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내용
1. 응급상황 대처
1.1. 심장정지
1.1.1. 심장정지의 정의
심장정지란 심장이 효율적으로 수축하는데 실패하여 혈액의 일반적인 순환계가 멈추는 현상이다. 원인에 관계없이 심장의 박동이 정지되어 발생하는 일련의 상태를 말한다."
1.1.2. 심장정지의 진단
심장정지의 진단은 다음과 같다. 요골동맥, 경동맥, 대퇴 동맥의 맥박 소실과 청진 상 심음의 소실, 급작스런 창백이나 청색증 발생, 돌연한 동공 산대, 호흡 정지, 경련, 발작, 의식 소실을 통해 확인할 수 있다. 심전도에서는 부전 수축(asystole)이나 심실세동(Ventricular Fibrilation)으로 나타난다. 환자의 움직임과 반응이 없으면 경동맥을 10초간 확인하여 경동맥이 촉지되지 않으면 CPCR을 시작하고, 경동맥이 촉지되면 5~6초마다 인공호흡과 2분마다 맥박을 확인한다."
1.1.3. CPCR(cardiopulmonary cerebral resuscitation)의 목적
CPCR(cardiopulmonary cerebral resuscitation)의 목적은 기도를 확보하고 호흡을 유지하여 조직의 대사과정에 필요한 산소를 공급하며, 조직의 대사 결과 생성된 탄산가스를 적절히 배출함으로써 뇌의 비가역성 손상을 예방하고 치료하여 사회로 복귀시키는 것이다."
1.1.4. CPCR(cardiopulmonary cerebral resuscitation)의 단계 및 대처
CPCR(cardiopulmonary cerebral resuscitation)의 단계 및 대처는 다음과 같다.""
① 반응의 확인 - 환자 접근 전 현장 상황이 안전하다고 판단되면 환자에게 다가가 어깨를 가볍게 두드리며 "괜찮으세요?"라고 물어본다. 의식이 있다면 환자는 대답을 하거나 움직이거나 또는 신음 소리를 내는 것과 같은 반응을 나타낸다. 확인하는 동안에 쓰러져 있는 환자의 머리나 목의 외상이 의심되면 손상이 더 악화되지 않도록 불필요한 움직임을 최소화한다.""
② Call the help - 쓰러진 사람이 반응이 없으면, 즉시 원내 심정지 코드 방송(6000번)에 방송 요청하고 제세동기를 요청한다.""
③ positioning - 환자의 등 밑에 CPR board를 넣고 supine position을 취한다.""
④ C-A-B-D-E-F - C (circulation) 순환보조, cardiac massage / A (airway) 기도 확보 및 유지 / B (breathing) 응급환기 및 산소공급 / D (drug & fluid) 약제, 수액요법 / E (electrocardiography) 심전도 진단 / F (fibrillation treatment) 세동치료(defibrillation)""
(1) Arrest 확인되면 발견자는 code blue 외치고 CPCR 시행""
(2) 역할분담 : CPCR 시 역할분담을 통해 효율을 높인다.""
- 팀 차지(nurse) : 6000번 연락하여 code blue 방송, 환자 확인 후 담당의(당직의) & 인턴 call""
- 팀 리더(doctor) : 본인이 '팀 리더'임을 알리고 분담된 업무가 잘 이루어지는지 전반적 상황 control, 2분마다 환자의 심전도 리듬과 맥박을 확인하고 CPCR 지속 여부를 판단, 필요한 응급 약물 지시""
- 간호사1 : E-cart & 제세동기 준비, 모니터 연결""
- 간호사2 : IV & drug, 3분 간격 epinephrine 투여""
- 간호사3 : airway 확보, suction & O₂ supply""
- 담당 간호사(document) : CPCR 시간, 활력징후, 투약 기록, 2분마다 CPCR 시행 알림""
(3) C (circulation) : 호흡, 맥박 확인, CPR 방법 수행""
(4) A (airway) & B (breathing) : Airway 목적, 사용방법, Bag valve mask 목적, 사용방법, Intubation 목적, 적응증, 합병증, 준비물품 및 절차""
1.2. 중심정맥압(CVP) 측정
1.2.1. CVP의 정의
CVP(Central Venous Pressure)의 정의는 전신순환으로부터 우심방으로 귀환하는 혈액의 압력 또는 신체를 돌고 귀환하는 모든 혈액이 지나가는 대정맥의 압력을 의미한다""이다. 즉, 중심정맥압은 신체의 수분상태와 우심실 기능에 대한 정보를 제공하며, 순환과 깊은 관계가 있어 혈액의 양과 증가된 혈액의 양을 견디는 심장의 능력에 대한 정보를 주기 때문에 수액요법을 위한 중요한 지침이 된다"".
1.2.2. CVP의 목적
중심정맥압(CVP, Central Venous Pressure)의 목적은 우심방과 우심실의 압력변화에 대한 정보를 제공하고, 심장으로 귀환하는 정맥혈액량의 적절성을 평가하는 것이다. 또한 쇼크 상태나 치료에 대한 반응을 평가하며, 울혈성 심부전의 초기 진단에 도움을 준다. 수액 보충의 기준을 얻기 위한 목적으로도 CVP를 측정하며, 순환 혈액량을 측정하고 수혈 및 비경구 영양과 말초 공급의 금기된 투약 치료에 활용된다. 일시적 심장박동기 삽입과 중심정맥혈 채취 시에도 CVP 측정이 필요하다."
1.2.3. CVP의 정상치
CVP의 정상치는 5~10cmH₂O(1~7mmHg)이다. 정상 범위 내의 CVP는 우심방과 우심실의 압력변화에 대한 정보를 제공하며, 심장으로 귀환하는 정맥혈액량의 적절성을 평가할 수 있다. 또한 쇼크 상태나 치료에 대한 반응을 평가하고, 울혈성 심부전의 초기 진단에 도움을 준다. 더불어 수액 보충의 기준을 얻고, 순환 혈액량을 측정하는 데에도 이용된다.CVP가 5cmH₂O 이하인 경우 hypovolemia를 의미하며, 출혈 및 기타 원인으로 인한 순환 혈량의 감소나 혈관확장제로 인한 정맥이완으로 평균 수축기압이 감소한 상태를 나타낸다. 이 경우 정맥주입을 통한 수액 주입 및 수혈요법으로 치료한다. 반면 CVP가 10cmH₂O 이상인 경우 hypervolemia를 의미하며, 과중한 수액주입 및 체액저류로 인한 순환량의 증가, 만성 좌심실부전, 폐정맥·우심방 압의 상승, 우심실 경색 또는 부전, 폐고혈압, cardiac tamponade 등의 문제로 인해 발생한다. 이 경우 이뇨제 투여 및 원인 질환에 대한 치료가 필요하다.
1.2.4. CVP 측정 방법
CVP 측정 방법은 전신순환으로부터 우심방으로 귀환하는 혈액의 압력을 측정하는 것이다. 준비물로는 중심정맥관, manometer-set(manometer, extension tube, 3way), fluid, IV pole대가 필요하다. 측정 방법은 다음과 같다.
첫째, 환자와 보호자에게 측정 목적, 방법, 유의사항 등을 설명한다. 둘째, 침대를 수평으로 하고 환자를 앙와위로 눕힌다. 셋째, 압력계에 연결된 0점 표시 막대자를 이용하여 대상자의 액와 중앙선과 0점이 일치하도록 맞추고 압력계를 IV pole대에 고정한다. 넷째, 3-way와 수액세트를 압력계에 연결시키고 환자의 C-line과 연결한다. 다섯째, 3-way를 돌려서 대상자로 주입되는 세트를 잠그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