혼화재를 사용한 콘크리트배합설계

  • 1
  • 2
  • 3
  • 4
  • 5
  • 6
  • 7
  • 8
  • 9
>
최초 생성일 2024.10.08
8,000원
AI자료를 구입 시 아래 자료도 다운로드 가능 합니다.
새로운 AI자료
생성
다운로드

상세정보

소개글

"혼화재를 사용한 콘크리트배합설계"에 대한 내용입니다.

목차

1. 콘크리트
1.1. 콘크리트 개요
1.2. 콘크리트 분류
1.3. 콘크리트의 구성 재료
1.4. 콘크리트의 화학적 특성

2. 콘크리트 배합설계
2.1. 콘크리트 배합설계 개요
2.2. 배합설계 방법
2.3. 배합 표시법
2.4. 배합설계 과정
2.5. 경제적으로 콘크리트를 배합설계 하는 방안

3. 사례: e-편한세상 대림아파트
3.1. 공사 개요 및 서론
3.2. 초지연 콘크리트
3.3. 실험 계획
3.5. 실험결과 및 분석
3.6. 결론

4. 참고 문헌

본문내용

1. 콘크리트
1.1. 콘크리트 개요

콘크리트는 가장 보편적이고 많이 사용되고 있는 건축 재료이며, 목재, 강재, 석재와 더불어 구조용 재료로서 중요한 위치를 차지하는 재료이다. 시멘트, 배합수, 잔골재 및 굵은골재 그리고 필요에 따라 성능 개선에 필요한 혼화재료를 적절한 비율로 섞어서 만든다. 로마 시대에 화산회와 석회석을 써서 만든 것이 시초라고 하나, 19세기에 포틀랜드 시멘트의 발명에 따라서 생산과 시공 기술이 발달되어 왔으며 이후 약 150년간 구조용 재료로써 널리 쓰여져 왔다. 근년에는 댐이나 도로포장, 교량 등의 토목공사나 건축용 구조 재료의 중심이 되고 있다. 콘크리트를 배합(Mix proportion)하고 이를 비비고(Mixing) 타설(Casting)하고 나면 수화반응(Hydration)이 일어나며 굳기 시작하고(Setting) 강도 발현(Hardening) 과정으로 이어진다. 콘크리트 타설 후 균질한 수화 반응을 유도하여 강도 발현 시키는 과정을 양생(Curing)이라고 한다. 콘크리트에 굵은골재를 사용하지 않는 것을 모르타르, 골재를 사용하지 않는 것을 시멘트 페이스트라고한다. 일반적으로 콘크리트 체적의 약 70%는 골재이고, 나머지 30%가 시멘트 페이스트이다. 시멘트 페이스트는 골재 사이의 공극을 채우는 역할을 하며, 굳지 않은 콘크리트에서는 콘크리트의 유동성을 갖게 하고 굳은 콘크리트에서는 골재와 결합하여 강도를 발휘한다. 콘크리트는 굳지 않은 상태에서는 작업에 적합한 워커빌러티를 가져야 하고, 굳은 상태에서는 설계시 의도한 강도, 내구성, 수밀성 및 강재 보호 성능을 가지고 균질 하여야 한다. 구조체를 만들 경우 철근을 넣어 강도를 높이는 것 이 일반적이다. 콘크리트의 장점은 다른 재료에 비하여 압축 강도가 크다는 것이다. 또한 내구성, 내화성, 내수성, 차음성 등이 양호하며, 형태나 크기에 제한을 받지 않고 형상화가 용이하다. 구성 재료의 적절한 배합에 따라 필요에 의한 임의의 강도를 만들 수가 있으며, 다른 구조 재료에 유지 관리비가 저렴하다는 것 또한 콘크리트의 장점이라고 할 수 있다. 그에 반해 단점은 자중이 무겁고 인장강도와 휨강도가 적다는 것이다. 또한 경화시 수축성이 있어 균열이 발생하며 보수나 철거가 어렵다는 점이 있다.


1.2. 콘크리트 분류

콘크리트의 분류는 다양한데, 무근 콘크리트, 철근 콘크리트, 레디믹스드 콘크리트, 경량 콘크리트,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노출콘크리트, ALC 등이 있다"

무근 콘크리트는 철근 등 보강재를 사용하지 않은 콘크리트이며, 철근 콘크리트는 콘크리트의 약한 인장강도와 전단력을 보강하기 위해 철근을 사용한 것이다. 레디믹스드 콘크리트는 제조공장에서 미리 제조된 콘크리트를 사용 현장까지 공급하는 것으로, 정확한 배합설계와 품질관리, 공기 단축 등의 장점을 가진다. 경량 콘크리트는 경량 골재나 기포를 사용하여 중량을 낮춘 것으로, 열전도율이 낮고 내화성, 방음효과가 우수하다. 프리캐스트 콘크리트는 공장에서 제작한 기성 콘크리트 부재를 현장에 설치하는 방식이며, 노출콘크리트는 콘크리트 표면을 마감재로 활용한 것이다. ALC는 고온 고압의 증기양생을 통해 제작한 경량기포 콘크리트로, 내화성, 단열성, 중량이 가벼워 차음성과 평활성이 뛰어나다"


1.3. 콘크리트의 구성 재료

콘크리트의 구성 재료는 다음과 같다.

용수는 콘크리트에 쓰이는 용수로서 깨끗한 것으로 기름, 산, 알칼리, 유기불순물 등이 없어야 한다. 해수는 철근을 부식시킬 수 있으므로 사용해서는 안된다.

시멘트는 넓은 뜻으로는 물질과 물질을 접착하는 물질을 의미하지만 일반적으로 토목용이나 건축용의 무기질의 결합경화제를 뜻한다. 이 중에서도 오늘날 흔히 시멘트로 불리는 것은 포틀랜드 시멘트이다. 포틀랜드 시멘트의 성분은 석회석 CaO(60~65%), 규석 SiO2(20~25%), 점토 Al2O3(4~8%)이다. 생산은 재료를 각각 굵게 부순 후 계량하여 혼합하고 회전로에서 1,450℃로 소성한 뒤 냉각하여 clinker를 만든 후 3%의 응결제(석고)를 첨가하고 분쇄하여 포장한다. 주요 종류로는 보통 포틀랜드 시멘트, 조강 포틀랜드 시멘트, 중용열 포틀랜드 시멘트 등이 있다.

골재는 모래, 자갈, 쇄석(부순돌), 슬래그 등을 칭하는 것으로서 콘크리트를 만들기 위한 시멘트, 물과 함께 경화하는 재료를 말한다...


참고 자료

홍성인 외2명. (2019). 혼화재 혼입 특성별 강섬유 보강 모르타르의 공극분포 및 염분확산 평가
류두열 외3명.(2012). 섬유 보강재로 외부 보강된 강섬유 보강 콘크리트 슬래브의 충격저항성능 평가
조성회 외5명.(2021). 강섬유의 구조적 파라미터에 따른 콘크리트의 전자파 차폐효과 분석
최연왕 외3명.(2008). 강섬유가 혼입된 고유동 자기충전 콘크리트의 유동 및 강도 특성
신선철 외3명.(2022). 전자기장을 이용하여 강섬유를 원주방향으로 배열시킨 원통형 몰탈의 Double Punch인장강도
문도영.(2019). SRM을 이용한 몰탈내 강섬유의 배열조정
서성탁.(2012). 섬유보강 콘크리트의 물리적 특성에 관한 기초적 연구
박태훈 외3명.(2018). 섬유보강 콘크리트 실기둥에서 Micro-CT를 이용한 섬유 위치분포 분석
백대일.(2021). 강섬유 혼입량에 따른 섬유 보강 콘크리트의 건조수축 특성
한국건설기술연구원. 자기충전형 고유동 섬유 보강 콘크리트의 배합설계 방법. 10-0842823, (2007.07.18), (2008.06.25)
한국콘크리트학회 “최신콘크리트 공학”기문당, 서울, 2005
김성도외 2명.(2015). 강섬유 혼입량이 철근 부식저항성능에 미치는 영향
https://m.blog.naver.com/tntbyj/220633925428
토목재료 및 실험(02.콘크리트 배합_20131111).pdf
https://ko.wikipedia.org/wiki/%EC%BD%98%ED%81%AC%EB%A6%AC%ED%8A%B8%EC%9D%98_%EB%B0%B0%ED%95%A9%EC%84%A4%EA%B3%84
https://civileng7.tistory.com/category/%EC%BD%98%ED%81%AC%EB%A6%AC%ED%8A%B8
https://sgmall77.tistory.com/1410
신동대, 「신기술공법을 적용한 e-편한세상 대림아파트 신축 공사현장의 콘크리트 품질향상에 관한 감리사례」, Construction Management News

주의사항

저작권 EasyAI로 생성된 자료입니다.
EasyAI 자료는 참고 자료로 활용하시고, 추가 검증을 권장 드립니다. 결과물 사용에 대한 책임은 사용자에게 있습니다.
AI자료의 경우 별도의 저작권이 없으므로 구매하신 회원님에게도 저작권이 없습니다.
다른 해피캠퍼스 판매 자료와 마찬가지로 개인적 용도로만 이용해 주셔야 하며, 수정 후 재판매 하시는 등의 상업적인 용도로는 활용 불가합니다.
환불정책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