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개글
"결혼이주여성 사회복지와 문화다양성"에 대한 내용입니다.
목차
1. 서론
2. 이주민과 다문화 사회
2.1. 한국의 다문화 현황
2.2. 다문화 사회 정착의 필요성
3. 문화다양성의 개념과 모델
3.1. 차별적 배제 모델
3.2. 동화주의 모델
3.3. 다문화주의 모델
4. 결혼이주여성 관련 TV 프로그램
4.1. KBS '이웃집 찰스'
4.1.1. 프로그램 개요
4.1.2. 모델별 특성 분석
5. 다문화 사회 통합을 위한 제언
5.1. 차별 해소 및 다양성 존중
5.2. 문화 간 교류와 상호작용 증진
5.3. 정책 및 제도 개선
6. 참고 문헌
본문내용
1. 서론
한국은 다문화 국가를 이루고 있어 전 세계인들이 한국에 많이 이주해 오고 있다. 특히 한류열풍으로 인한 외국인의 유입은 갈수록 증가할 것으로 보인다. 현재 지구촌은 세계화 글로벌화 시대를 맞이하여 많은 외국 사람들이 한국을 방문하고 있으며, 그들 중에서는 한국에 정착하여 다문화가정을 이루고 있는 사람들도 점차 증가하고 있는 추세이다. 현재 우리나라의 다문화인구는 100만 명이 넘어서고 있고, 이 가운데 이주여성만 12만 여명에 이르고 이들이 낳은 다문화 가정의 아이들이 5만8천여명에 이른다는 통계다. 이는 앞으로도 계속 늘어날 것으로 보이며, 5가구 중 1가구가 다문화 가정이 될 것이라는 전망도 나오고 있다. 이에 따라 정부적인 차원에서 외국을 수용하기 위한 다양한 정책을 내놓고 있으며 한국인들의 외국인을 수용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티비 프로그램도 많이 제작되고 있다.
2. 이주민과 다문화 사회
2.1. 한국의 다문화 현황
한국의 다문화 현황은 꾸준히 증가하고 있다. 최근 10년간 한국에 체류 중인 외국인이 점차 증가하고 있으며, 국내 이주민 집단에는 이주노동자 및 국제결혼으로 인한 여성 이민자가 많은 수를 차지하고 있다. 1989년 해외여행 전면 자유화와 1992년 농촌 총각 장가보내기 등의 영향으로 국내에 해외 이주민이 유입되기 시작하였다. 과거에는 '결혼이주민'이 농촌 총각, 개발도상국, 불법체류자, 까만 얼굴 등 부정적인 이미지가 강했지만, 세계화로 인하여 현재 다문화가족은 이러한 이미지와 상반된 경우도 많다. 지난 10년간 우리나라에 체류 중인 외국인이 점차적으로 늘어나고 있으며, 현재 다문화인구가 100만 명을 넘어섰고, 이 가운데 이주여성만 12만여 명에 이르며, 이들이 낳은 다문화 가정의 아이들이 5만8천여 명에 이르는 등 앞으로도 계속 증가할 것으로 전망된다. 5가구 중 1가구가 다문화 가정이 될 것이라는 전망도 나오고 있다.
2.2. 다문화 사회 정착의 필요성
다문화 사회 정착의 필요성은 점점 더 증대되고 있다. 첫째, 세계화와 국제화의 추세에 따라 국내 이주민 인구가 꾸준히 증가하고 있기 때문이다. 특히 국제결혼과 외국인 노동자 유입으로 인해 다문화가족이 급속도로 늘어나고 있는 추세이다. 다양한 출신국가와 문화적 배경을 가진 사람들이 한국 사회에서 공존하고 있는 만큼, 이들에 대한 이해와 포용이 중요해지고 있다.
둘째, 다문화가족 구성원들의 안정적인 정착과 사회통합을 위해서다. 국제결혼 이주여성들은 언어와 문화적 차이로 인해 한국 사회에 적응하는데 많은 어려움을 겪고 있다. 이로 인한 가정불화, 자녀양육 문제, 경제적 어려움 등이 발생하고 있다. 이에 대한 정부와 지역사회의 체계적인 지원 정책이 필요하다.
셋째, 다문화 사회 구현을 통해 사회의 생산성과 창의성을 제고할 수 있기 때문이다. 다양한 문화와 배경을 가진 사람들이 함께 공존하는 사회는 사회 전반의 활력을 높일 수 있다. 서로의 문화와 지식을 공유하며 새로운 아이디어와 혁신을 창출할 수 있다. 따라서 다문화 사회의 정착은 사회 발전을 위한 필수적인 과정이라고 할 수 있다.
3. 문화다양성의 개념과 모델
3.1. 차별적 배제 모델
차별적 배제 모델은 사회의 요구와 이익에 따라 소수 집단을 차별적으로 수용하거나 거부하는 모델이다. 이 모델은 소수 집단의 문화적 특성을 수용하거나 존중하지 않고, 외부인으로 간주하여 배제하는 양상을 보인다. 소수 집단은 주류 집단의 문화에 동화되도록 요구받지 않지만, 대신 정치적, 경제적, 사회적 영역에서 억압과 차별을 겪게 된다. 차별적 배제 모델은 소수 집단에...
참고 자료
미니다큐 |나는 한국인의 아내입니다 |#결혼이주여성”, KBS 다큐, YouTube, 2020.06.05. :: https://youtu.be/ZMnpMfuE5u8?si=r3SG1EEqjK3ZkQ0-
이민자 국가 미국의 사회통합 문제와 종교성(religiosity): 용광로(melting pot) 모델과 호레이스 칼렌(Horace Kallen)의 비판을 통해. 김지훈. 서울대학교 통일평화연구원 통일과 평화. 2022,
사회복지와 문화다양성. 이현숙,김영애. 출판문화원, 2023.
이주자와 다문화주의, 김현미, 연세대학교 사회발전연구소. 2008,
한국 이민자 사회통합프로그램(KIIP)의 이해관계자 경험에 관한 사례연구. 전경미, 인하대학교 대학원 일반대학원. 2019
국제결혼 이주여성의 사회문화 적응에 관한 연구, 최운선, 숙명여자대학교, 2007
공용(2022), 사회복지와문화다양성, 강의수강 후 인상적인내용 3가지선택하여 다문화사회정착을 위한 사회통합방안
공용(2017), 다문화교육론교육기관 진행된 교육프로그램이나 매체활용 강의 선정해 다문화교육 관점에서 분석
김남국(2005). 다문화시대의 시민: 한국사회에 대한 시론, 국제정치논총 45집 4호
김은미·양옥경·이해영(2009). 다문화 사회, 한국. 서울: 나남.
구견서(2003). 다문화주의의 이론적 체계. 현상과 인식. 2003 가을.
구범모(1996). 21세기와 민족문화. 한국정신문화연구원(편). 세계화와 민족문화의 발전. 서울: 한국정신문화연구원.
양병수, 2019, 해럴드저널, 다문화 사회의 다문화 교육 어떻게 할까?"다문화 가정도 사회의 구성원 인식 필요
엄한진(2011). 다문화사회론, 소화.
전경옥(2010). 다문화사회의 학교 내 다문화교육에 관한 연구: 미국 캘리포니아 주 공립학교 다문화교육 사례를 중심으로. Journal of Social Paradiam Studies, 25(2), 41∼76.
사회복지와 문화다양성(2023) 이현숙, 김영애 KNOUPRESS. 1장, 2장 참조
멀티미디어 강의 1강, 2강 참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