이러한 흡연의 피해는 고령화와 더불어 상승 작용을 하게 될 것이다.
담배는 개인과 가정, 그리고 국가적으로 빈곤을 증가시킨다. 저소득층일수록 개인과 가정에서 담배를 구입하는 비용은 높은 기회비용이 될 수 있으며, 이는 저소득층이 담배를 구입하는데 비용을 지불함으로써 식량, 주거, 건강관리 등과 같은 필수항목에 비용을 지불하지 않게 됨을 의미한다. 또한, 담배가 원인이 되는 질환은 저소득층의 빈곤을 한층 더 악화시키는 결과를 초래한다. 흡연으로 인한 조기사망, 질병발생, 생산성 손실 등으로 인한 사회?경제적 손실은 2013년 기준으로 7조 1천2백억 원으로 추산되고 있으며 손실 규모가 점차 증가하고 있다.
그러나 흡연은 가장 예방 가능한 건강위해 요인으로 현재까지 다양한 금연사업을 펼쳐왔다. 그 결과 우리나라 성인 남성의 현재 흡연율은 1998년 66.3%, 2001년 60.9%에서 담배가격 인상(2004년?2015년), 금연구역 지정 및 확대, 금연 캠페인?홍보 등 강화된 금연정책 시행에 따른 금연 규범의 확산으로 2018년 조사 결과 36.7%까지 감소하였다. 그러나 우리나라의 만 15세 이상 남성 흡연율은 31.6%로 경제협력개발기구(OECD) 국가 중 가장 높은 수준이며 젊은 성인 여성의 흡연율은 증가하는 추세이므로 이에 맞는 금연사업이 필요하다.
1.2. 금연사업의 목적 및 목표
금연사업의 목적은 비흡연자의 흡연 및 간접흡연 예방을 위한 금연 환경을 조성하고, 흡연자의 금연지원서비스를 제공하여 흡연율을 감소시키고 건강증진을 도모하는 것이다.
세부 목표는 첫째, 흡연자 금연지원서비스 강화를 통해 2030년까지 성인남성흡연율 25.0%, 성인여성흡연율 4.0%까지 감소시키는 것이다. 둘째, 흡연경고그림, 금연구역 확대, 지자체 금연조례 제정 활성화 등 흡연규제 강화 및 비흡연자 간접흡연피해를 예방하는 것이다.
2. 국내 금연사업 현황
2.1. 국내 흡연 현황
우리나라 성인남성의 현재 흡연율은 1998년 66.3%, 2001년 60.9%에서 담배가격 인상(2004년~2015년), 금연구역 지정 및 확대, 금연 캠페인·홍보 등 강화된 금연정책 시행에 따른 금연 규범의 확산으로 2021년 조사 결과 31.3%까지 감소하여 1998년 이후 가장 낮은 수준을 보였다. 하지만 우리나라의 만 15세 이상 남성 흡연율은 31.6%로 경제협력개발기구(OECD) 국가 중 가장 높은 수준이며 젊은 성인 여성의 흡연율은 증가하는 추세이다. 우리나라의 성인여성 흡연율은 남성에 비해 낮게 보고되고 있으나 2021년 조사 결과 6.9%로 전년과 유사한 수준이다.
우리나라 청소년 흡연율은 2020년 4.4%(남자 6.0%, 여자 2.7%)로 지속적으로 감소하는 추세였으나 2021년 4.5%(남자 6.0%, 여자 2.9%)로 다시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학교 흡연예방교육 활성화, 청소년의 담배구매 금지 환경 조성, 담뱃값 인상 및 금연구역 확대 등 금연정책의 강화 및 사회적 인식변화를 위한 다양한 노력에도 불구하고 여전히 청소년 흡연이 지속되고 있음을 보여준다.
2.2. 추진전략 및 방향
현재 우리나라는 국가 흡연율 감소를 위해 정책적 접근과 함께 '생애주기별 특성에 맞게 흡연예방 및 치료 서비스제공과 연계'를 전략으로 하고 있다. 구체적으로 흡연자 대상의 금연사업은 1차 금연정책(자발적 금연 유도)과 2차 금연정책(금연지원)으로 나눌 수 있으며, 전자의 사업은 보건소의 금연클리닉, 국립암센터가 수행하는 금연상담전화와 온라인 금연지원서비스(금연길라잡이) 등이, 후자의 사업은 17개 지역금연지원센터의 찾아가는 금연지원서비스, 금연캠프 등과 의료기관의 금연치료 건강보험 지원사업 등이 있다. 또한, 금연환경을 만들기 위해 금연환경조성을 제도화하고 있으며, 다양한 대국민 홍보사업을 수행하고 있다. 한편, 서울시의 경우는 세이프 약국 사업을 통해 지역 내 흡연자에 대한 금연 의지를 높일 수 있도록 자치구 보건소의 금연클리닉과 연계해 금연지지 활동을 일부 약국에서 실시하고 있다. 지역에서 활동하는 다양한 보건복지 조직·단체는 소속된 회원 중 흡연자의 금연을 유도하기 위해 금연프로그램을 자체적으로 운영하거나 흡연자가 보건소 또는 의료기관을 방문하도록 안내하고 있다. 2019년 '흡연을 조장하는 환경 근절을 위한 금연종합대책'에 따른 중점 추진방향 및 전략으로는 ①흡연 조장 환경 근절을 통해 청소년?청년 시기의 흡연 적극 차단, ②궐련형 전자담배 등 신종담배에 대한 적극 대응, ③국민건강 보호를 위해 간접흡연 적극 차단, ④흡연예방교육 및 금연치료 강화, ⑤담배규제정책의 과학적 기반 마련 및 국제 협력 강화 등이 있다.
2.3. 세이프 약국 사업
세이프 약국 사업은 세밀하고 이용하기 편리한 건강관리 프로그램을 동네 약국에서 받는다는 의미로 각 첫 자를 따서 만들었다는 것이다. 세이프 약국으로 지정된 약국을 지속적으로 이용하는 경우, 약력관리, 자살예방 게이트키퍼, 금연 프로그램 등의 서비스를 받을 수 있다.
세이프 약국에서는 지역 내 흡연자에 대한 금연 의지를 높일 수 있도록 자치구 보건소의 금연클리닉과 연계해 금연지지 활동을 실시한다. 2013년 서울특별시 지원사업으로 시작한 세이프약국은 약사들에게 '약료(pharmaceutical care)'의 새 영역으로 자리잡고 있다.
보건소의 인력 부족 등 공공중심의 건강증진서비스 사업이 한계를 드러내면서 예방사업의 주체로서 약국의 역할이 주목받기 시작한 것이다. 약국은 지리적, 시간적, 심리적으로 접근성이 뛰어나고 처방의약품과 일반의약품, 생활습관까지 포괄적인 약력관리가 가능한 곳이기 때문이다.
2.4. 국내 금연지원서비스
2.4.1. 금연 환경조성
...
참고 자료
질병관리청 건강위해대응과. 세계보건기구 제8차 세계흡연실태보고서(WHO report on the global tobacco epidemic, 2021).
금연길잡이. 국외흡연현황·통계, 금연관련정책
보건복지부. 한국건강증진개발원. 2021년 지역사회 통합건강증진사업
Global Burden of Disease [database]. Washington, DC: Institute of Health Metrics; 2019.IHME, accessed 17 July 2021
Jha P. Avoidable deaths from smoking: a global perspective. Public Health Reviews. 2012;n33: 569-600
ASH. The health effects of exposure to secondhnad smoke, 2014 (www.ash.org.uk)
이미숙 등, 주요 건강위험요인의 사회경제적 영향과 규제정책의 효과 평가, 2015
양진욱, & 권경희. (2021). 국가별 무광고 표준담뱃갑 정책의 비교 분석: 담뱃갑과 담배 개비의 디자인 요소를 중심으로. 보건사회연구, 41(3), 23-38.
Borland, R., Wilson, N., Fong, G. T., Hammond, D., Comming K.M., & Yong, H. H. (2009). Impact of graphic and text warnings on cigarette packs: findings from four countries over five years. Tobacco Control, 18(5), 358~364
김현우. (2020). 금연 시도자의 금연지원서비스 이용 관련 요인. 보건정보통계학회지, 45(4), 349-355.
박지현, 이홍직, 김재인, 윤승태, & 박소연. (2019). 미국과 호주의 청소년 금연 정책과 프로그램에 대한 고찰. 한국웰니스학회지, 14(2), 123-135.
박은준, 김형수, 이건세, 조정희, 김진형, 정호진, & 이지안. (2022). 지역사회 기관 간 금연사업 네트워크 모델: 블록모델링을 중심으로.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52(2), 202-213.
서울특별시 보건의료 공공의료사업 세이프 약국 https://www.seoul.go.kr/main/index.js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