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내용
1. 만성신부전
1.1. 정의
만성신부전은 노폐물을 제거하는 신기능이 지속적으로 감소하여 정상으로 회복될 수 없는 단계의 질환을 의미한다. 즉, 신장이 제 기능을 유지하지 못하는 상태를 말하며, 남아 있는 신장 기능은 시간이 경과하면서 점차 저하되어 결국은 신대체요법(투석이나 신이식술)이 필요한 말기 신질환으로 진행하게 된다."
1.2. 원인 및 병태생리
1.2.1. 원인
만성신부전의 주요 원인은 당뇨병과 고혈압이다. 당뇨병은 가장 대표적인 만성신부전의 원인으로, 약 35-45%의 환자에게서 나타난다. 당뇨병은 신장 내 미세혈관 손상을 유발하여 점진적으로 신장 기능을 저하시킨다. 고혈압 또한 신장 혈관의 압력 증가로 인한 신장 손상을 초래하여 만성신부전의 두 번째로 흔한 원인이 된다. 이 외에도 사구체신염, 낭성신질환, 유전성 신질환, 요로감염, 신장결석, 방사선 노출 등이 만성신부전의 원인으로 작용할 수 있다. 만성 사구체 손상과 세뇨관 및 간질의 손상, 신혈관의 변화 등이 점진적으로 진행되면서 결국에는 비가역적인 말기 신부전에 이르게 된다. 이처럼 만성신부전은 다양한 원인에 의해 발생하며, 정확한 진단을 통해 원인을 규명하고 이를 바탕으로 한 치료가 필요하다.
1.2.2. 병태생리
만성신부전의 병태생리는 다음과 같다.
만성신부전은 콩팥 단위가 점진적으로 파괴되어 기능이 서서히 감소하는 상태이다. 이에 따라 사구체 여과율과 신장의 청소 능력이 감소하여 혈액 내 요소질소와 크레아티닌 수치가 상승한다. 콩팥 단위가 비대해지고 요 농축 능력이 저하되면서 다량의 희석된 요를 배출하게 되므로 체액이 부족해진다. 또한 요세관의 전해질 재흡수 능력이 점차 상실되면 요에 다량의 염분이 섞여 배설되면서 다뇨가 악화된다.
이후 콩팥 손상이 더 악화되고 기능하는 콩팥 단위의 수가 감소하면 사구체 여과율은 더욱 감소하여 수분, 염분, 노폐물을 제대로 제거할 수 없게 된다. 이에 따라 수분, 전해질 및 요독 물질의 배설 장애가 나타나며, 말기 신부전에 이르게 된다.이와 같이 만성신부전은 서서히 진행되는 질환으로, 신장 기능이 점차 저하되면서 수분과 전해질 균형, 노폐물 배출 등의 생리적 기능이 점차 손상되어 가는 과정이다. 이에 따라 체내 요독 물질의 축적, 체액량의 불균형, 전해질 이상 등의 증상이 나타나게 된다.
초기에는 뚜렷한 증상이 없지만, 신장 기능이 악화되면서 피로감, 식욕부진, 구토 등의 요독증상이 발생하고, 말기에는 호흡곤란, 부종 등의 증상이 더욱 심해진다. 이러한 증상들은 생명을 유지하기 위해 투석이나 신장 이식 등의 신대체 요법이 필요한 수준까지 진행되는 것을 의미한다.
1.3. 단계별 신장기능 평가
만성신부전은 신장기능의 단계적 감소에 따라 5단계로 구분되며, 각 단계별로 신장기능 평가와 관리가 필요하다"."
1단계는 신장기능 검사상 정상 혹은 소변 검사 상 이상이 관찰되는 단계로, 사구체여과율이 90 mL/min/1.73m2 이상이다"." 이 단계에서는 기저질환을 관리하고 신장기능의 변화를 주기적으로 관찰해야 한다"."
2단계는 신장의 손상이 있고, 사구체여과율이 60-89 mL/min/1.73m2인 단계이다"." 이 단계에서는 신장 기능 저하의 원인을 파악하고 진행을 억제하기 위한 치료가 필요하다"."
3단계는 사구체여과율이 30-59 mL/min/1.73m2로 신장 기능 감소에 따른 합병증 발생 여부를 검사하고 치료해야 하며, 진행 여부를 주기적으로 관찰해야 한다"."
4단계는 사구체여과율이 15-29 mL/min/1.73m2로 신장내과 의사의 진료를 받고 투석 방법 및 이식에 대한 준비를 해야 한다"."
5단계는 콩팥기능상실로, 사구체여과율이 15 mL/min/1.73m2 이하인 경우로 혈액투석, 복막...