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내용
1. 상부위장관의 구조와 기능
1.1. 상부위장관의 구조
상부위장관은 구강, 식도, 위, 십이지장을 포함하고 있다"" 구강은 음식물과 수분을 섭취하는 통로이며, 미각을 느끼게 하는 수용체를 가지고 있다. 또한 28개의 치아와 2쌍의 사랑니가 있다. 구강 상부는 연구개와 경구개로 이루어져있으며 구강 저부에는 혀, 근육, 3쌍의 침샘인 설하선, 악하선, 이하선을 포함하며, 이하선이 가장 크다. 혀에는 미뢰를 포함해 유두라는 작은 돌기들이 있다"" 식도는 성인의 경우 길이가 약 20cm, 지름 약 2.5cm인 관으로 구강으로 들어온 음식물과 수분이 위로 이동하는 통로다. 식도는 기도 뒤에 있으며 횡격막 개구부를 거쳐 위로 연결된다"" 위는 근육으로 된 둥근 주머니로, 좌상복부(LUQ)에 위치하며 위바닥(기저부), 위몸통(체부), 날문부(유문부)로 구분된다. 식도와 위 사이에는 분문괄약근(식도괄약근), 위와 십이지장 사이에는 유문괄약근이 있다. 위는 복강동맥에서 혈액을 공급 받으며 정맥혈은 문맥을 통해 간으로 이동한다"".
1.2. 상부위장관의 기능
구강은 음식물과 수분을 섭취하는 통로이며, 미각을 느끼게 하는 수용체를 가지고 있다. 또한 28개의 치아와 2쌍의 사랑니가 있다. 구강 상부는 연구개와 경구개로 이루어져있으며 구강 저부에는 혀, 근육, 3쌍의 침샘인 설하선, 악하선, 이하선을 포함하며, 이하선이 가장 크다. 혀에는 미뢰를 포함해 유두라는 작은 돌기들이 있다"
식도는 성인의 경우 길이가 약 20cm, 지름 약 2.5cm인 관으로 구강으로 들어온 음식물과 수분이 위로 이동하는 통로다. 식도는 기도 뒤에 있으며 횡격막 개구부를 거쳐 위로 연결된다"
위는 근육으로 된 둥근 주머니로, 좌상복부(LUQ)에 위치하며 위바닥(기저부), 위몸통(체부), 날문부(유문부)로 구분된다. 식도와 위 사이에는 분문괄약근(식도괄약근), 위와 십이지장 사이에는 유문괄약근이 있다. 위는 복강동맥에서 혈액을 공급 받으며 정맥혈은 문맥을 통해 간으로 이동한다"
구강은 이하선, 악하선, 설하선의 3쌍의 타액선이 아밀라제로 구성된 타액 생산, 구인두는 연하를 돕는 점액 분비와 음식물 섭취 시 통로 제공, 식도는 근육층의 수축(연동운동)으로 위까지 음식물을 추진하고 하부 식도괄약근이 산성 위 내용물을 식도로 역류되는 것을 막아준다"
위는 음식 저장, 위분비액과 음식 혼합, 일정한 속도로 소장으로 배출하는 기능을 한다. 위는 장막층, 근육층, 점막층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점막층의 추벽 주름에서 영양분 섭취에 반응하여 위액을 분비한다. 위저부 선의 주세포는 펩시노겐을 분비하고 벽세포는 염산, 물, 내적 인자를 분비한다. 십이지장은 소화효소와 중화액을 분비하여 소화를 돕는다"
2. GERD(Gastro Esophagus Reflux Disease) 위식도역류질환
2.1. 원인
GERD(Gastro Esophagus Reflux Disease) 위식도역류질환의 원인은 크게 네 가지로 볼 수 있다.
첫째, 하부식도 괄약근의 이완이 GERD의 주요 원인이 된다. 이는 특별한 원인 없이 근육이 약화되거나, 근육병증, 임신, 흡연 등의 요인에 의해 발생할 수 있다. 또한 항콜린제, 평활근이완제 등 일부 약물의 부작용으로도 하부식도 괄약근의 이완이 유발될 수 있다. 외과적 손상이나 식도염 등의 이차적 원인으로 인해서도 하부식도 괄약근의 이완이 발생할 수 있다.
둘째, 위 내용물의 양 증가가 GERD의 원인이 된다. 식후, 유문부 협착, 위정체시, 위산 과다분비 상태 등에서 위 내용물의 양이 증가하게 되면 역류의 위험이 높아진다.
셋째, 위 내용물이 위식도 연결부위에 위치할 경우 역류의 위험이 증가한다. 눕거나 구부린 자세, 식도열공탈장 등이 이에 해당된다.
넷째, 횡격막 다리근육의 기능 부전 또한 GERD의 원인이 된다. 횡격막의 식도구멍을 둘러싼 근육이 제 기능을 하지 못하면 하부식도괄약근의 외부 장벽 역할이 부족해져 역류가 발생할 수 있다.
이와 같이 GERD의 다양한 원인들은 위산 역류의 양과 빈도, 식도 청소율, 타액 분비 등의 과정에 영향을 미쳐 궁극적으로 GERD의 발병과 악화를 초래하게 된다.
2.2. 병태생리
GERD(Gastro Esophagus Reflux Disease) 위식도역류질환의 병태생리는 다음과 같다.
위식도역류질환(GERD)의 병태생리는 크게 역류되는 양, 역류 빈도, 식도 청소율, 타액분비 감소 등 네 가지 요인으로 설명된다.
첫째, 역류되는 양은 위내용물의 양이 증가할 때 많아진다. 이는 식후, 유문부 협착, 위 정체시, 위산 과다 분비 상태 등에서 발생할 수 있다.
둘째, 역류 빈도는 하부 식도 괄약근의 이완 때문에 증가한다. 하부 식도 괄약근의 이완은 근육약화, 근육병증, 임신, 흡연, 특정 약물(항콜린제, 평활근이완제 등)에 의해 유발될 수 있다. 또한 외과적 손상이나 식도염에 의해 이차적으로도 발생할 수 있다.
셋째, 식도 청소율은 식도의 연동운동 저하로 인해 감소할 수 있다. 이는 역류된 산을 타액에 의해 중화시키는 기능을 저하시킨다.
넷째, 타액 분비 감소는 역류된 산을 중화시키는 능력을 떨어뜨려 역류질환을 악화시킨다.
이러한 요인들의 복합적인 작용으로 인해 GERD가 발생하며, 이에 따른 점막손상과 증상이 나타나게 된다.
2.3. 임상증상
임상증상은 흉부 작열감, 가슴앓이, 신맛 나는 물질의 구강 내 역류, 지속적인 연하곤란, 소화불량 등이 있다"".
이외에도 흉통, 만성기침, 후두염, 인두염과 같은 식도 외 증상도 나타날 수 있다"".
식도 내 역류된 위산의 영향으로 인해 발생하는 이러한 다양한 증상들은 환자의 삶의 질을 저하시킬 수 있다"".
2.4. 사정 및 진단
사정 및 진단"은 GERD(Gastro Esophagus Reflux Disease) 위식도역류질환의 진단을 위한 접근법을 다루고 있다. 먼저 사정자료에서는 환자의 과거력, 증상, 병력 등을 확인한다. 과거력상 위식도 역류질환, 식도 열공 탈장, 이완불능증, 바렛 식도 등이 있었는지를 확인하고, 흡연이나 음주력, 진행성 연하곤란, 연하통 등의 증상을 사정한다. 또한 통증의 양상, 숨막힘, 가슴앓이, 쉰 목소리, 식욕부진, 체중감소 등을 확인한다.
진단 시기는 증상이 지속되거나 치료에도 불구하고 증상이 있을 경우, 합병증이 생겼을 경우에 이루어진다. 진단을 위해 조영제 검사, 내시경 검사, 조직 생검 등이 활용된다. 조영제 검사를 통해 궤양이나 협착 등을 확인하고, 내시경 검사로 미란, 궤양, 바렛 식도 등의 소견을 확인할 수 있다. 또한 Bernstein 검사 등을 통해 산의 역류 정도를 평가할 수 있다.
이와 함께 식도 운동 검사로 하부 식도 괄약근 기능과 식도 운동 기능도 평가한다. 이를 통해 GERD의 병태생리를 규명하고 적절한 치료 방향을 결정할 수 있다. 따라서 GERD의 진단을 위해서는 다양한 검사 방법을 활용하여 환자의 증상, 병력, 검사 소견 등을 종합적으로 고려해야 한다"는 것이다.
2.5. 치료와 간호
GERD(Gastro Esophagus Reflux Disease)의 치료 목적은 증상 호전과 합병증 예방이다. 비약물적 방법으로 체중감소, 취침 시 높은 베개 사용, 복압 상승 인자 제거, 생활습관 변화(금연, 제한 음식 섭취, 제한 약물 복용 등)를 권장한다.
약물요법으로는 H2 수용체 차단제와 proton pump inhibitor(PPI)를 사용한다. H2 수용체 차단제는 히스타민의 작용을 차단하여 위산 분비를 억제하고,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