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내용
1. 지능형 로봇
1.1. 서론
국내 산업에 로봇이 처음으로 등장한 것은 1978년 현대자동차가 일본에서 개발한 스폿용접용 로봇을 설치하면서부터이다. 국내 산업에 로봇이 처음 등장한 지 50년도 지나지 않은 현시점에서 로봇은 일반인도 낯설게 생각하지 않는 단어가 되었다. 그만큼 우리나라는 급격한 로봇 산업 발전을 이루게 되었으며, 특히 최근에는 KAIST에서 개발한 인간형 로봇 '휴보'가 미국의 '다르파 로보팃스 챌린지(DRC)'에서 우승을 차지함으로 세계 최고의 재난대응로봇 거듭났다. 따라서 본 보고서에서는 지능형 로봇에 대하여 정리해 보고자 한다.
1.2. 지능형 로봇의 정의
지능형 로봇이란 외부의 환경을 스스로 탐지 후, 이를 기반으로 상황을 판단하여 인간과의 상호작용 시 서비스 제공에 필요한 작업을 직접 수행 가능한 로봇을 의미한다. 따라서 지능형 로봇은 메커트로닉스 기술과 IT 기술이 융합된 디지털 퓨전에 기반을 두므로 전기, 기계 등의 전통 기술과 반도체, 신소재, 인공지능 등의 첨단 기술을 유기적으로 결합한 복합체이다."
1.3. 지능형 로봇의 기술 현황
지능형 로봇은 인공지능, 조작 제어, 자율이동, 물체인식, 위치인식, 센서 및 액츄에이터, 그리고 HRI 기술 등을 탑재하고 있다. 최근의 지능형 로봇은 사람과 대화를 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사람의 표정이나 성별 등을 구분할 수 있으며, 사람의 표정을 지을 수 있을 정도로 발전하게 되었다. 또한, 물건을 잡고 자유롭게 핸들링하는 등 조작 제어가 가능한데, 이는 지능형 로봇과 컴퓨터를 차별화할 수 있는 가장 중요한 기능이다. 특히, 인간형 로봇은 인간과 같이 촉각 등의 센서를 갖추고 과도로 과일을 깎을 수 있을 정도의 물체 핸들링 능력(조작 제어 기술)을 지니고 있다. 이와 더불어 바퀴형, 이족형, 사족형 등의 이동 메커니즘을 지니고 이동을 하거나 자율 경로계획 및 충돌 회피 등 경로에 맞춰 이동하는 기술(자율이동 기술)을 지니기도 하였다. 또한, 지능형 로봇은 미리 학습한 지식을 바탕으로 하여 3차원 적인 공간 정보를 실시간으로 알아낼 수 있으며, 특정 물건을 구분하여 심부름하는 등의 고 난이도 기술도 탑재(물체인식 기술) 하고 있다.
1.4. 지능형 로봇의 분류
지능형 로봇은 서비스 로봇, 산업용 로봇으로 크게 구분된다. 서비스 로봇은 다시 개인용 로봇과 전문 로봇으로 나뉜다. 개인용 로봇은 청소, 경비, 애완용, 교사 로봇 등이 포함되며, 전문 로봇은 공공 서비스 로봇과 극한 작업 로봇으로 구분된다. 공공서비스 로봇에는 안내 로봇, 의료 로봇 등이 있고, 극한 작업 로봇에는 원전 로봇, 재난구조 로봇 등이 있다. 산업용 로봇은 핸들링 로봇과 용접, 도장 로봇 등이 대표적이다. 따라서 지능형 로봇은 다양한 기능과 용도로 분류되며, 전문화되고 특화된 로봇들이 빠르게 발전하고 있다고 볼 수 있다."
1.5. 결론
과거에는 주로 산업용으로 로봇이 이용되었으나, 점차 발전하며 가정, 복지 의료, 환경 등의 범위로까지 확대되고 있다. 이러한 로봇은 반도체처럼 하나의 칩만으로 제작된 것이 아니며, PC처럼 정적인 시스템 또한 아니다. 오히려 이는 자동차와 가깝다고 볼 수 있다. 많은 이들은 지능형 로봇이 머지않아 인간의 업무를 대체할 수 있을 것이라고 생각한다. 그러나 아직까지 한국의 주거공간에 맞춰 문턱을 넘거나, 계단을 오르는 등 메커니즘이 부족하기 때문에 사람으로 치면 이제 걸음마를 시작한 아이의 이동 수준에 불가하다. 따라서 이러한 지능형 로봇이 발전하고 상용화되기 위해서는 더 많은 발전이 필요할 것으로 생각되고, 가격 측면에서도 해결이 필요할 ...