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개글
"자연분만 간호과정"에 대한 내용입니다.
목차
1. 자연분만 NSVD(Normal Spontaneous Vaginal Delivery)
1.1. 자연분만이란
1.1.1. 정의
1.1.2. 분만전구증상
1.1.3. 분만단계
1.2. 산부간호 자료수집
1.3. 약물
1.4. 간호진단 및 중재
1.4.1. 자궁수축과 관련된 통증
1.4.2. 태아 만출과 관련된 비효율적 대응
1.4.3. 분만과 관련된 지식부족
1.4.4. 산후 감염과 관련된 고체온
1.4.5. 회음부 절개와 관련된 급성 통증
2. 참고 문헌
본문내용
1. 자연분만 NSVD(Normal Spontaneous Vaginal Delivery)
1.1. 자연분만이란
1.1.1. 정의
자연분만은 산부가 거의 만삭(임신 38-42주)에 이르고 합병증 없이 한 명의 태아를 두정위로 24시간 이내에 질을 통해서 분만하는 것을 말한다.""
1.1.2. 분만전구증상
분만 전구증상이란 분만이 임박했음을 나타내는 증상들이다. 첫번째로 하강감(Lightening)은 분만 2~4주 전에 태아의 두부가 골반 내로 이동하면서 나타나는 증상이다. 이로 인해 자궁저부가 낮아져 횡경막 압박이 감소되어 호흡이 편안해지고 위장 압박이 완화되지만, 반대로 골반과 방광 압박이 증가하여 빈뇨, 하지 경련, 질 분비물 증가 등이 나타난다.
다음으로 가진통(False labor)은 불규칙적인 자궁 수축이 반복되면서 심한 불편감을 나타내는 증상이다. 가진통은 규칙성이 없고 이슬을 동반하지 않으며 자궁경관 개대가 없어 분만으로 이어지지 않는다는 특징이 있다. 가진통은 걸어다니면 오히려 증상이 완화되나, 진진통은 걸어다니면 더 악화되는 차이가 있다.
셋째, 이슬(show)은 분만이 임박했음을 알려주는 증상이다. 태아의 선진부가 하강하면서 자궁경관의 미세 혈관들이 압박되어 파열되어 나온 혈액이 임신 중에 자궁경부를 막고 있던 점액마개와 섞여 나오는 혈성 점액질이 관찰된다.
넷째, 양막 파열(Rupture of membrane)은 분만의 시작을 알리는 신호가 된다. 양수를 싸고 있는 막이 파열되면 대부분 24시간 이내에 분만이 시작된다. 하지만 이로 인해 제대 탈출의 위험성과 자궁 내 감염의 위험성이 증가하므로 감염 여부를 확인하고 적극적으로 유도 분만을 실시해야 한다.
마지막으로 자궁경부의 변화로, 분만 전 경관이 부드러워지고 개대되며 1~2cm 정도 열리게 된다. 이를 경관의 연화(ripening)라고 하며 이는 자궁수축으로 인해 경관 내구가 자궁하부 내로 끌려 올라가면서 나타나는 현상이다.
이처럼 분만 전구증상들은 분만 임박을 알려주는 중요한 지표들이며, 산모와 태아의 상태를 파악하고 적절한 간호중재를 제공하는데 활용된다.
1.1.3. 분만단계
분만 단계는 규칙적인 자궁수축부터 태반 만출까지를 말한다. 분만 1기는 자궁수축이 시작되어 경관이 완전히 개대되는 단계이다. 이 단계는 잠재기, 활동기, 이행기로 나뉜다. 잠재기에는 자궁수축이 약하고 불규칙하며, 활동기에는 더 규칙적이고 강해진다. 이행기에는 수축이 매우 강해져 경관이 완전히 개대된다.
분만 2기는 경관의 완전 개대부터 태아가 만출되는 단계이다. 태아의 하강, 내회전, 신전 등의 분만기전이 일어나며, 회음부 팽륜과 배림, 발로 등이 관찰된다. 산모는 자궁수축에 맞춰 힘줄기를 반복한다.
분만 3기는 태아 만출 직후부터 태반 만출까지의 단계이다. 태반 박리와 양막-융모막의 분리가 일어나고, 자궁근이 수축하여 태반이 배출된다.
분만 4기는 태반 만출 후 2-4시간 동안으로, 이 시기에 자궁...
참고 자료
김금자(2013), 간호진단과 중재 가이드 제 2판, 현문사
나성훈(2015), 안전한 유도분만, 대한산부인과학회
박미경(2012), 산후관리 및 산후지식이 산후회복에 미치는 영향, 한국모자보건학회
성미혜(2015), 비판적 간호과정의 적용, 수문사
이선영(2011), 모유수유 중 발생하는 젖몸살에 대한 고찰, 한국한의학연구원
이영숙 외 2명(2014), 여성건강간호학 Ⅰ, 현문사
차영남(2013), NANDA 간호진단과 중재 가이드, 현문사
하영수(2016), 여성모성간호학1, 신광출판사
드럭인포, Medicines search, 의약품정보검색사이트
제9판 여성건강간호학Ⅱ, 여성건강간호교과연구회, 수문사, 2018
근거기반간호 간호과정, 성미혜 외, 수문사, 2019
약학 정보원, “Rukasyn, Oxytocin, Tylenol”
https://www.health.kr/
아산병원 의료정보, “산욕열”
http://www.amc.seoul.kr/asan/healthinfo/disease/diseaseDetail.do?contentId=31975
국가건강정보포털 의학정보, “자연분만과정”
https://health.kdca.go.kr/healthinfo/biz/health/gnrlzHealthInfo/gnrlzHealthInfo/gnrlzHealthInfoView.d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